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회사 2024년 2분기 실적에 관한 비교 분석 글입니다. 손익계산서, 지역별 판매량, 전분기와 비교하여 어느 부문이 개선되었는지 알아봅니다. 분기 실적 보고서 원문은 링크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기아 2분기 손익계산서 비교 분석
기아 실적
항목 | 23.2Q (십억원) | 24.2Q (십억원) | 증감 (%) |
매출액 | 26,244 | 27,568 | 5.0% |
매출원가 | 20,178 | 20,922 | 3.7% |
매출총이익 | 6,066 | 6,646 | 9.5% |
판매관리비 | 2,663 | 3,002 | 12.7% |
영업이익 | 3,403 | 3,644 | 7.1% |
세전이익 | 3,682 | 4,040 | 9.7% |
당기순이익 | 2,817 | 2,957 | 5.0% |
기아 23년 2분기 실적과 24년 2분기 실적을 분석해보자.
기아의 매출액은 작년 2분기와 비교했을 때 5% 증가하였다. 매출원가는 3.7% 증가하였다. 즉 원가개선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회사가 원가관리를 잘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기아의 판매관리비는 12.7% 증가하여 매출액 증가보다 더 높다. 다만 판관비는 비중이 낮아서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다.
기아 영업이익은 7.1% 증가하였고, 당기순이익은 5% 증가하였다. 데이터를 보면 회사는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아 지역별 매출
지역 | 23년 2분기판매량 (천대) | 24년 2분기판매량 (천대) | 증가율 |
합계 | 808 | 795 | -1.6% |
국내 | 151 | 138 | -8.4% |
북미 | 261 | 278 | 6.4% |
-미국 | 215 | 225 | 4.3% |
유럽 | 167 | 146 | -12.5% |
-서유럽 | 158 | 138 | -12.5% |
인도 | 61 | 61 | -1.0% |
중국 | 19 | 19 | -4.0% |
러시아(권역) | 12 | 14 | 19.2% |
아중동 | 58 | 57 | -2.0% |
중남미 | 36 | 39 | 7.3% |
아태 | 42 | 43 | 4.6% |
기아의 지역별 매출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총 판매량 합계는 작년 2분기보다 1.6% 감소했다. 즉 판매량이 감소했지만 기아 매출액이 늘었다는 것은 자동차의 평균 판매 가격(ASP)이 올라갔다는 뜻이다.
국내, 유럽, 중국, 아중동에서 기아차 판매량이 감소했다. 반면 북비와 러시아, 중남미, 아태에서는 증가하였다.

기아차 판매량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북미, 유럽, 국내(대한민국), 인도, 아중동 순서로 높다. 5개의 지역에서 북미에서 기아차가 선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아 제품별 매출

HEV (Hybrid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 전기차
HEV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함께 사용하는 차량이다. 배터리와 전기모터를 이용해 효율을 높이고, 내연기관을 보조적으로 사용한다.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PHEV는 HEV와 유사하지만, 배터리를 외부 전원에 플러그를 꽂아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차량이다. 배터리만으로 주행할 수 있는 거리가 길어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장점을 모두 갖춘 차량이다.
BEV (Battery Electric Vehicle): 배터리 전기차
BEV는 내연기관이 전혀 없이 오직 배터리와 전기모터만으로 구동되는 차량이다.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여 주행하며, 배출가스가 전혀 없는 친환경 차량이다.
xEV: 다양한 유형의 전기차 (HEV, PHEV, BEV 등 포함)
xEV는 HEV, PHEV, BEV 등 모든 유형의 전기차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연기관
ICE는 전통적인 내연기관 차량을 의미한다. 휘발유, 디젤,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엔진에서 연소시켜 동력을 얻는 방식이다. 일반적인 휘발유 차량이나 디젤 차량이 여기에 속한다.
기아의 친환경차 판매량은 2023년 2분기와 비교했을 때 8.3% 증가하였다. 내연기관차(ICE)는 판매비중이 78.6% 감소했다.
주식 전문가 애널리스트의 목표주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기아 2분기 재무상태표 비교 분석
항목 | 23년말 (십억원) | 24년상반기말 (십억원) | 증감 |
자산 | 80,628 | 86,046 | 5,418 |
유동자산 | 37,466 | 38,955 | 1,488 |
*현금 (a) | 20,533 | 19,434 | -1,099 |
부채 (b) | 34,070 | 35,214 | 1,145 |
유동부채 | 25,674 | 26,821 | 1,147 |
차입금 (c) | 3,800 | 3,234 | -566 |
*순현금 (a) – (c) | 16,733 | 16,200 | -533 |
자본 (d) | 46,558 | 50,832 | 4,273 |
부채비율 (b)/(d) | 73.2% | 69.3% | -3.9%p |
기아의 2024년 상반기 재무상태를 분석해보자.
기차의 자산은 증가했고, 현금은 감소하였다. 부채는 자본은 증가하였다. 다만 부채보다 자본의 증감이 더욱 크다. 즉 기아는 재무상태를 잘 관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재무상태표 용어를 이해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위 사진은 자본시장연구원에서 가져온 통계다. 거래 회전율이 높을수록 누적수익률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쉽게 말하면 단기간 매수 매도를 많이하면 할수록 투자 수익률이 낮다는 사실이다. 개인들이 주식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래글을 읽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