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방산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대장주, 관련주 정의, 방위 산업이 중요한 이유, 국내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방산 관련주 개요
방산 관련주 정의
방산(방위산업) 관련주는 군사 및 방위산업에 관련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의미한다. 주요 방산 관련 기업들은 무기, 탄약, 군수 장비, 방위 시스템, 항공기, 함정 등을 제조하거나 연구·개발(R&D)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종합 방산업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KAI), 현대로템
- 탄약 및 화약 제조업체: 풍산, 한화 방산 계열사(한화오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전투 장비 및 방산 전자업체: 퍼스텍, 빅텍, 스페코 등
방산 산업이 중요한 이유는?
1. 방위산업은 국가의 주권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요소다. 무기체계가 첨단화되고 있는 현대전에서 국방력을 강화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국내 방산 산업의 발전은 무기와 군사 장비의 국산화를 통해 외국 의존도를 낮추고 국방 자주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2. 방산산업은 첨단 기술 집약적 산업으로, 항공우주, 전자, 인공지능(AI), 로봇, 드론 등 다양한 첨단 산업과 연계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민간 산업으로 확장되면서 국가 경제 성장과 수출 증가에 기여한다. 최근 K-방산(한국 방산 기업들)의 글로벌 수출이 증가하면서, 경제적 가치도 크게 상승하고 있다.
3. 한국은 북한과의 대치 상황, 동아시아 지역의 군사적 긴장(중국·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국방력 강화가 필수적이다. 또한, 세계적으로 방산 수요가 증가하면서 한국 방산 기업들은 폴란드,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국내 방산업체들의 성장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있다.
국내 방산 시장 규모와 성장률

한국의 방위산업은 최근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2023년 기준 국내 방위산업 매출은 23.3조원, 수출은 4.8조원(통관 기준)으로 전년 대비 각각 16.6%, 106.9% 증가했다. 고용은 4.5만명, 영업이익은 2조원을 넘어서며 주요 지표들이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024년 말 기준으로 국내 4~5개 방산 대기업의 수주잔고는 1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 K-방산 매출은 25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 방위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정부가 국방 예산을 늘리고 첨단 무기체계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수록 방산주의 실적이 개선된다.
2. 최근 국내 방산주는 수출 실적 증가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폴란드, 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글로벌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가 성장의 핵심 요인이다.
3. 개별 기업의 기술 경쟁력과 수주 실적은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다. 특히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등 주요 방산 기업들의 핵심 기술과 해외 수주 실적을 주목해야 한다.
1. 한국항공우주
회사 사업모델

한국항공우주산업은 1999년 삼성항공, 대우중공업, 현대우주항공의 항공 부문을 통합하여 설립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항공우주 기업이다.
1. 군용기 개발 및 생산: 국내 방위사업청과 협력하여 한국형 전투기 KF-21, 고등훈련기 T-50, 경공격기 FA-50, 기동헬기 수리온 등을 개발·생산하고 있다.
2. 민수 항공기 부품 사업: 보잉, 에어버스, 엠브라에르 등 글로벌 항공기 제조사에 기체 구조물과 부품을 공급하며, 민간 항공기 시장에서도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갖추고 있다.
3. 해외 수출: FA-50 등 완제기를 인도네시아, 이라크, 폴란드, 말레이시아 등 여러 국가에 수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방산 관련주인 이유는?
KAI는 국내 군용 항공기 시장에서 독점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고등훈련기 T-50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현재 T-50의 글로벌 고등훈련기 시장 점유율은 약 7%이며, 차세대 고등훈련기 시장에서는 68%에 달한다.
회사의 주요 고객사는 방위사업청을 통한 한국 정부 및 군, 해외에는 폴라드 공군, 말레이시아 국방부, 인도네시아, 이라크 등이 있다. 민간기업은 에어버스, 보잉이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8,251억 | 25,622억 | 27,868억 | 38,193억 |
매출원가 | 24,932억 | 22,553억 | 24,130억 | 33,554억 |
매출총이익 | 3,318억 | 3,069억 | 3,738억 | 4,638억 |
판매비와관리비 | 1,923억 | 2,487억 | 2,322억 | 2,163억 |
영업이익 | 1,395억 | 582억 | 1,416억 | 2,475억 |
2.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회사 사업모델

