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로봇(Robot)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로봇 대장주, 관련주 정의, 산업이 중요한 이유, 산업용, 이족보행, 교육용, 물류용 로봇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로봇 관련주 개요
정의
국내 로봇 관련주는 로봇을 개발, 생산, 판매하거나 로봇에 필요한 부품과 기술을 공급하는 기업을 의미한다. 이들 기업은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의료 로봇, 군사용 로봇 등 다양한 용도의 로봇과 로봇 기술을 개발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국내 로봇 관련주에는 두산로보틱스, 레인보우로보틱스, 로보티즈와 같은 기업들이 포함된다.
로봇 산업이 중요한 이유는?
로봇은 반복적인 작업을 빠르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 제조업, 물류,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업용 로봇은 생산 라인에서 인간보다 빠르고 정밀하게 작업을 수행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자동화된 로봇 시스템은 24시간 운영이 가능해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대한민국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노동력 부족 문제가 점차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로봇 기술은 고령화 사회의 인력 공백을 채우고, 의료 및 돌봄 로봇을 통해 노인 인구를 위한 복지 서비스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노령화로 인한 사회적 부담을 줄이는 중요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로봇 산업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산업 전반의 기술 혁신을 만든다. 자율주행, 의료 자동화, 스마트 공장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로봇 기술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술적 경쟁력은 국가 경쟁력 향상에 중요한 요소다.
로봇 시장 규모와 성장률

2024년 글로벌 ROBOT 시장 규모는 약 896억 8천만 달러로 추산되며, 2029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12.17%를 기록하여 약 1,592억 8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협동 로봇은 2021년 시장 규모는 13억 5,820만 달러였으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42.7%로 성장하여 163억 8,73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로봇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로봇 산업은 기술 발전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글로벌 경쟁이 치열하다. 미래산업은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가 필수적이다. 투자 대상 기업이 이러한 신기술 분야에 얼마나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지, 그리고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가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2. ROBOT은 제조, 물류,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고 있으며, 각 분야에서 요구되는 기술과 수요가 다르다. 따라서 특정 산업에만 집중하는 기업보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 로봇을 공급하거나 협업할 수 있는 기업이 유리할 수 있다.
3. 로버트 산업은 정부 지원이 중요한 영향을 준다. 한국 정부는 로봇 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정부의 지원 정책 방향, 그리고 산업 관련 규제가 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고려해야 한다.
1. 레인보우로보틱스 – 대장주
회사 사업모델

레인보우로보틱스는 2011년 KAIST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센터의 연구진이 설립한 로봇 전문 기업으로, 다양한 로봇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협동로봇, 이족보행 로봇, 사족보행 로봇 등 다양한 로봇 제품을 개발하여 제조업, 서비스업 등 여러 산업 분야에 공급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핵심 부품과 소프트웨어를 통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레인보우로보틱스는 국내 로봇 시장에서 주목받는 기업 중 하나로, 협동로봇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을 고객사로 두고 있으며, 특히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는 2023년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 14.99%를 확보하였으며, 향후 지분율을 59.94%까지 늘릴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를 통해 삼성전자의 반도체 및 가전 제조 공정 자동화를 위한 협동로봇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6억 | 54억 | 89억 | 136억 | 152억 |
매출원가 | 7.8억 | 26억 | 44억 | 65억 | 79억 |
매출총이익 | 9.2억 | 28억 | 45억 | 71억 | 72억 |
판매비와관리비 | 63억 | 41억 | 55억 | 58억 | 518억 |
영업이익 | -54억 | -13억 | -10억 | 13억 | -445억 |
2. 휴림로봇 – 산업용
회사 사업모델

휴림로봇은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을 포함한 다양한 로봇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반도체 이송 로봇, 수평 다관절 로봇, 직교 로봇 등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 두각을 보이고 있다. 고객사의 요구에 맞춘 신제품 개발과 현지화 전략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휴림로봇은 국내 로봇 시장에서 주목받는 기업 중 하나로, 특히 산업용 로봇 부문에서 성장을 이루고 있다. 2023년에는 베트남 현지 생산을 위한 시제품 생산에 돌입하는 등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휴림로봇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이 고객사이다. 반도체 이송 로봇의 경우 기존 고객 외에도 다수의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며 비즈니스를 확대하는 중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76억 | 207억 | 273억 | 554억 | 826억 |
매출원가 | 150억 | 178억 | 203억 | 467억 | 695억 |
매출총이익 | 25억 | 29억 | 70억 | 87억 | 131억 |
판매비와관리비 | 77억 | 118억 | 99억 | 162억 | 149억 |
영업이익 | -51억 | -89억 | -29억 | -74억 | -18억 |
3. 유진로봇 – 물류용
회사 사업모델

유진로봇은 1988년에 설립된 국내 1세대 로봇 기업으로, 자율주행 모바일 로봇(AMR)과 공장 자동화 설비를 통해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유진로봇은 자율주행 솔루션 부문과 청소로봇 부문, 산업자동화 설비 시스템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율주행 솔루션 부문에서는 고카트(GoCart) 시리즈와 같은 AMR 제품을 개발하여 물류 자동화에 활용하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LiDAR 센서를 통해 정밀한 환경 인식과 자율주행 기능을 구현한다. 공장 조립 자동화 설비와 창고 물류 자동화 등 다양한 산업용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여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지원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유진로봇은 국내 로봇 시장에서 자율주행 로봇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ISO)의 로봇안전표준인 ‘ISO13482’ 인증을 획득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았다.
유진로봇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을 고객사로 두고 있으며, 특히 독일 가전회사 밀레(Miele)와의 협업을 통해 프리미엄 청소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오스트리아의 병원물류 전문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유럽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704억 | 576억 | 276억 | 445억 | 304억 |
매출원가 | 605억 | 419억 | 206억 | 271억 | 215억 |
매출총이익 | 99억 | 157억 | 69억 | 173억 | 88억 |
판매비와관리비 | 250억 | 245억 | 133억 | 129억 | 135억 |
영업이익 | -151억 | -88억 | -64억 | 44억 | -46억 |
4. 로보로보 – 교육용
회사 사업모델

로보로보는 2000년에 설립된 교육용 로봇 전문 기업으로, 주로 유아부터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로봇 교육 키트와 교재를 개발하고 있다.
로보로보는 교육용 로봇 키트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국내외 교육 기관과 학원에 공급하고 있다. 자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로봇 교육을 확대하고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여 학습자들이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로보로보는 국내 교육용 로봇 시장에서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초등 및 중등 교육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해외 시장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미국, 중국, 유럽 등 다양한 국가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로보로보의 주요 고객사는 국내외 초·중등 교육 기관, 학원, 교육 관련 기업 등이다. 국내 다수의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로보로보의 교육용 로봇 키트를 활용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32억 | 48억 | 76억 | 118억 | 142억 |
매출원가 | 80억 | 29억 | 42억 | 57억 | 64억 |
매출총이익 | 52억 | 18억 | 33억 | 61억 | 78억 |
판매비와관리비 | 50억 | 44억 | 49억 | 63억 | 76억 |
영업이익 | 2.2억 | -25억 | -15억 | -1.8억 | 2.2억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