국내 니켈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대장주, 관련주 정의,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니켈 관련주 개요
정의
니켈 관련주는 니켈을 채굴, 가공, 생산하거나 이를 원재료로 활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기업을 말한다. 국내 니켈 관련주는 전기차 배터리, 스테인리스강, 화학 산업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니켈을 활용하는 기업들이 포함된다. 주로 이차전지 소재 기업, 금속 가공 업체, 그리고 니켈 관련 제품 제조 기업들이 포함된다.
니켈이 산업에서 중요한 이유는?
1. 니켈은 내구성, 열저항성, 부식저항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여러 산업에서 필수적인 소재로 사용된다.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인 NCM(니켈-코발트-망간) 및 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에 니켈이 사용된다.
2. 니켈은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신재생 에너지 기반 설비의 핵심 소재로 활용된다. 풍력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배터리 저장 장치에서도 니켈 기반 소재가 필요하다.
3. 니켈은 촉매제, 석유화학 제품 제조 및 수소 생산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 니켈 시장 규모와 성장률

2023년 전 세계 니켈 시장 규모는 약 416억 1천만 달러였으며, 2024년에는 445억 9천만 달러, 2032년에는 731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연평균 성장률(CAGR) 7.3%에 해당한다. 전기차 배터리, 스테인리스강, 전기도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니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링크)
국내 니켈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니켈은 원자재로서 글로벌 시장에서 거래되므로, 국제 니켈 가격의 변동성이 관련주에 큰 영향을 미친다.
2. 니켈 수요는 주로 전기차 배터리와 스테인리스강 생산에서 발생하며, 관련 산업의 성장성이 중요하다.
3. 니켈 관련주의 경우, 기업의 기술력, 생산 역량, 비용 효율성이 중요하다.
4. 니켈은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특정 지역에서 생산이 집중되어 있어 지정학적 리스크가 크다.
1. POSCO홀딩스
회사 사업모델

POSCO홀딩스는 그룹의 성장 전략 수립, 미래 사업 개발, 인수합병(M&A) 등 새로운 비즈니스 발굴을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 즈룹의 7대 핵심 사업은 다음과 같다.
철강: 기존 철강 사업의 경쟁력 강화 및 저탄소 생산체제 구축.
이차전지소재: 양극재 및 음극재 등 배터리 소재 생산 확대.
리튬·니켈: 이차전지 원료 확보를 위한 리튬 및 니켈 생산 능력 증대.
수소: 수소 생산 및 공급망 구축을 통한 친환경 에너지 사업 진출.
에너지: 에너지 분야에서의 지속 가능한 성장 추구.
건축·인프라: 미래 주거 실현을 위한 건축 및 인프라 개발.
식량: 글로벌 식량 자원 확보를 통한 식량 사업 진출.
국내 니켈 대장주인 이유는?
2021년 호주 니켈 광산·제련 업체인 레이븐소프의 지분 30%를 인수하여 호주산 니켈 공급망을 확보했다. 전남 광양에 연산 2만 톤 규모의 이차전지용 고순도 니켈 공장을 건설 중이며, 2023년 하반기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세계 최대 니켈 생산국인 인도네시아에 니켈 제련 공장 건설을 추진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다각화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643,668억 | 577,928억 | 763,323억 | 847,502억 | 771,272억 |
매출원가 | 581,164억 | 530,723억 | 644,512억 | 771,009억 | 707,102억 |
매출총이익 | 62,503억 | 47,204억 | 118,811억 | 76,492억 | 64,169억 |
판매비와관리비 | 23,815억 | 23,173억 | 26,430억 | 27,992억 | 28,854억 |
영업이익 | 38,688억 | 24,030억 | 92,380억 | 48,500억 | 35,314억 |
2. 티플랙스
회사 사업모델

스테인리스 봉강(환봉): 기계, 선박, 플랜트,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되는 스테인리스 봉강을 생산한다.
판재 및 CDM: 스테인리스 판재와 CDM(Cold Drawn Mechanical) 제품을 자체 생산 라인을 통해 공급하며, 최신식 설비를 지속적으로 증설하여 생산능력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니켈 관련주인 이유는?
스테인리스강의 주요 원료 중 하나가 니켈이며, 티플랙스는 스테인리스 소재를 가공 및 제조하는 기업으로서 니켈의 가격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니켈 가격이 상승하면 스테인리스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여 제품 가격 및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대로, 니켈 가격 하락 시 원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어 실적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312억 | 1,326억 | 1,895억 | 2,577억 | 2,510억 |
매출원가 | 1,220억 | 1,228억 | 1,665억 | 2,281억 | 2,429억 |
매출총이익 | 91억 | 97억 | 230억 | 296억 | 81억 |
판매비와관리비 | 52억 | 49억 | 62억 | 83억 | 96억 |
영업이익 | 39억 | 47억 | 168억 | 212억 | -15억 |
3. 포스코인터내셔널
회사 사업모델

글로벌 사업 부문: 철강 및 철강 원료, 식량, 친환경차 부품, 친환경 소재, 이차전지 소재 등의 무역과 인프라 개발을 담당한다.
에너지 부문: 천연가스 등 에너지 자원의 탐사, 개발, 생산 및 판매를 수행하며, LNG 사업 밸류체인 완성을 위해 포스코에너지를 흡수합병하였다.
디지털 전환(DX): 조직문화와 비즈니스 모델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고객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영업 프로세스를 통합한 온라인 트레이딩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니켈 관련주인 이유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해외에 흑연, 리튬, 니켈 광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이차전지 소재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다. 니켈은 이차전지의 핵심 원료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이차전지 소재의 무역과 인프라 개발을 통해 관련 산업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44,225억 | 214,723억 | 339,488억 | 379,895억 | 331,328억 |
매출원가 | 232,979억 | 205,473억 | 328,141억 | 364,219억 | 312,932억 |
매출총이익 | 11,245억 | 9,250억 | 11,347억 | 15,676억 | 18,395억 |
판매비와관리비 | 5,192억 | 4,505억 | 5,493억 | 6,651억 | 6,764억 |
영업이익 | 6,053억 | 4,744억 | 5,853억 | 9,025억 | 11,631억 |
4. STX
회사 사업모델

STX는 전 세계에 걸친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수요와 공급을 연결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차전지 소재: 전기차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핵심 부품인 이차전지의 원료를 공급.
친환경 철강: 환경 친화적인 철강 제품의 유통과 무역을 담당.
그린에너지·바이오: 재생 가능 에너지와 바이오 산업 분야에서의 사업을 추진.
e모빌리티: 전기 이동 수단 관련 부품과 기술의 유통 및 무역을 수행.
니켈 수혜주인 이유는?
STX는 세계 3대 니켈 광산 중 하나로 꼽히는 마다가스카르의 암바토비 니켈 광산 및 제련소 운영 회사에 약 58억 원을 출자하였다. 니켈은 이차전지, 특히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 중 하나다. STX는 이차전지 소재 사업을 주요 사업 분야로 삼고 있어, 니켈의 수급과 가격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4,637억 | 9,755억 | 9,255억 | 9,725억 | 9,037억 |
매출원가 | 14,171억 | 9,352억 | 8,701억 | 9,494억 | 8,866억 |
매출총이익 | 465억 | 402억 | 553억 | 231억 | 171억 |
판매비와관리비 | 437억 | 408억 | 463억 | 319억 | 321억 |
영업이익 | 27억 | -5.9억 | 90억 | -88억 | -150억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