항공엔진 사업: 군수 및 민간용 항공기 엔진과 부품을 제조하며, 세계 3대 엔진 회사인 프랫 앤 휘트니(P&W), 롤스로이스, 제너럴 일렉트릭(GE) 등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다.
방산 사업: K9 자주포, 천무 다연장로켓 등 지상 플랫폼 및 유도탄 분야에서 첨단 기술 기반의 제품을 개발·생산하며, 글로벌 방위산업을 선도하고 있다.
시큐리티 사업: 한화비전을 통해 CCTV 카메라 및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며, 북미 시장에서 준수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국내 방위산업 시장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K9 자주포는 글로벌 시장 점유율 50%를 넘기며, 2001년 튀르키예를 시작으로 8개국에 수출 계약을 체결하였다.
회사의 주요 고객사는 폴란드, 호주, 이집트, 아랍에미리트가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53,214억 | 55,413억 | 70,603억 | 93,590억 |
매출원가 | 42,510억 | 45,229억 | 55,486억 | 72,212억 |
매출총이익 | 10,703억 | 10,184억 | 15,117억 | 21,378억 |
판매비와관리비 | 8,264억 | 7,413억 | 11,114억 | 14,466억 |
영업이익 | 2,439억 | 2,770억 | 4,003억 | 6,911억 |
3. 현대로템
회사 사업모델

1. 레일솔루션: 전동차, 고속전철, 디젤동차 등 다양한 철도 차량 및 철도 시스템을 제작하며, 국내외 철도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이 부문의 매출 비중은 56%를 차지한다.
2. 디펜스솔루션: K2 전차, 차륜형 장갑차 등 지상 무기체계를 개발·생산하며, 국내 방위사업청 및 해외 국가에 납품하고 있다. 2022년 기준, 이 부문의 매출 비중은 34%이다.
3. 에코플랜트: 자동차 생산설비, 친환경 제철설비, 수소인프라 설비, 스마트 물류설비 등을 제공하며, 2022년 기준 매출 비중은 10%를 차지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현대로템은 글로벌 철도 시장에서 약 2%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세계 10위권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국내 전동차 부문에서는 53%의 점유율로 업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주요 고객은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폴란드 국방부 등이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27,853억 | 28,725억 | 31,633억 | 35,873억 | 43,766억 |
매출원가 | 25,408억 | 26,197억 | 27,979억 | 31,229억 | 35,475억 |
매출총이익 | 2,445억 | 2,527억 | 3,654억 | 4,644억 | 8,290억 |
판매비와관리비 | 1,624억 | 1,725억 | 2,179억 | 2,543억 | 3,724억 |
영업이익 | 820억 | 802억 | 1,474억 | 2,100억 | 4,565억 |
4. 엠엔씨솔루션
회사 사업모델
엠앤씨솔루션은 유압 및 전기 솔루션을 통해 무기체계의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제품을 제공한다.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지상 분야: K2 전차와 K9 자주포의 포탑 구동 시스템, 현수장치 등을 개발·생산한다.
유도 분야: 천무, 천궁-II 등 유도무기의 발사대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항공 분야: KF-21, 수리온 등 항공기의 유압 펌프와 연료 조절 장치를 생산한다.
해상 분야: 함정 및 잠수함의 음탐 장비용 안정화 장치 등을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주요 고객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LIG넥스원, 유럽, 중동, 동남아시아 국가가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756억 | 6,090억 | 1,206억 | 1,834억 |
매출원가 | 624억 | 5,155억 | 1,064억 | 1,555억 |
매출총이익 | 132억 | 934억 | 141억 | 278억 |
판매비와관리비 | 110억 | 478억 | 59억 | 75억 |
영업이익 | 21억 | 455억 | 82억 | 203억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