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철강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철강 대장주, 관련주 정의, 국가기간 산업이 중요한 이유, 국내 시장 규모와 성장성, 각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철강 관련주 개요
정의
철강 관련주는 철강을 생산, 가공, 유통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제철소를 운영하는 대형 철강 기업, 철강을 가공하여 다양한 산업에 공급하는 중소형 가공업체, 철강 유통업체 등이 포함된다.
철강업이 중요한 이유는?
철강 산업은 건설, 자동차, 조선, 기계 등 핵심 산업의 필수 소재를 공급하는 기반 산업이다. 철강 없이는 고층 건물, 자동차, 선박, 기차 등을 만들 수 없다. 따라서 철강 산업의 성장은 국가 경제의 성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경기 변동에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
철강 산업은 고용 창출 효과가 크고, 국가 인프라 건설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산업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과 직결된다.
글로벌 철강 시장 규모와 성장률

글로벌 철강선 시장의 경우 2023년 약 689억 달러 규모로 평가되었으며, 2024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5.8%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글로벌 추세는 국내 철강 산업에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국내 철강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철강사는 주로 철광석이나 석탄 등 원료의 안정적인 확보가 핵심 과제다. 글로벌 원자재 시장에서 가격이 크게 오르거나 물류 차질이 발생한다면 제조 원가 상승으로 이어지기 쉬워 기업의 이익률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거나 안정세를 보인다면 철강 제조업체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세계 철광석 생산국(호주, 브라질 등)의 공급 상황과 경기 상황, 운송 비용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2. 철강은 건설·자동차·조선 등 전방 산업의 영향력이 크다. 건설 경기 침체로 주택·상업용 건물 착공이 줄어든다면, 철근·후판 등의 수요도 감소하게 된다.
1. POSCO홀딩스
회사 사업모델

POSCO홀딩스는 2022년 3월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여, 그룹의 미래 성장 전략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 아래, 철강, 이차전지소재, 리튬·니켈, 수소, 에너지, 건축·인프라, 식량 등 7대 핵심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철강 부문에서는 저탄소 생산체제 구축과 프리미엄 제품 판매 강화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고객사
과거 국내 조강생산량 기준으로 60%를 상회하던 POSCO의 시장 점유율은 경쟁업체의 증설 이후 50%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577,928억 | 763,323억 | 847,502억 | 771,272억 |
매출원가 | 530,723억 | 644,512억 | 771,009억 | 707,102억 |
매출총이익 | 47,204억 | 118,811억 | 76,492억 | 64,169억 |
판매비와관리비 | 23,173억 | 26,430억 | 27,992억 | 28,854억 |
영업이익 | 24,030억 | 92,380억 | 48,500억 | 35,314억 |
2. 현대제철
회사 사업모델

현대제철의주요 제품으로는 철근, 형강, 열연, 냉연, 후판, 특수강, 자동차 부품 등을 생산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현대제철은 국내 철근과 형강 시장에서 각각 약 30%, 60%의 시장 점유율로 업계 1위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또한 열연강판, 냉연강판, 후판 등 판재류 부문과 강관 시장에서도 생산능력 기준 업계 2위의 시장 지위를 보유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현대자동차그룹의 주력 철강업체로서, 계열사인 현대자동차와 기아 등 자동차 제조사에 자동차용 강판을 공급하고 있다. 건설업, 조선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과 협력하며, 국내외 스틸 서비스 센터를 통해 글로벌 고객사에 제품을 제공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80,234억 | 228,499억 | 273,406억 | 259,147억 |
매출원가 | 169,302억 | 193,263억 | 245,068억 | 237,822억 |
매출총이익 | 10,931억 | 35,235억 | 28,337억 | 21,324억 |
판매비와관리비 | 10,201억 | 10,760억 | 12,172억 | 13,341억 |
영업이익 | 730억 | 24,475억 | 16,164억 | 7,983억 |
3. 세아베스틸지주
회사 사업모델

세아베스틸지주는 2022년 4월 1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여, 특수강 및 스테인리스 제품을 생산하는 자회사들을 관리·지원하고 있다. 주요 자회사로는 특수강 봉강을 생산하는 세아베스틸과 스테인리스 선재·봉강을 생산하는 세아창원특수강이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세아베스틸은 국내 특수강 봉강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아창원특수강은 스테인리스 선재·봉강 시장에서 국내 1위의 시장 지위를 보유하고 있다.
현대·기아차, 한국GM, 르노코리아, 쌍용차 등 국내 주요 완성차 업체와 협력한다. 엔진·파워트레인·현가장치 등 다양한 부품 소재를 제공한다.
두산,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중장비·조선 대기업들이 대표적인 고객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5,357억 | 36,511억 | 43,863억 | 40,834억 |
매출원가 | 24,026억 | 32,573억 | 40,405억 | 36,774억 |
매출총이익 | 1,330억 | 3,937억 | 3,458억 | 4,060억 |
판매비와관리비 | 1,364억 | 1,553억 | 2,179억 | 2,093억 |
영업이익 | -33억 | 2,384억 | 1,278억 | 1,966억 |
4. KG스틸
회사 사업모델

열연코일을 가공해 내식성과 가공성을 높인 냉연강판을 생산한다. 이를 통해 자동차, 전자제품 부품 등에 쓰일 수 있는 기초 소재를 제공한다. 아연도금·알루미늄도금 등을 거쳐 방청 기능이 높아진 강판과, 건축 내외장재에 쓰이는 컬러강판 등을 주력으로 생산한다. 뛰어난 내구성과 다양한 색상을 갖춰 가전·건자재 시장에서 활용도가 높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국내 철강업계에서 냉연과 도금강판 분야를 중심으로 일정 수준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업계 선도 기업인 포스코, 현대제철 등에 비해 규모는 다소 작지만, 니치 시장과 특정 제품군에 강점이 있는 편이다.
국내외 주요 자동차 제조사와 가전제품 업체들이 KG스틸의 주요 고객사로 알려져 있다. KCC, LG전자, 삼성전자, 현대, 기아차 협력사 등이 있따.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3,424억 | 33,547억 | 38,196억 | 34,298억 |
매출원가 | 21,326억 | 29,580억 | 33,738억 | 30,301억 |
매출총이익 | 2,097억 | 3,967억 | 4,458억 | 3,997억 |
판매비와관리비 | 989억 | 998억 | 1,055억 | 1,193억 |
영업이익 | 1,107억 | 2,969억 | 3,403억 | 2,804억 |
국내 증권사 추천 종목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