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목재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산불로 인한 피해와 복구로 인한 목재 회사가 관심받고 있습니다. 국내 목재 시장 규모와 성장성, 나무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국내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목재 관련주 개요
정의
국내 목재 관련주란 목재의 생산, 유통, 가공 및 목재 제품 제조 등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목재를 직접 생산하거나 목재를 이용해 합판, 제지, 펄프, 가구, 건축자재 등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여기에 속한다.
목재 산업이 중요한 이유는?
1. 친환경적이며 지속 가능한 자원
2. 탄소중립 및 기후변화 대응
3. 경제적 가치와 일자리 창출
4. 건축 자재로서의 중요성
5. 5. 자원 안보 및 수입의존도 완화
국내 목재 시장 규모와 성장률

국내 목재 시장은 임업, 제조업, 건설업 등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시장 규모와 성장률은 기관별로 추정치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여러 통계 자료에 따르면 최근 수년간 국내 목재산업 전체 규모는 약 10조 원대에서 12조 원대 정도로 평가되고 있다.
평균 성장률은 연 2~3% 내외로 추산되지만, 친환경·탄소중립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앞으로 더 높은 성장세를 보일 가능성도 존재한다.
국내 목재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목재는 해외에서 수입하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국제 원자재 가격과 환율이 기업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친다.
2. 목재 수요 중 상당 부분이 건축자재와 인테리어 목적으로 사용된다. 건설 경기와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면 목재 수요가 줄고, 호황이면 매출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3. 목재는 탄소를 저장하고, 재생 가능한 자원이기에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 흐름에서 유리하다. 탄소중립, 녹색건축, 재생에너지와 연계되는 프로젝트가 늘어나면 관련 업계 성장에도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동화기업
회사 사업모델

동화기업은 목재 가공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특히, 2019년에는 2차전지 전해액 제조업체인 파낙스이텍의 지분 90%를 인수하여 전해액 사업에 진출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적인 목재 사업과 첨단 화학 소재 사업을 동시에 영위한다.
시장 점유율, 주요 고객사
국내 시장: 동화기업은 국내 중밀도섬유판(MDF) 시장에서 31.6%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유니드와 함께 선두를 다투고 있다. 파티클보드(PB) 시장에서는 50.7%의 점유율로 성창기업과 경쟁하고 있으며, 강화마루 시장에서는 47.2%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 시장: 베트남에서는 MDF 및 마루 시장에서 30%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동화기업의 제품은 주로 대리점, 건설사, 가구 업체 등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특히, 전해액 부문에서는 삼성SDI를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최근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연결기업 수익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단일 고객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9,323억 | 11,004억 | 9,632억 | 9,179억 |
매출원가 | 6,976억 | 8,833억 | 8,302억 | 7,545억 |
매출총이익 | 2,347억 | 2,170억 | 1,329억 | 1,634억 |
판매비와관리비 | 1,298억 | 1,446억 | 1,495억 | 1,467억 |
영업이익 | 1,049억 | 724억 | -165억 | 167억 |
2. 웹스
회사 사업모델

웹스는 건축 외장재를 주로 생산하는 기업으로, 관급공사를 중심으로 판매 전략을 펼치고 있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웹스는 해당 지역의 고객과 협력하여 관시장을 공략하는 것을 중요한 영업전략으로 삼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350억 | 340억 | 362억 | 340억 |
매출원가 | 275억 | 273억 | 260억 | 242억 |
매출총이익 | 75억 | 67억 | 102억 | 98억 |
판매비와관리비 | 66억 | 78억 | 76억 | 67억 |
영업이익 | 9.2억 | -11억 | 25억 | 30억 |
3. 유니드비티플러스
회사 사업모델

유니드비티플러스는 중밀도섬유판(MDF)과 이를 활용한 마루, LPM 등의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기업이다. MDF는 가구, 인테리어 내장재, 포장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유니드비티플러스는 이러한 제품을 국내 시장에 주로 공급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국내 MDF 시장에서 유니드비티플러스는 2022년 기준 27.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이는 경쟁사인 동화기업, 한솔홈데코 등과의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유니드비티플러스의 제품은 주로 가구 제조업체, 인테리어 업체, 건설사 등을 통해 판매한다. 특히 인테리어 내장재와 가구 제작에 필요한 MDF와 마루 제품을 공급하며,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을 주요 영업 지역으로 삼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292억 | 1,687억 | 1,948억 |
매출원가 | 245억 | 1,513억 | 1,686억 |
매출총이익 | 46억 | 174억 | 262억 |
판매비와관리비 | 32억 | 214억 | 231억 |
영업이익 | 14억 | -40억 | 30억 |
4. 원익큐브
회사 사업모델

원익큐브는 원익그룹에 속한 기업으로, 화학제품 및 건축자재 유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다. 특히 건축용 실란트 등의 제품을 취급하며, 국내 기초산업 및 화학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기초화학원료 등을 수입하여 국내 제조업체에 공급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2,583억 | 2,459억 | 2,443억 | 2,868억 |
매출원가 | 2,257억 | 2,249억 | 2,201억 | 2,624억 |
매출총이익 | 326억 | 210억 | 242억 | 243억 |
판매비와관리비 | 187억 | 168억 | 186억 | 207억 |
영업이익 | 139억 | 42억 | 56억 | 35억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