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6G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대장주, 관련주 정의, 초고속 인터넷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6G 관련주 개요
6G 정의
6G는 5G 이후의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 약 2030년경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6G는 현재의 5G 네트워크보다 훨씬 빠른 속도와 높은 연결성을 제공하며, 초저지연 통신 및 광범위한 IoT(사물인터넷) 기기 연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6G 네트워크는 테라헤르츠(THz) 대역을 활용해 5G보다 최대 100배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약 1ms 이하의 초저지연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국내 6G 통신장비 관련주는 한울소재과학, 머큐리, 서진시스템, RF머트리얼즈, RFHIC, 쏠리드등이 있다.
6G 중요한 이유는?
1. 6G는 5G보다 100배 더 빠르며 고해상도 스트리밍, 몰입형 AR/VR 및 향상된 IoT 애플리케이션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한다.
2. 6G의 URLLC(초신뢰성, 저지연 통신)는 스마트 도시, 자율주행차, 산업 자동화와 같은 부문에 중요한 수백만 대의 IoT 장치를 지원한다.
3. 6G는 더 빠르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통해 홀로그램 통신, 실시간 디지털 트윈, 향상된 AI 처리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을 장치에서 직접 활성화한다.
6G 시장 규모와 성장률

전 세계 6G 시장의 가치는 2023년 약 57억 달러였으며 2032년까지 약 41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4~2032년 연평균 성장률(CAGR)은 24.7%이다.
6G 관련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6G는 아직 연구 초기 단계에 있으며, 상용화는 2030년경으로 예상한다. 장기적인 기술 개발에 따른 리스크와 투자의 장기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연구 단계에서의 성과, 표준화 진행 상황, 상용화 일정 등을 주기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점검해야 한다.
6G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통신 장비, 반도체, 클라우드 컴퓨팅 등 다양한 산업 간 협력이 필요하다. 주요 통신사와의 파트너십, 반도체 및 장비 공급사와의 관계, 클라우드 및 데이터 센터 구축을 위한 전략적 제휴 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파트너십이 견고할수록 시장 진입 및 경쟁력 확보에 유리하다.
1. RFHIC
회사 사업모델

RFHIC는 GaN 기술을 기반으로 한 전력증폭기와 트랜지스터를 개발, 생산하여 통신 장비 제조사와 방산 업체 등에 공급하고 있다. GaN 기술은 기존의 실리콘(Si) 기반 기술보다 높은 효율과 출력,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여 차세대 통신 기술에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RFHIC는 국내에서 GaN 전력증폭기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회사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노키아, 화웨이 등 글로벌 통신 장비 제조사와 국내외 레이더 관련 방산 업체들이다.
6G 통신 기술은 초고속, 초저지연, 초연결성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주파 대역에서의 안정적인 신호 증폭이 필수적이다. RFHIC의 GaN 기반 전력증폭기는 이러한 고주파 대역에서 높은 효율과 출력을 제공하여 6G 네트워크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077억 | 704억 | 1,015억 | 1,080억 | 1,114억 |
매출원가 | 682억 | 502억 | 638억 | 695억 | 746억 |
매출총이익 | 395억 | 202억 | 377억 | 384억 | 367억 |
판매비와관리비 | 216억 | 232억 | 333억 | 376억 | 364억 |
영업이익 | 179억 | -30억 | 43억 | 8.0억 | 3.0억 |
2. 케이엠더블유(KMW)
회사 사업모델

케이엠더블유(KMW)는 1991년에 설립된 무선통신장비 전문 제조 기업으로, 전 세계 이동통신 기지국에 장착되는 다양한 장비와 부품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 제품으로는 필터, 안테나, 다중입출력장치(MMR) 등이 있으며, 특히 필터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케이엠더블유는 무선주파수(RF) 부품과 시스템을 개발, 생산하여 글로벌 통신장비 제조사와 통신사에 공급하는 것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케이엠더블유는 중국의 주요 통신장비 업체인 ZTE에 필터를 공급하며, ZTE 내에서 약 60%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케이엠더블유의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 노키아, ZTE 등 글로벌 통신장비 제조사다.
케이엠더블유는 5G 시대에 필터와 MMR 등 핵심 부품을 공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케이엠더블유가 5G 장비업체 중 주가가 가장 많이 상승한 회사다. 회사는 6G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고주파 대역에서의 신호 처리 기술은 케이엠더블유의 핵심 역량 중 하나로, 6G 관련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6,828억 | 3,385억 | 2,051억 | 1,794억 | 1,000억 |
매출원가 | 4,650억 | 2,391억 | 1,550억 | 1,466억 | 929억 |
매출총이익 | 2,178억 | 993억 | 501억 | 328억 | 71억 |
판매비와관리비 | 801억 | 666억 | 780억 | 778억 | 699억 |
영업이익 | 1,377억 | 326억 | -278억 | -449억 | -628억 |
3. 쏠리드
회사 사업모델

쏠리드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핵심 장비인 중계기와 광전송장비를 제조하여 국내외 통신사 및 장비 제조사에 공급하고 있다. 개방형 무선접속망(O-RAN) 기술을 적용한 기지국 장비를 개발하여, 네트워크 효율성과 유연성을 높이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쏠리드는 국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 모두 기지국 장비를 공급하는 유일한 기업으로, 국내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유럽과 북미 시장에서도 사업을 확장하여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쏠리드는 6G 시대를 대비하여 관련 기술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2024년 7월, 쏠리드의 자회사인 쏠리드랩스는 ‘6G Upper-mid Band Extrem Massive MIMO 시스템 기술개발’ 국책 과제에 참여기관으로 선정되어, 6G 상용화를 선도하기 위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292억 | 1,711억 | 2,122억 | 2,797억 | 3,213억 |
매출원가 | 1,637억 | 1,181억 | 1,437억 | 1,717억 | 2,003억 |
매출총이익 | 655억 | 529억 | 685억 | 1,080억 | 1,210억 |
판매비와관리비 | 690억 | 686억 | 624억 | 794억 | 847억 |
영업이익 | -35억 | -157억 | 61억 | 285억 | 362억 |
4. 이노와이어리스
회사 사업모델

이노와이어리스는 2000년에 설립된 통신 장비 전문 기업으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시험·계측 장비와 스몰셀(소형 기지국) 솔루션을 개발·제조·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통신망의 품질 최적화와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축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이노와이어리스의 주요 고객사는 국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와 글로벌 통신 장비 제조사이다. 일본과 인도의 통신사에도 스몰셀 솔루션을 공급하며 해외 시장에서의 입지를 넓히고 있다.
6G는 5G를 넘어서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초고속 데이터 전송과 초저지연, 초연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노와이어리스는 이러한 6G 시대를 대비하여 관련 솔루션과 장비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968억 | 929억 | 906억 | 1,328억 | 1,373억 |
매출원가 | 538억 | 519억 | 526억 | 808억 | 881억 |
매출총이익 | 429억 | 410억 | 380억 | 520억 | 492억 |
판매비와관리비 | 276억 | 272억 | 246억 | 376억 | 389억 |
영업이익 | 153억 | 138억 | 134억 | 143억 | 102억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