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우주 위성 관련주 대장주 수혜주 4개

국내 우주 위성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국내 우주 위성 대장주, 관련주 정의, 항공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우주 위성 관련주 개요

정의

국내 우주 위성 관련주는 인공위성 개발, 발사체(로켓) 제작, 위성 통신 서비스, 지상국 인프라 등 우주산업 전반에 걸쳐 사업을 영위하거나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들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위성체를 직접 개발·제조하는 기업, 우주발사체 기술을 연구하는 기업, 위성부품과 지상국 시스템을 공급하는 기업 등이 이에 해당된다.

우주 위성이 중요한 이유는?

1. 국가 안보와 통신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위성 기반 통신, 정찰, 지리정보시스템(GIS) 등은 국방은 물론 민간 분야에도 커다란 파급효과를 미치기 때문이다.

2. 위성 분야는 고해상도 관측 기술과 데이터 서비스 분야를 혁신한다. 원격탐사 위성으로 수집한 데이터는 기후변화, 해양 자원관리, 도시계획 등 광범위한 영역에 활용되며, 국가적 의사결정의 근거 자료로도 제공된다.

3. 상업용 위성 통신과 인터넷 서비스는 전체 통신 인프라의 새로운 확장을 이끈다. 전 세계 어디서나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며, 각종 산업과 교육, 재난구호 등 사회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4. 우주발사체와 위성에 대한 기술력이 축적되면 첨단산업 생태계가 함께 성장한다. 부품·소재·정밀기계·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가 이루어져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

국내 항공 우주 시장 규모와 성장률

국내 우주 위성 관련주 대장주 수혜주 4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등에서 발표하는 ‘우주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우주산업 시장 규모는 최근 수조 원대 수준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어 2021년 기준 약 3조 원 안팎의 규모로 집계된 바 있다.

국내 우주 위성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우주개발은 정부 주도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국내외 정부 정책 방향과 예산 규모가 크게 좌우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하는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에서 제시하는 연구·개발 일정, 국가 예산 편성 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2. 위성·발사체 분야는 장기간에 걸친 연구개발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 기업이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지, 실증에 성공했는지, 신뢰할 만한 공급망을 구축했는지 등을 살펴봐야 한다.

3. 국내외에서 저궤도 위성통신(LEO) 서비스가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만큼, 글로벌 위성 통신 시장과 접목될 수 있는 기업인가도 중시된다. 세계 우주산업의 성장률과 더불어 국내 기업들의 서비스 확장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미래 가치를 가늠하는 데 유리하다.

1. 한국항공우주

회사 사업모델

1. 한국항공우주

한국항공우주(KAI)는 국내 유일의 완제기 제작 및 우주개발 역량을 갖춘 기업으로, 항공기·우주산업 분야 전반에 걸쳐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고정익 항공기: T-50 계열(고등훈련기/경공격기), KT-1 기본훈련기, FA-50 경공격기 등 군용 항공기 개발 및 생산을 주도한다. 수출형 모델을 통해 동남아, 중남미, 중동 등 해외 시장에도 적극 진출하고 있다.

우주·위성 사업: 중형·초소형 위성 개발과 조립·시험, 발사체 관련 사업 참여, 위성 정보를 활용한 솔루션 사업 등을 추진한다. 최근에는 다목적 실용위성(차세대 중형위성) 등을 수주해 위성체 개발 역량을 축적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한국항공우주는 국내 항공기 제작 분야에서 사실상 독점적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완제기 제조, 위성체 제작, 부품 사업 등을 통합 운영하는 기업은 KAI가 유일하다.

한국 공군, 해군, 육군 등을 대상으로 훈련기, 공격기, 헬기, 무인기 등 여러 종류의 군용 항공기 및 정비 사업을 제공한다. 인도네시아, 필리핀, 이라크, 태국 등에서 T-50 계열을 포함한 훈련기·경공격기를 도입했고, 후속 지원 프로그램까지 계약해 장기 파트너십을 형성하였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28,251억25,622억27,868억38,193억
매출원가24,932억22,553억24,130억33,554억
매출총이익3,318억3,069억3,738억4,638억
판매비와관리비1,923억2,487억2,322억2,163억
영업이익1,395억582억1,416억2,475억

2. 쎄트렉아이

회사 사업모델

2. 쎄트렉아이

쎼트렉아이는 소형·중형 위성 개발을 주축으로 한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국내 대표 우주산업 기업이다. 위성 본체, 지상국, 영상처리, 위성 활용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외 시장으로도 꾸준히 진출 중이다.

