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팬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디어유 회사의 재무제표 최신 분석입니다. 회사의 손익계산서(실적), 재무상태표(자산, 부채, 자본), 현금흐름표(잉여현금흐름)를 통해 미래 주가 전망을 합니다. 주식에 기초적인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디어유 재무제표 – 손익계산서 (Income Statement)
최근 실적
항목 | 2021 (년) | 2022 (년) | 2023 (년) |
매출액 | 40,000,767,156 | 49,193,860,961 | 75,691,871,495 |
매출원가 | 26,759,974,104 | 32,908,247,372 | 47,066,038,607 |
영업이익 | 13,240,793,052 | 16,285,613,589 | 28,625,832,888 |
영업이익률 | 33.10% | 33.09% | 37.82% |
당기순이익 | (25,232,229,502) | 16,396,183,704 | 26,189,623,258 |
당기순이익률 | -63.08% | 33.32% | 34.60% |
디어유 최근 3년 실적을 살펴보자.
매출액은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영업이익, 당기순이익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21년까지 당기순이익은 마이너스였지만 2022년에는 흑자로 바뀌었다.
영업이익률은 33~37%로 매우 높은 수준, 당기순이익률은 33~34% 영업이익률과 비슷하다.
매출액, 영업이익 성장률 추이
항목 | 2022 | 2023 |
매출액 증가율 | 22.98% | 53.87% |
영업이익 증가율 | 22.97% | 75.79% |
디어유는 성장기업일까?
매출액이 2022년에는 약23%, 2023년에는 53%가 증가하였다. 영업이익은 2022년에 22%, 2023년에 75% 증가하였다. 매출액보다 영업이익 증가가 더 높다면 주가는 가파르게 상승한다. 2023년에 주가가 바닥에서 약 100% 올랐다.
연도별 매출 원가율과 판매비와 관리비율
항목 | 2021 | 2022 | 2023 |
매출원가율 | 66.90% | 66.91% | 62.18% |
매출 원가율, 판관비율이 매년 최소한 유지되는 기업 또는 매년 감소하는 회사가 영업이익률이 개선될 수 있다. 반드시 매출원가율과 판매비와 관리비율을 계산해야하는 이유다.
디어유의 영업비용률은 62~66%로 매우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회사가 원가관리 능력이 있는 회사다.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 증가율
항목 | 2022 | 2023 |
매출액 증가율 | 22.98% | 53.87% |
매출원가 증가율 | 22.96% | 42.98% |
매출액(판매수량)이 증가하는 만큼 매출원가(원재료)가 증가한다면 변동비형 기업이다. 이런 기업은 영업이익률이 커지기 힘들다. 예) 제조업, 건설업, 의류업, 식품업, 유통업 등
2022년까지 디어유는 매출액과 매출원가가 똑같이 증가했다. 2023년에는 매출원가가 매출액보다 더 낮게 증가하여 이익률이 개선될 수 있었다. 일시적인지, 지속적으로 매출원가를 개선할 수 있는지는 지켜봐야 한다.
디어유 목표 주가를 확인하고 현재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는지 저평가되어 있는지 확인하자.
디어유 재무제표 –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재무상태표 분석은 특정 시점에 회사가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숫자다. 회사 재무상태를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자산총계 비율
항목 | 금액 (제 7 기) | 비율 (%) |
유동자산 | 147,354,844,557 | 77.30% |
현금및현금성자산 | 56,838,904,303 | 29.82% |
단기금융상품 | 61,595,292,151 | 32.32% |
매출채권 | 6,932,106,645 | 3.64% |
기타채권 | 15,456,389,998 | 8.11% |
기타유동자산 | 6,532,151,460 | 3.43% |
비유동자산 | 43,257,975,463 | 22.7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4,775,595,667 | 2.51% |
관계기업투자 | 172,246,740 | 0.09% |
유형자산 | 3,446,372,968 | 1.81% |
무형자산 | 9,931,077,315 | 5.21% |
사용권자산 | 4,486,893,026 | 2.35%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067,275,413 | 0.56% |
기타비유동자산 | 15,819,418,038 | 8.30% |
이연법인세자산 | 3,559,096,296 | 1.87% |

디어유 자산총계를 분석해보면 단기금융상품, 현금및현금성자산, 기타비유동자산, 기타채권, 무형자산 순서로 높다.
디어유의 현금성 자산은 568억원을 가지고 있다. 단기금융상품은 이자를 얻을 수 있는 예금, 적금, 채권을 말한다. 회사는 왜 이렇게 단기금융상품을 많이 가지고 있을까?
부채총계 비율
항목 | 금액 (제 7 기) | 비율 (%) |
유동부채 | 16,856,358,234 | 79.88% |
기타채무 | 10,267,497,464 | 48.66% |
유동리스부채 | 503,297,006 | 2.38% |
기타유동부채 | 5,760,129,275 | 27.30% |
당기법인세부채 | 325,434,489 | 1.54% |
비유동부채 | 4,243,008,369 | 20.12% |
순확정급여부채 | 312,271,010 | 1.48% |
비유동리스부채 | 3,795,852,612 | 17.98% |
장기종업원급여부채 | 99,884,747 | 0.47% |
복구충당부채 | 35,000,000 | 0.17% |

디어유의 부채총계를 분석해보면 기타채무, 기타유동부채, 비유동리스부채, 유동리스부채 순서로 많다.
손익계산서와 재무 상태표를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수로 알아야 한다.
자본총계 추이 그래프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
2021 | 2022 | 2023 | |
자본금 | 10,988,583,000 | 11,792,315,500 | 11,869,203,000 |
자본잉여금 | 150,740,111,086 | 159,005,029,718 | 162,282,093,691 |
기타자본항목 | 19,205,234,012 | 11,161,110,688 | 10,282,823,019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45,156,538) | ||
미처리결손금 | (57,358,291,173) | (40,732,973,222) | (14,775,509,755) |

디어유는 자본잉여금은 매년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주주로서는 긍정적인 신호다. 다만 이익률에 비해 이익잉여금이 낮게 증가하는 것은 다소 아쉽다.
기업가치는 결국 주주자본에 회귀한다. 자본총계는 주주자본을 뜻한다. 우상향으로 늘어나는 것이 좋고 그 중에서도 이익잉여금이 가장 중요하다
디어유 재무제표 – 잉여현금흐름 (Free Cash Flow)

워렌버핏, 피터린치, 레이달리오 같은 저명한 투자 대가들은 기업의 잉여현금흐름을 꼭 확인한다. 잉여현금흐름비율이 높을수록 주주에게 환원될 돈이 많아지고 일반적으로 주가가 우상향하게 된다. 디어유 버블의 FCF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