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K푸드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간편식 대장주, 음식업 관련주 정의, 밀키트 산업이 중요한 이유, 글로벌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HMR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국내 K푸드 관련주 개요
정의
K푸드는 한국 고유의 식문화, 식재료, 조리방식 등을 중심으로 형성된 음식 전반을 가리키는 말이다. 김치, 비빔밥, 불고기, 떡볶이처럼 국내외적으로 잘 알려진 메뉴뿐 아니라, 전통 장류를 비롯해 현대적 퓨전 요리까지 두루 포함한다. 세계 곳곳에서 ‘한류(Hallyu)’가 확산되는 흐름에 따라,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K푸드는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주요 자산이 되었다.
중요한 이유는?
K푸드는 외식, 관광, 문화 콘텐츠 산업과도 연결되면서 시너지 효과를 만들어낸다. 음식은 나라의 문화와 전통을 보여주는 직접적인 매개체이므로, 한식을 체험하기 위해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꾸준히 늘고 있다.
더불어 드라마, 예능 프로그램 등을 통해 노출된 한국 음식은 자연스럽게 해외 시장에서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들의 호감도를 끌어올린다. 이는 K팝, K뷰티와 함께 한국의 종합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국내 K푸드 시장 규모와 성장률

K푸드 시장은 국내 식품산업 안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약 40~60조 원 규모라는 추정치가 유의미하며, 전통 식품부터 간편식까지 다양한 부문에서 연평균 5% 내외의 성장세가 유지된다는 것이 주요 특징이다. 앞으로도 소비 트렌드 변화와 해외 수요 확대로 시장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해외에서 김치, 라면, 소스류 등에 대한 호감이 확대되면서 수출도 늘고 있고, 이는 국내 제조업체가 생산시설을 확충해 내수 유통까지 확대하게 만들었다. 내수와 수출 부문이 서로 보완적으로 작용하며 K푸드 산업 전반의 성장률이 안정적으로 이어지는 양상이다.
국내 K푸드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K푸드는 해외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지만, 국가마다 식품 안전 규제, 통관 절차, 문화적 선호 등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개별 기업의 해외 인증 취득 여부와 현지 마케팅 역량을 살펴보는 것이 좋다. 일시적인 붐이 아닌 꾸준한 수요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라면·소스류처럼 수출 비중이 높은 품목을 주력으로 삼는 기업은 비교적 안정된 매출을 기대할 수 있다.
2. 간편식(HMR), 밀키트, 발효 식품 등 다양한 수요가 생겨나고 있다. 건강·웰빙 트렌드를 반영해 저염·저당 제품을 개발하거나, 글로벌 입맛에 맞춘 퓨전 식품을 내놓는 기업은 성장동력이 강력하다.
3. K푸드 제조업체들은 김치, 두부, 각종 장류 등 농산물 원료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면 제조원가가 늘어나 수익성이 하락할 수 있다.
1. CJ제일제당
회사 사업모델

김치·장류·간편식(HMR)·밀키트 등 다양한 가공식품을 생산하고 있다. ‘비비고(Bibigo)’ 같은 글로벌 한식 브랜드를 통해 만두, 소스, 간편식 등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그 외 바이오와 사료 축산이 있다.
시장 점유율, 해외 수출 국가
종합 가공식품 분야에서 CJ제일제당은 국내 1위 업체 중 하나로 꼽히며, 만두,HMR,장류,통조림 등 여러 세부 카테고리에서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의 연결 실적을 보면, 해외 매출이 2022년 기준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는 발표가 있었다. 미국,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의 공장을 거점 삼아 지역별로 현지화를 추진하였다. 미국 시장의 경우, 현지 기업 인수(슈완스 Schwan’s 등)로 판로를 확대했고, ‘비비고 만두’와 냉동피자·스낵 제품을 주요 품목으로 판매한다.
북미(미국, 캐나다), 중국, 베트남, 일본, 유럽 일부 국가 등에 활발히 진출해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42,457억 | 262,892억 | 300,795억 | 290,234억 |
매출원가 | 190,593억 | 205,071억 | 235,247억 | 229,709억 |
매출총이익 | 51,864억 | 57,820억 | 65,547억 | 60,525억 |
판매비와관리비 | 38,268억 | 42,576억 | 48,900억 | 47,609억 |
영업이익 | 13,595억 | 15,244억 | 16,647억 | 12,915억 |
2. 삼양식품
회사 사업모델

