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램(DRAM)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글로벌 디램 대장주, 관련주 정의, 반도체 산업이 중요한 이유, 미국과 국내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디램(DRAM) 관련주 개요
정의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은 휘발성 메모리의 한 종류로, 전하를 저장하기 위해 커패시터를 활용하는 특징이 있다. 데이터 유지에 꾸준한 리프레시(재충전)가 필요하지만 읽기·쓰기에 빠른 속도를 제공하여 프로세서가 연산 과정에서 임시 데이터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디램이 중요한 이유는?
1.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게임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쓰인다. 연산 및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핵심 부품이다.
2. 제조 공정이 복잡해 높은 기술력과 대규모 투자가 요구된다. 시장 진입장벽이 높아 상대적으로 소수의 기업이 주도한다.
3. DRAM은 AI, 클라우드, 빅데이터, 자율주행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빠른 데이터 처리와 대량 저장을 제공하는 핵심 부품이다. 최종 제품의 성능과 효율을 좌우하기 때문에,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이다.
글로벌 디램(DRAM) 시장 규모와 성장률

TrendForce, Statista 등 주요 시장 조사 기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DRAM 시장 규모는 약 900~950억 달러 선으로 추정된다.
디램(DRAM)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DRAM은 경기, 재고 수준, 공정 기술 전환 등에 따라 가격이 크게 오르거나 내리는 특성이 있다.공급 과잉 시기에는 가격이 급락하여 매출이 줄어들고, 반대로 생산 업체들의 설비 투자 조정 등으로 공급이 줄어드는 시기에는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는 등 주기적인 패턴을 보인다.
2. DRAM 제조 공정은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며, 미세공정 전환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구현하는지가 경쟁력을 결정짓는다. 따라서 기업의 R&D 지출 규모, 기술 확보 능력, 특허 상황 등을 살펴보면 미래 성장 가능성을 가늠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세계 DRAM 시장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소수 업체들이 과점하고 있다. 글로벌 공급망이 어떤 흐름으로 움직이는지, 각 기업의 점유율이 얼마나 안정적인지 확인해 봐야 한다. 대형 업체들의 투자 또는 감산 소식은 가격과 수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1. 삼성전자
회사 사업모델

삼성전자의 반도체 부문은 크게 3가지 축으로 구성된다.
메모리: DRAM, NAND Flash 등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제품 중심, 전체 반도체 매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주로 스마트폰, 서버, PC, 그래픽카드, AI 가속기 등에 공급한다.
시스템 반도체: 모바일 AP(Exynos), 이미지센서(ISOCELL),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전력 관리 칩을 팹리스(Fabless) 형태로 제품을 설계하고, 파운드리에서 제조하거나 외주 위탁
파운드리: 고객의 반도체 설계를 위탁 받아 제조한다. TSMC에 이어 세계 2위 수준의 파운드리 사업자로 성장 중이다.
디램 시장 점유율, 고객사
시장조사기관 TrendForce 2024년 기준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약 42~45%의 글로벌 DRAM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실질적인 디램 대장주이다.
고객사 | 분야 | 사용 용도 |
Apple | 스마트폰 | iPhone, iPad 등 모바일 기기용 LPDDR |
Google, Meta | 클라우드, AI | 데이터센터용 DDR, HBM |
Amazon AWS | 클라우드 | 서버용 DRAM |
NVIDIA, AMD | GPU | 고대역폭 HBM 사용 |
Dell, HP, Lenovo | PC | 데스크탑 및 노트북용 DDR |
Tesla | 자동차 | 자율주행 연산용 메모리 |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2,796,048억 | 3,022,313억 | 2,589,354억 | 3,008,709억 |
매출원가 | 1,664,113억 | 1,900,417억 | 1,803,885억 | 1,865,622억 |
매출총이익 | 1,131,934억 | 1,121,895억 | 785,469억 | 1,143,086억 |
판매비와관리비 | 615,596억 | 688,129억 | 719,799억 | 815,826억 |
영업이익 | 516,338억 | 433,766억 | 65,669억 | 327,259억 |
2. SK하이닉스
회사 사업모델

DRAM: 컴퓨터, 서버,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휘발성 메모리로, SK하이닉스의 핵심 제품이다.
NAND 플래시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로, SSD, USB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 저장 장치에 활용된다.
CMOS 이미지 센서: 카메라 및 다양한 광학 장치에서 이미지 처리를 담당하는 센서로, SK하이닉스는 이 분야에서도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2024년 3분기 기준, SK하이닉스는 글로벌 DRAM 시장에서 약 34.4%의 점유율을 기록하였다. 이는 삼성전자의 41.1%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특히,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센터 분야에서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증가로 인해,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하였다.
고객사 | 산업분야 | 주요제품/용도 |
Apple | 모바일·전자기기 | iPhone, iPad용 DRAM 및 NAND |
Microsoft | 클라우드·서버 | Azure 데이터센터용 DRAM 및 SSD |
NVIDIA | AI 반도체 | GPU 및 AI 칩용 HBM 메모리 |
클라우드·AI | 데이터센터용 DRAM, SSD | |
Amazon AWS | 클라우드·서버 | 서버용 DRAM 및 저장장치 |
Meta (Facebook) | 클라우드·AI | 서버 및 AI 시스템용 DRAM |
Dell, HP, Lenovo | PC·노트북 | 데스크탑 및 노트북용 DRAM, NAND |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수익) | 429,977억 | 446,215억 | 327,657억 | 661,929억 |
매출원가 | 240,456억 | 289,937억 | 332,991억 | 343,648억 |
매출총이익 | 189,521억 | 156,278억 | -5,334억 | 318,281억 |
판매비와관리비 | 65,418억 | 88,184억 | 71,968억 | 83,608억 |
영업이익 | 124,103억 | 68,094억 | -77,303억 | 234,673억 |
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
회사 사업모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메모리 및 스토리지 솔루션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DRAM, NAND 플래시, NOR 플래시 메모리 등 다양한 제품을 설계, 개발,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컴퓨팅, 모바일, 자동차,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마이크론은 DRAM, NAND, NOR 기술을 모두 제조하는 유일한 기업으로, 이를 통해 포괄적인 메모리 및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2024년 3분기 기준으로 Micron은 전 세계 DRAM 시장에서 약 24~26%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고객사 | 산업분야 | 주요제품/용도 |
Apple | 모바일·전자기기 | iPhone, iPad용 DRAM 및 NAND |
Microsoft | 클라우드·서버 | Azure, Xbox용 DRAM, NAND |
Dell | PC·노트북 | 데스크탑, 워크스테이션용 DRAM, SSD |
HP | PC·프린터 | 노트북, 데스크탑용 DRAM, NAND |
Lenovo | PC·모바일기기 | 노트북, 태블릿 등 메모리 공급 |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 | 27,705 | 30,758 | 15,540 | 25,111 |
매출원가 | 17,233 | 16,860 | 16,956 | 19,498 |
매출총이익 | 10,472 | 13,898 | -1,416 | 5,613 |
총 영업비용 | 21,423 | 21,139 | 21,285 | 23,807 |
영업이익 | 6,282 | 9,619 | -5,745 | 1,304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