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저출산 관련 정책 수혜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출산률을 올리는게 중요한 이유, 출신 시장 규모와 성장성, 각 회사의 출산과 관련된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저출산 관련주 개요
정의
저출산 관련주는 일반적으로 출산 장려나 육아 환경 개선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는 기업들을 말한다. 보육 시설, 영유아 교육, 분유·기저귀·유아 의류 같은 필수 소비재, 난임·산부인과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도 포함된다. 난임 시술이나 인공수정 기술 분야에서 앞서 있는 병원·바이오 기업도 관련주로 언급되곤 한다.
출산률 올리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인구 구조 균형: 출생아 수 감소가 오래 지속되면 생산가능인구가 빠르게 줄어든다. 이는 장기적으로 사회·경제 전반에 부담을 줄 수 있다.
경제성장 동력: 인구가 줄어들면 소비·투자 위축으로 이어져 경제성장률이 낮아지고, 산업 경쟁력이 약화되기 쉽다.
사회보장 부담: 고령 인구는 늘어나는데 젊은 세대는 줄면 연금, 의료보험 등 사회보장제도의 재정이 악화될 위험이 높아진다.
노동력 안정성: 군 복무 가능 인력뿐 아니라 제조·서비스 등 여러 산업 분야의 인력 부족을 초래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노동시장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끼친다.
국내 유아 시장 규모와 성장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통계청 등에 따르면 국내 영유아 용품 시장(분유, 기저귀, 의류, 유모차, 카시트 등)은 연간 3조 원대 중반에서 4조 원대 사이로 추정된다는 보고가 있다.
몇몇 산업 보고서(예: 산업연구원, 2020년 발표 자료)에서는 연평균 1~3% 안팎의 완만한 성장 혹은 정체에 가까운 추세로 분석하기도 했다. 고가 수입 유아용품이나 유아 교육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해, 시장의 세분 분야별로는 서로 다른 성장 패턴이 나타난다.
국내 저출산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저출산 대책은 거의 매년 발표되지만, 정책의 실제 집행 규모와 효과는 제각각이다. 일회성 지원금이나 단기 사업에 그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책 수혜가 실제 매출이나 이익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인지 확인이 필요하다.
2. 한국은 합계출산율 0.7 이하로 세계 최저 수준이며, 이 흐름은 쉽게 반전되지 않을 전망이다. 따라서 단순히 “출산 관련”이라는 이유만으로 성장 기대를 갖는 것은 무리일 수 있다. 오히려 “한 아이에게 더 많이 쓰는” 소비 심리 변화나 고급화, 프리미엄화 전략에 집중하는 기업이 더 유리할 수 있다.
3. 저출산 관련주는 테마주 성격이 강해, 정책 발표나 언론 보도에 따라 단기 급등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적이 받쳐주지 않으면 급등 이후 급락할 수 있다. 조심하자!!
1. 꿈비
회사 사업모델

꿈비는 유아용 가구 및 용품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으로, 아기 침대, 유아 안전 매트, 식탁 의자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2023년 베이비뉴스의 브랜드 선호도 조사에서 꿈비는 아기 침대 부문 1위(34%), 유아 안전 매트 부문 2위(39%), 아기 식탁 의자 부문 1위(31%)를 차지했다. 신생아 및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이 주요 고객층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185억 | 209억 | 271억 | 289억 | 394억 |
매출원가 | 116억 | 126억 | 181억 | 210억 | 252억 |
매출총이익 | 68억 | 82억 | 89억 | 78억 | 142억 |
판매비와관리비 | 47억 | 59억 | 78억 | 105억 | 138억 |
영업이익 | 20억 | 23억 | 11억 | -26억 | 4.0억 |
2. 아가방컴퍼니
회사 사업모델

아가방컴퍼니는 유아 의류, 용품, 완구 등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으로, ‘아가방’, ‘디어베이비’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며 온·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제품을 유통하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2021~2022년 기준으로 국내 영유아 의류 시장에서 10% 전후의 점유율을 차지한다는 추정치가 있다.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및 보호자들이 주요 고객층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1,509억 | 1,743억 | 1,864억 | 1,827억 |
매출원가 | 655억 | 682억 | 707억 | 662억 |
매출총이익 | 854억 | 1,060억 | 1,156억 | 1,164억 |
판매비와관리비 | 795억 | 915억 | 991억 | 1,012억 |
영업이익 | 59억 | 145억 | 165억 | 152억 |
3. 제로투세븐
회사 사업모델

제로투세븐은 유아 의류, 용품, 스킨케어 제품 등을 제조·판매하며, ‘알로앤루’, ‘알로앤다함께’, ‘포래즈’ 등의 브랜드를 운영한다. 또한, 유아동 전문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다양한 브랜드의 제품을 유통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영유아 의류 시장에서 아가방컴퍼니와 비슷한 10% 안팎의 점유율을 차지한다. 0세부터 7세까지의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이 주요 고객층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863억 | 903억 | 694억 | 668억 |
매출원가 | 545억 | 515억 | 416억 | 388억 |
매출총이익 | 317억 | 388억 | 278억 | 280억 |
판매비와관리비 | 245억 | 294억 | 254억 | 265억 |
영업이익 | 71억 | 93억 | 23억 | 15억 |
4. 깨끗한나라
회사 사업모델

깨끗한나라는 위생용품 및 생활용품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으로, 기저귀, 생리대, 물티슈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국내 영유아 기저귀 시장은 유한킴벌리 ‘하기스’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뒤이어 깨끗한나라(보솜이), LG생활건강(베비언스), P&G(팸퍼스) 등이 경쟁한다.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및 여성 소비자들이 주요 고객층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5,915억 | 5,787억 | 6,064억 | 5,148억 | 5,370억 |
매출원가 | 4,636억 | 4,866억 | 5,273억 | 4,537억 | 4,551억 |
매출총이익 | 1,278억 | 921억 | 790억 | 610억 | 818억 |
판매비와관리비 | 758억 | 791억 | 753억 | 800억 | 828억 |
영업이익 | 520억 | 130억 | 37억 | -189억 | -9.0억 |
국내 증권사 추천 종목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