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테크놀로지 회사 2025년 1분기 실적에 관한 비교 분석 글입니다. 2024년 12월 18일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에서 발표한 2025 회계연도 1분기 실적 보도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그외 주식 정보는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25년 1분기 실적 분석

전년 동기 매출액이 47억 달러 수준에서 87억 달러로 증가해 1년 사이 매출이 거의 두 배 가까이 커졌다. 데이터 센터 부문 매출이 전 분기 대비 40% 이상, 전년 동기 대비 400% 이상 성장했으며 회사 전체 매출에서 데이터 센터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50%를 넘어섰다.
작년 같은 분기에는 적자를 기록(순손실 12.3억 달러)했던 반면 이번 분기에는 순이익 18.7억 달러로 크게 개선됐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앞으로 회사의 성장 방향 (추론해봐)
회사 측은 소비자 시장이 단기적으로는 약세라고 전망하면서도, AI와 데이터 센터 수요 증가 덕분에 하반기에 다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 수요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 센터 분야가 회사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론이 고부가가치 메모리 제품, 고성능 DRAM 및 NAND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점이 중장기적으로 긍정적이다.
하지만 CEO 코멘트에서도 단기적으로 소비자 중심 시장이 약세라는 점이 언급됐다. 소비자 시장 부문에서의 매출 둔화나 수요 불확실성이 악화된 부문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3분기 재무제표에서 주목할만한 것
영업활동 현금흐름(OCF)이 전 분기 대비로는 소폭 감소했지만(32.4억 달러 → 32.4억 달러(이전 분기는 34.1억 달러)) 전년 동기(14억 달러)보다는 훨씬 늘어났다. 이는 수익성 개선과 매출 확대가 현금흐름에 직결됐음을 시사한다.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공장 및 설비 투자(CapEx) 확대 등으로 인해 여전히 큰 폭의 유출이 이어지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산업 특성상 설비투자 규모가 크고 주기적으로 이뤄진다는 점에서, 향후 수요 확대국면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로 볼 수 있다.
총자산은 714억 달러 수준으로, 전 분기 대비 약 20억 달러 늘었다. 부채비율(총부채 246억 달러, 자본 468억 달러)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위 사진은 자본시장연구원에서 가져온 통계다. 거래 회전율이 높을수록 누적수익률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쉽게 말하면 단기간 매수 매도를 많이하면 할수록 투자 수익률이 낮다는 사실이다. 개인들이 주식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래 글을 읽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