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율주행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스마트카 대장주, 관련주 정의, 운전자 없는 자동차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자율주행 관련주 개요
정의
자율주행 관련주는 자율주행 기술 및 서비스와 관련된 사업을 영위하거나 기술 개발에 참여하는 국내 기업들의 주식을 말한다. 이들 기업은 자율주행 차량의 개발, 제조, 운영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속해 있다. 자율주행 관련주는 완성차 제조업체부터 부품 공급업체, 통신 및 인프라, 소프트웨어 업체가 있다.
자율주행 산업이 중요한 이유는?
1. 자율주행은 미래 자동차 시장의 핵심 기술로, 전기차, 공유 모빌리티, 스마트 시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자율주행 기술은 스마트 시티 인프라(도로, 신호 체계 등)와 통합되어, 효율적인 도시 교통 관리가 가능해진다.
2. 자율주행 기술은 교통사고를 줄이고 안전성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AI와 센서를 활용해 사람의 실수를 줄일 수 있다.
국내 자율주행 시장 규모와 성장률

시장 규모: 2022년 국내 자율주행차 시장은 약 1,262억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3년에는 약 1,704억 달러로 성장하였다.
연평균 성장률(CAGR):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약 38.8%로 전망되며, 2030년에는 시장 규모가 약 8,08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국내 자율주행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자율주행 관련주는 테슬라처럼 기술 개발 속도와 기술의 차별성이 핵심이다. 라이다(LiDAR), 카메라 센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등에서 경쟁력을 가진 기업에 주목해야 한다. 국내에는 테슬라와 같은 기업이 있는지 의문이다.
2. 한국 정부는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위해 관련 법안과 테스트베드(규제자유특구)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정책 방향에 따라 시장 진출 시점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부의 중장기 로드맵을 참고하자. 미국은 규제를 풀고 있는데… 한국은?
3. 자율주행 기술은 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며, 상용화 시점까지 장기적인 투자가 요구된다.
1. HL만도
회사 사업모델
1. 자동차 부품 사업
- 제동 시스템: 디스크 브레이크, 전자 제동 시스템(IDB, ABS 등)을 개발 및 공급.
- 조향 시스템: 전자식 조향 장치(EPS) 및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제공.
- 현가 시스템: 전자식 서스펜션(ECS) 및 댐퍼 등 차량 주행 안정성 강화 부품 생산.
2.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자율주행의 핵심 기술로 레이더, 초음파 센서, 카메라, 전자제어 유닛(ECU) 등을 제공.
e-Drive: 전기차용 구동 시스템 및 전기차 브레이크 시스템 개발.
친환경 부품: 전기차와 수소차를 위한 경량화 소재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부품 생산.
3. 글로벌 네트워크
HL만도는 아시아, 북미, 유럽, 남미에 걸쳐 사업장을 운영하며, 세계 60여 개 완성차 제조사에 제품을 공급한다.
국내 자율주행 대장주인 이유는?
HL만도는 자율주행에 필수적인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레이다, 카메라 기술, 초음파 센서 등을 완성차 제조사에 공급하고 있다. 자율주행, 전기차와 같은 미래 모빌리티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e-Drive, 수소연료전지 컨버터 등 친환경차 솔루션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미국의 주요 전기차 시장에 자율주행 핵심 부품을 공급하며, 북미 주요 완성차 제조사와 협력 중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59,818억 | 55,635억 | 61,474억 | 75,161억 | 83,930억 |
매출원가 | 51,477억 | 48,938억 | 52,461억 | 65,101억 | 72,626억 |
매출총이익 | 8,341억 | 6,697억 | 9,012억 | 10,060억 | 11,304억 |
판매비와관리비 | 6,155억 | 5,809억 | 6,689억 | 7,579억 | 8,512억 |
영업이익 | 2,185억 | 887억 | 2,323억 | 2,481억 | 2,792억 |
2. 모트렉스
회사 사업모델

모트렉스(Motrex)는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과 전장 부품을 개발·생산하는 기업으로, 스마트카 및 자율주행차 기술에 집중하고 있다. 전 세계 76개 국가에 549개 모델의 제품을 공급하며, 해외 매출 비중이 90%를 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인포테인먼트 시스템(IVI): 차량 내 오디오, 내비게이션,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통합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현대차, 기아차 등 주요 완성차 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전장 부품: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등 스마트카의 필수 장치를 개발·제조하며, 다양한 전장용품을 생산하고 있다.
