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시밀러 관련주 대장주 수혜주 4개

국내 바이오시밀러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한국 바이오 대장주, 관련주 정의, 의약품 산업이 중요한 이유, 글로벌 시장 규모와 앞으로 성장성, 각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한국 바이오시밀러 관련주 개요

정의

바이오시밀러 관련주는 바이오시밀러(Biosimilar)를 개발하거나 생산, 유통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말한다. 바이오시밀러는 기존에 승인된 바이오의약품(오리지널 바이오 약)과 품질, 안전성, 효능이 매우 유사한 복제약이다.

의약품 산업이 중요한 이유는?

1. 바이오의약품은 암, 자가면역질환 같은 고난이도 질병 치료에 효과적이지만, 약값이 비싸다는 게 문제다. 바이오시밀러는 오리지널에 비해 30~70% 저렴하면서도 효능은 비슷하다. 국민 건강보험 부담 줄이고, 국가 재정도 아낄 수 있는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2. 많은 글로벌 오리지널 바이오의약품들이 2020년대 초중반에 특허가 만료되거나 만료 예정이다.
이 말은 곧 바이오시밀러 진입이 가능한 시장이 열린다는 뜻이다.

3. 한국은 원래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도 그렇고 “공정”과 “대량생산”에 강한 나라다. 바이오시밀러도 마찬가지다. 복잡한 제조공정을 안정화시키고 글로벌 수준의 품질관리(QC)를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다.

국내 바이오시밀러 시장 규모와 성장률

국내 바이오시밀러 관련주 대장주 수혜주 4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자료 등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국내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약 6,000억 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후 연평균 20% 안팎의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커지고 있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바이오시밀러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기업이 단순 복제 수준을 넘어서 효능 및 안정성을 개선하고, 파이프라인을 다양화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2. 바이오시밀러는 허가 절차가 엄격하여 임상시험 비용이 높고 기간도 길기 때문에 규제 변화를 주시해야 한다.

3. 연구개발 투자 비용과 생산시설 확충을 얼마나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재무 상태를 갖추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1. 셀트리온

회사 사업모델

1. 셀트리온

레미케이드(인플릭시맙)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미국명 인플렉트라)로 대표되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분야의 바이오시밀러 제품들을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글로벌 제약사나 유통업체와 제휴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자체 판매 조직을 통해 의약품을 직접 유통하기도 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셀트리온의 인플릭시맙 바이오시밀러 제품은 유럽과 미국 시장에서 점유율이 크게 늘었다. 인플릭시맙 바이오시밀러 시장만 놓고 보면 셀트리온이 의미 있는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시장이 매출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화이자(Pfizer) 등 글로벌 제약사와 협력해 제품을 공급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1년2022년2023년2024년
매출액(수익)18,934억22,839억21,764억35,573억
매출원가8,058억12,512억11,245억18,755억
매출총이익10,875억10,327억10,518억16,817억
판매비와관리비3,434억3,855억4,003억11,897억
영업이익7,441억6,472억6,514억4,920억

2. SK바이오팜

회사 사업모델

2. SK바이오팜

뇌전증(간질)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미국 상품명 엑스코프리)를 비롯해 중추신경계(CNS) 질환 분야 신약을 자체 개발해 미국 시장에 진출했다. 일부 파이프라인은 해외 제약사에 라이선스 아웃(기술이전)하는 방식으로도 사업을 진행하며, 연구개발 단계에서 계약금과 마일스톤 등을 확보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시장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아직 크지 않다. 세노바메이트와 수면장애 치료제 솔리암페톨(미국 상품명 수노시)의 매출은 미국이 주력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1년2022년2023년2024년
매출액(수익)4,186억2,461억3,548억5,476억
매출원가223억377억340억431억
매출총이익3,963억2,084억3,208억5,045억
판매비와관리비3,013억3,394억3,583억4,081억
영업이익949억-1,310억-375억963억

3. 삼성바이오로직스

회사 사업모델

3. 삼성바이오로직스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의약품 개발 및 생산을 위탁받아 진행한다.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의 대규모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을 보유해 생산 규모와 공정 자동화를 강점으로 삼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개발 전문 계열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분야에도 진출해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바이오 의약품 CDMO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로슈(Roche), BMS(Bristol-Myers Squibb), GSK 등 다수의 해외 제약사들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고객사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1년2022년2023년2024년
매출액(수익)15,680억30,013억36,945억45,473억
매출원가8,415억15,328억18,918억22,564억
매출총이익7,264억14,684억18,027억22,908억
판매비와관리비1,891억4,848억6,890억9,707억
영업이익5,373억9,836억11,136억13,200억

4. 삼천당제약

회사 사업모델

4. 삼천당제약

삼천당제약은 안과용 점안제, 안과 질환 치료제 생산이 주력이다. 국내 시장을 중심으로 점안제 분야에서 높은 인지도를 갖고 있다. 황반변성 치료제 등 안과 분야 바이오의약품 개발에 진출해 R&D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제품 상당수가 처방용 또는 일반의약품 형태로 국내 병원과 약국 유통망을 통해 판매된다. 바이오시밀러 프로젝트가 성공할 경우 해외 라이선스 아웃 또는 공동 개발 모델 등으로 매출처가 확대될 것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1년2022년2023년2024년
매출액(수익)1,672억1,773억1,926억2,109억
매출원가842억873억957억1,112억
매출총이익830억899억969억996억
판매비와관리비983억777억874억970억
영업이익-152억122억95억26억

국내 증권사 추천 종목

  • 삼성증권 주간 추천종목 (링크)
  • 유안타증권 매일 추천종목 (링크)
  • 한국투자증권 추천종목 (링크)
  • 대신증권 추천종목 (링크)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

상위 25% 안에 들어가는 주식 분석 4단계 방법 (링크)

찐 네옴시티 수혜주 국내 기업 리스트 (링크)

국내 방산 관련 기업 관련주 (링크)

국내 구리 관련주 대장주 수혜주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