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리츠 관련주 대장주 추천 4개

국내 리츠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부동산투자신탁 대장주, 관련주 정의, 산업이 중요한 이유, 국내 부동산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임대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리츠 관련주 개요

정의

리츠(REIT, Real Estate Investment Trust) 관련주는 부동산투자신탁으로 분류되는 회사들의 주식을 의미한다. 리츠는 상업용 부동산, 주거용 부동산, 산업용 부동산, 헬스케어 시설 등 다양한 유형의 부동산을 소유하거나 운영하며, 이를 통해 발생하는 임대료, 자산 가치 상승, 매각 등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법적으로 리츠는 과세 소득의 최소 90%를 배당금으로 투자자에게 지급해야 하므로, 배당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에게 인기가 많다.

리츠에 투자하면 좋은점은?

리츠는 법적으로 수익의 90% 이상을 배당금으로 지급해야 하므로, 다른 주식보다 높은 배당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저금리 시대에는 정기적인 현금 흐름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매력적이다.

리츠는 부동산 시장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여, 주식, 채권 등과 다른 자산군에 분산 투자할 수 있다. 부동산은 일반 주식 시장과 낮은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포트폴리오의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부동산 가치는 시간이 지나면서 상승하는 경향이 있어 인플레이션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임대료도 인플레이션과 함께 상승할 가능성이 커 리츠의 수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국내 리츠 시장 규모와 성장률

국내 리츠 관련주 추천 4개

국내 리츠(REITs) 시장은 2001년 도입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해왔다. 2024년 9월 말 기준, 운용 중인 리츠의 총자산(AUM)은 약 99조 2,090억 원에 달하며, 이는 2002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이 26.9%에 이르는 수치다. 2023년 운용 중인 리츠 전체의 배당수익률 평균은 4.0% 이다.

국내 리츠 관련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리츠는 기본적으로 부동산 자산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투자 대상 부동산의 위치, 유형(오피스, 상업, 주거, 물류 등), 그리고 임대 계약의 안정성이 중요하다. 안정적인 임대 수익이 발생하는 자산을 보유한 리츠는 꾸준한 배당을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경기 변동에 민감하거나 공실률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는 자산을 보유한 리츠는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리츠는 고배당 수익을 제공하는 투자 상품이기 때문에,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금리가 상승하면 리츠의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배당 수익률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금리가 낮을 때는 상대적으로 높은 배당 수익률을 제공하는 리츠의 매력이 커져 투자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1. SK리츠

1. SK리츠

회사 사업모델

SK리츠는 SK그룹이 보유한 부동산 자산을 기반으로 설립된 부동산투자회사(REITs)로, 그룹 내 부동산 자산을 유동화하여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2022년 5월 기준, SK리츠는 분당에 위치한 SK하이닉스 사옥을 약 5,000억 원에 추가 매입하여 자산 규모를 약 2조 4,400억 원으로 확대하였다. 롯데리츠를 제치고 국내 리츠 업계 1위로 올랐다.

SK리츠의 주요 임차인은 SK그룹 계열사들로, SK서린빌딩에는 SK㈜, SK이노베이션, SK E&S 등이 입주해 니다. SK하이닉스 사옥을 보유하고 있어 SK하이닉스도 주요 임차인 중 하나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3년2023년2023년2024년2024년
매출액(수익)305억321억526억522억521억
매출총이익305억321억526억522억521억
판매비와관리비80억124억168억168억177억
영업이익225억196억358억353억344억

2. ESR켄달스퀘어리츠

2. ESR켄달스퀘어리츠

회사 사업모델

ESR켄달스퀘어리츠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물류 전문 부동산투자회사(REIT)로, 현대식 물류센터를 소유하고 운영하여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2023년 12월 말 기준, ESR켄달스퀘어리츠는 총 18개의 물류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자산 규모는 약 2.8조 원이다. 이는 국내 상장 리츠 중 최대 규모로, 물류 부동산 분야에서 리더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ESR켄달스퀘어리츠의 주요 임차인은 이커머스 기업과 3자 물류(3PL) 업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인 임차인으로는 쿠팡, LF로지스틱스, 대한통운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우량 임차인들과의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임대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1년2022년2023년2023년2024년
매출액(수익)237억467억494억529억558억
매출총이익237억467억494억529억558억
판매비와관리비156억229억234억287억270억
영업이익81억237억260억241억288억
영업이익(발표기준)81억237억260억241억288억

3. 롯데리츠

3. 롯데리츠

회사 사업모델

롯데리츠는 롯데그룹이 보유한 부동산 자산을 기반으로 설립된 부동산투자회사(REIT)이다.

롯데리츠는 롯데쇼핑이 보유한 백화점, 마트, 아울렛 등 다양한 유형의 부동산 자산을 매입하여 이를 운용하고, 발생하는 임대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배당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2024년 10월 기준, 롯데리츠는 리츠 브랜드평판에서 2위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국내 리츠 시장에서 높은 인지도를 보인다.

롯데리츠의 주요 임차인은 롯데쇼핑을 포함한 롯데그룹 계열사들로,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아울렛 등이 해당 부동산에 입점해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롯데리츠는 안정적인 임대 수익을 확보하고, 투자자들에게 꾸준한 배당을 제공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1년2022년2023년2023년2024년
매출액(수익)561억579억586억594억600억
매출총이익561억579억586억594억600억
판매비와관리비234억238억239억232억224억
영업이익327억341억347억361억375억

4. 신한알파리츠

Screenshot 2024 11 14 at 12.26.23 PM

회사 사업모델

신한알파리츠는 신한리츠운용이 운용하는 부동산투자회사(REITs)로, 국내 주요 오피스 빌딩에 투자하여 임대 수익을 창출하고 이를 투자자들에게 배당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신한알파리츠는 서울 도심, 강남, 판교 등 주요 권역에 위치한 10개의 오피스 건물을 포트폴리오로 보유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신한알파리츠는 국내 상장 리츠 중에서 자산 규모 약 2조 원을 보유하여, 국내 오피스 리츠 시장에서 리더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신한알파리츠의 주요 임차인은 다양한 업종의 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임대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예를 들어, 판교에 위치한 크래프톤 타워를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건물에는 게임 개발사 크래프톤이 입주해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1년2022년2023년2023년2024년
매출액(수익)378억482억449억478억534억
매출총이익378억482억449억478억534억
판매비와관리비149억194억178억227억212억
영업이익228억287억271억251억321억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미국 디스플레이 부품 관련주 (링크)

글로벌 항공사 관련주 리스트 (링크)

미국 간편식 관련주 리스트 (링크)

중국 전기차 관련 3개 기업 리스트 (링크)

미국 클라우드 관련주 8개 리스트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

상위 25% 안에 들어가는 주식 분석 4단계 방법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