자율주행 수혜주인 이유는?
모트렉스는 자율주행 시대의 필수 부품인 ADAS 전장 부품을 개발하여 일본 완성차 업체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등 적극적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스마트카, 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의 필수 장치인 HUD, ADAS 등을 개발·제조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3,136억 | 3,538억 | 4,367억 | 5,685억 | 5,310억 |
매출원가 | 2,700억 | 2,979억 | 3,441억 | 4,401억 | 4,054억 |
매출총이익 | 436억 | 558억 | 925억 | 1,283억 | 1,256억 |
판매비와관리비 | 462억 | 451억 | 572억 | 694억 | 724억 |
영업이익 | -26억 | 106억 | 353억 | 588억 | 531억 |
3. 에스오에스랩
회사 사업모델
에스오에스랩(SOSLAB)은 라이다(LiDAR) 기술을 전문으로 개발하는 기업으로, 자율주행차와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센서를 제공한다.
스마트톨링 시스템 등 스마트시티 인프라에 라이다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미국, 유럽 등 해외 시장에서의 파트너십을 통해, 라이다 기술의 글로벌 표준화를 선도하고 있다.
자율주행 관련주인 이유는?
자율주행 핵심 기술 보유: 라이다는 자율주행 차량의 ‘눈’ 역할을 하는 핵심 센서로, 에스오에스랩의 기술력은 자율주행 시스템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완성차 업체와의 협력: 현대차그룹 로보틱스랩과 모바일 로봇용 라이다를 공동 개발하는 등 주요 자동차 제조사와의 협력을 통해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에 참여하고 있다.
기술 혁신 및 수상 경력: 차세대 라이다 ‘ML-U’가 CES 2025 혁신상을 수상하는 등 기술력을 인정받아, 자율주행 분야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2억 | 23억 | 41억 |
매출원가 | 8.6억 | 20억 | 26억 |
매출총이익 | 3.5억 | 2.7억 | 15억 |
판매비와관리비 | 73억 | 98억 | 98억 |
영업이익 | -69억 | -96억 | -83억 |
4. 텔레칩스
회사 사업모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텔레칩스는 차량 내 오디오, 비디오 시스템 및 내비게이션을 통합한 인포테인먼트 솔루션을 제공한다. 텔레칩스는 현대차, 기아 등 국내 주요 완성차 업체뿐만 아니라, 중국의 장안자동차 등 해외 시장에도 제품을 공급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개발: 자율주행차에 필요한 고성능 칩을 개발하여, 차량의 이미지와 영상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자율주행 관련주인 이유는?
텔레칩스는 자율주행차의 핵심 요소인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개발하여,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텔레칩스는 NPU(신경망 처리 장치)를 적용한 ADAS 반도체 칩 ‘엔돌핀’을 개발하여, 자율주행 레벨 3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텔레칩스는 현대차, 기아에 들어가는 인포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 점유율이 80%에 달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322억 | 1,007억 | 1,364억 | 1,504억 | 1,910억 |
매출원가 | 733억 | 660억 | 864억 | 938억 | 1,106억 |
매출총이익 | 588억 | 346억 | 499억 | 565억 | 804억 |
판매비와관리비 | 512억 | 431억 | 418억 | 473억 | 636억 |
영업이익 | 76억 | -84억 | 80억 | 91억 | 167억 |
국내 증권사 추천 종목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