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탄소배출권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탄소 포집 대장주, CCUS 관련주 정의, 친환경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탄소배출권 관련주 개요
정의
탄소배출권 관련주는 기업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거나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에서 이익을 얻는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이다. 주로 탄소저감 기술, 친환경 에너지, 배출권 거래소 운영,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을 보유한 회사들이 포함된다. 국내 주요 탄소배출권 관련 기업으로는 포스코인터내셔널, 에코프로, 한화솔루션 등이 있다.
중요한 이유는?
탄소배출권은 기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관리하고 줄이도록 유도하여 지구 온난화를 완화한다. 정부와 국제기구가 설정한 탄소 배출 규제를 준수하지 않으면 벌금을 물기 때문에 기업들은 배출권을 구매하거나 친환경 기술을 도입해 비용을 절감한다. 배출권 거래 시장이 확대되면서 관련 기업들은 탄소배출권 판매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친환경 기술 개발도 장기적으로 경제적 가치를 높인다.
탄소배출권 시장 규모와 성장률

시장 규모: 2023년 전 세계 탄소배출권 거래제(ETS) 시장의 시가총액은 약 8,810억 유로(한화 약 1,260조 원)로, 전년 대비 2% 증가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ESG Economy)
성장률: 2024년부터 2031년까지 탄소배출권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CAGR) 39.42%로 성장하여, 2031년에는 약 1조 3,322억 6,8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탄소배출권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탄소배출권 시장은 정부 정책과 국제 환경 규제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탄소배출량 제한이 강화될수록 관련 기업의 수익성이 높아질 수 있다. 시장에서 배출권 가격이 상승하면 관련 기업의 실적이 좋아질 수 있다.
1. TKG휴켐스
회사 사업모델

TKG휴켐스(구 휴켐스)는 대한민국의 화학 소재 기업으로, 질산, 초산, DNT(다이니트로톨루엔), MNB(모노니트로벤젠) 등 주요 산업 화학물질을 생산한다. 이들 제품은 반도체, 자동차, 전자, 건축 등 다양한 산업의 필수 소재로 사용된다.
TKG휴켐스는 질산, 황산, 초산 등 기초 화학 물질을 생산해 국내외 기업에 공급한다. 질산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N2O(아산화질소)를 제거하는 환경 설비를 운영하고 있다. 이 공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권을 확보해 국내외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ETS)에서 거래하고 있다.
탄소배출권 관련주인 이유는?
질산 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N2O(아산화질소)는 이산화탄소보다 약 300배 강력한 온실가스다. TKG휴켐스는 이를 제거하는 설비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한다. 확보된 탄소배출권은 유럽연합 배출권거래제(EU ETS)와 국내 K-ETS(한국 배출권거래제) 시장에서 판매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6,597억 | 5,935억 | 8,612억 | 12,358억 | 10,526억 |
매출원가 | 5,167억 | 4,639억 | 7,318억 | 10,785억 | 8,862억 |
매출총이익 | 1,430억 | 1,296억 | 1,293억 | 1,572억 | 1,664억 |
판매비와관리비 | 366억 | 343억 | 360억 | 401억 | 452억 |
영업이익 | 1,063억 | 952억 | 934억 | 1,171억 | 1,212억 |
2. 한솔홈데코
회사 사업모델

인테리어 자재 생산 및 유통: 한솔홈데코는 마루, 벽면재, 도어 등 다양한 인테리어 자재를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해외 조림 사업: 뉴질랜드에서 조림 사업을 통해 목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목재 산업을 완성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 및 친환경 사업: 폐목재를 활용한 스팀 에너지 생산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사업을 통해 에너지 자립을 추구하고 있다.
탄소배출권 관련주인 이유는?
한솔홈데코는 뉴질랜드에서 조림 사업을 통해 탄소를 흡수하는 산림을 조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 있다. 폐목재를 활용한 스팀 에너지 생산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인증서(REC)를 발급받아 추가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638억 | 2,532억 | 2,632억 | 2,834억 | 3,000억 |
매출원가 | 2,334억 | 2,174억 | 2,170억 | 2,347억 | 2,582억 |
매출총이익 | 304억 | 357억 | 461억 | 486억 | 418억 |
판매비와관리비 | 321억 | 330억 | 375억 | 459억 | 439억 |
영업이익 | -16억 | 27억 | 86억 | 27억 | -21억 |
3. 이건산업
회사 사업모델

목재 가공 및 건자재 생산: 이건산업은 합판, 마루 등 건축용 자재를 제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이를 통해 건설 및 인테리어 산업에 필수적인 자재를 제공한다.
해외 조림 사업: 1987년부터 솔로몬 제도에서 대규모 조림 사업을 진행하며, 자체 조림지에서 생산된 목재를 활용하여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에너지 사업: 자회사인 이건에너지를 통해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열병합 발전소를 운영하며, 생산된 에너지를 계열사 및 인근 공장, 한국전력거래소 등에 공급하고 있다.
탄소배출권 관련주인 이유는?
이건산업은 솔로몬 제도에서의 조림 사업을 통해 대규모 산림을 조성하고 있으며, 이는 탄소 흡수원으로 기능하여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한다. 이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거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유리한 위치를 선점할 수 있다.
이건에너지는 폐목재와 목재 부산물을 활용한 열병합 발전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이는 화석 연료 사용을 대체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며,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를 확보하는 데 기여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796억 | 2,569억 | 2,768억 | 3,293억 | 3,115억 |
매출원가 | 2,447억 | 2,245억 | 2,161억 | 2,693억 | 2,688억 |
매출총이익 | 349억 | 324억 | 606억 | 599억 | 427억 |
판매비와관리비 | 252억 | 265억 | 285억 | 406억 | 335억 |
영업이익 | 96억 | 58억 | 321억 | 193억 | 91억 |
4. SGC에너지
회사 사업모델

SGC에너지는 발전·에너지, 건설, 유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종합 에너지 기업이다. 특히 친환경 에너지 생산과 탄소 저감 기술 도입에 주력하며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열병합 발전: 군산사업장에서 열병합 발전소를 운영하며, 산업용 증기와 전기를 생산하여 공급한다.
바이오매스 발전: 석탄 대신 목재 펠릿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바이오매스 발전소로 전환하여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있다.
탄소배출권 관련주인 이유는?
SGC에너지는 유연탄과 바이오매스를 혼합 사용하거나 100% 바이오매스 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소를 운영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300만 톤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하며, 그 중 일부를 외부에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설비를 통해 연간 1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액화탄산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달성하고, 추가적인 탄소배출권을 확보하여 판매 수익을 올릴 수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877억 | 3,199억 | 2,653억 | 2,842억 | 30,240억 |
매출원가 | 2,518억 | 3,053억 | 2,613억 | 2,538억 | 28,133억 |
매출총이익 | 359억 | 146억 | 39억 | 303억 | 2,107억 |
판매비와관리비 | 314억 | 316억 | 288억 | 292억 | 1,039억 |
영업이익 | 45억 | -170억 | -248억 | 11억 | 1,068억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