소형 위성을 중심으로 위성 구조체, 탑재체(광학·SAR 등), 전력계, 자세 제어 시스템 등을 직접 개발한다. 특히 지구 관측(EO) 분야 소형·초소형 위성 제작에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위성 운용을 위한 지상국(안테나, 관제 시스템 등) 구축 서비스를 제공하며, 위성 촬영 영상을 수신·처리·분석하는 통합 솔루션을 보유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국내 민간 업체 가운데 소형 위성을 종합 설계·제작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기업은 매우 제한적이므로, 쎼트렉아이가 사실상 국내 1위 수준의 시장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주요 고객은 정부 및 공공기관, 중동과 동남아시아 지역 위성 개발 프로젝트 수주 경험이 있다. 그외 민간기업과 연구소가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1년2022년2023년2024년
매출액(수익)734억913억1,254억1,712억
매출원가628억846억1,102억1,444억
매출총이익106억67억151억267억
판매비와관리비93억144억195억298억
영업이익12억-77억-43억-30억

3. 인텔리안테크

회사 사업모델

Screenshot 2025 03 17 at 9.56.43 AM

인텔리안테크는 위성 통신 안테나 및 단말기 분야에서 독자적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기업으로, 해상·육상·우주 지상국을 아우르는 위성통신 솔루션을 제공한다. 해상용 위성통신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저궤도(LEO) 위성 시대의 도래에 따라 지상국 안테나 및 위성통신 터미널 분야에서도 꾸준히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가장 핵심은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VSAT, FBB 등) 사업이다. 국제해사기구(IMO)의 안전규정과 선박·해양플랜트에서 필요로 하는 인터넷 통신 수요 증가에 부응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시장 점유율을 보면 인텔리안테크는 해상용 위성통신 안테나 부문에서 글로벌 선두권 기업으로 꼽힌다. 여러 시장 조사 보고서와 기업 공시에 따르면 전 세계 해상용 VSAT 안테나 시장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 시장 내 점유율이 상당히 높게 형성되어 있다.

주요 고객사는 글로벌 해상통신 서비스 기업과 정유·가스, 해운, 크루즈선, 오일·가스 시추선 등 다양한 해양 산업 고객들이 포함된다. 인마샛(Inmarsat), 스피드캐스트(Speedcast), 텔레노르(Telenor Satellite) 등 위성통신 서비스 업체를 비롯해 해외 대형 해운사들이 인텔리안테크가 생산한 VSAT 안테나를 채택한다.

저궤도 위성 시장에서는 원웹(OneWeb), 텔레샛(Telesat) 등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였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1,101억1,380억2,394억3,050억
매출원가578억806억1,374억1,826억
매출총이익522억573억1,020억1,223억
판매비와관리비490억550억866억1,116억
영업이익32억22억153억107억

4. 한화시스템

회사 사업모델

4. 한화시스템

한화시스템은 방산·ICT·우주항공 분야를 종합적으로 영위하는 기업이다. 레이더·통신·지휘통제시스템 등 방위산업의 전자·정보통신 분야에서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력을 바탕으로 우주항공, 에어모빌리티(UAM) 등 신사업도 확대 중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 등 계열사와 협력해 저궤도(LEO) 위성통신, 우주 발사체 관련 기술, 인공위성 탑재체 사업 등에 참여한다. 정부 과제 및 민간 우주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위성 안테나, 위성 통신장비 등 고부가가치 분야를 육성하고 있다.

미래 교통수단인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술 연구개발에 나서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과 협력해 항법·통신·관제 시스템 분야에서 역량을 높이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한화시스템은 방위산업 전자·통신·지휘통제 부문에서 국내 1~2위를 다투는 기업으로 꼽힌다. 함정 전투체계, 레이더, 군 통신장비 등 핵심 분야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한다.

주요 고객은 국내 해군(함정 전투체계·레이더 등), 육군(지휘통제·통신), 공군(항전장비 등)에서 주로 도입하는 군사 장비를 공급한다. 그리고 정부 기관 및 해외 정부 기업이 있으며, 한화그룹 계열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발사체·엔진), 한화(화약·방산), 한화에너지 등 그룹 내 우주·에너지·화약 부문과 협력해 그룹 내부 공급망 및 통합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16,428억20,895억21,879억24,530억
매출원가13,953억18,058억19,325억21,487억
매출총이익2,475억2,836억2,554억3,043억
판매비와관리비1,546억1,715억2,163억2,114억
영업이익928억1,120억390억928억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일론머스크 스페이스엑스 수혜받는 국내기업 (링크)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테슬라 로봇 옵티머스 수혜받는 기업 6개 (링크)

10배 수익률 섹터 미국 양자컴퓨터 관련주 (링크)

인공지능 수혜받는 섹터 미국 보안 관련주 (링크)

데이터센터 필수인 액침냉각 기술 미국 관련주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

상위 25% 안에 들어가는 주식 분석 4단계 방법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