‘불닭’ 시리즈를 대표로 하는 라면 사업이 핵심이며, 스낵, 소스, 소스형 간편식 등을 꾸준히 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매운맛을 중심으로 한 제품 다양화가 활발하다.
시장 점유율, 해외 수출 국가
국내 라면시장에서 농심, 오뚜기, 팔도 등과 경쟁한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아나 업계 추산에 따르면, 삼양식품은 국내 라면시장 점유율에서 10% 전후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불닭볶음면 시리즈가 꾸준한 인기를 얻으면서 점유율이 다소 상승한 시기가 있었으나, 여전히 1~2위 기업과는 격차가 있다.
주요 수출 국가는 매운맛을 선호하는 중국 및 동남아 시장에서 불닭볶음면 시리즈가 빠르게 확산되었다. 중국 온라인몰(타오바오 등) 판매와 동남아 유통채널 제휴가 활성화된 편이다. 그 외 미국, 유럽, 매운 맛을 좋아하는 무슬림에게 인기가 많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6,485억 | 6,420억 | 9,090억 | 11,929억 |
매출원가 | 4,570억 | 4,713억 | 6,578억 | 7,761억 |
매출총이익 | 1,914억 | 1,706억 | 2,512억 | 4,167억 |
판매비와관리비 | 961억 | 1,052억 | 1,608억 | 2,692억 |
영업이익 | 953억 | 653억 | 903억 | 1,475억 |
3. 교촌에프앤비
회사 사업모델

교촌에프앤비는 ‘교촌치킨’ 브랜드를 운영하며, 치킨 조리 매뉴얼, 물류·원재료 공급, 가맹점 교육, 마케팅 지원 등을 책임진다. 가맹점으로부터 로열티, 재료비·원부재료 공급 마진 등이 주요 수익원이 되며, 소비자 대상 신메뉴 개발과 프로모션 기획으로 매출을 높인다.
시장 점유율, 해외 수출 국가
국내 치킨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BHC, BBQ, 교촌치킨이 ‘3대 치킨’으로 불릴 만큼 규모가 크다. 업계 추산에 따르면, 교촌치킨은 프랜차이즈 치킨 시장에서 상위권 점유율(약 10~15% 전후)을 확보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태국, 필리핀 등 여러 국가에 매장을 열었으며, K푸드 트렌드 확산을 겨냥해 할랄(Halal) 인증을 취득한 제품 등을 현지에 도입하는 전략도 일부 운영 중이다. 그외 미국과 중국에서 확장 중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4,476억 | 5,076억 | 5,174억 | 4,449억 |
매출원가 | 3,451억 | 3,972억 | 4,281억 | 3,368억 |
매출총이익 | 1,025억 | 1,103억 | 893억 | 1,080억 |
판매비와관리비 | 614억 | 693억 | 805억 | 832억 |
영업이익 | 410억 | 409억 | 88억 | 248억 |
4. 농심
회사 사업모델

농심은 라면, 스낵, 음료 등 다양한 식품을 제조·유통하고 있으며, 국내 라면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식품기업이다. 신라면을 비롯한 여러 히트상품을 통해 해외 시장을 개척해 왔으며, 글로벌 K푸드 흐름에 따라 매출의 일부를 해외에서 꾸준히 확보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해외 수출 국가
업계 추산 및 시장조사기관 닐슨코리아 자료에 따르면, 농심은 국내 라면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해왔다. 50% 안팎의 점유율을 유지해 경쟁사(오뚜기, 삼양식품, 팔도 등)를 앞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 수출 국가는 미국이다. 해외 매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시장 중 하나다. 로스앤젤레스(LA)·뉴욕 등에 현지 생산공장을 갖추고 있으며, 북미 유통망을 확대해온 결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했다.
그 외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 유럽과 중동, 호주가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26,629억 | 31,290억 | 34,105억 | 34,387억 |
매출원가 | 18,448억 | 22,295억 | 23,753억 | 24,731억 |
매출총이익 | 8,181억 | 8,995억 | 10,352억 | 9,655억 |
판매비와관리비 | 7,119억 | 7,873억 | 8,231억 | 8,024억 |
영업이익 | 1,061억 | 1,121억 | 2,120억 | 1,630억 |
국내 증권사 추천 종목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