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데이터센터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대장주, 관련주 정의, 클라우드 산업이 중요한 이유, 데이터센터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미국 데이터센터 관련주 개요
정의
데이터센터(Data Center)는 대규모 컴퓨터 서버와 저장 장치가 모여있는 시설로, 데이터 처리, 저장, 전송, 관리 등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시설은 기업, 기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 등이 다양한 IT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구축하며, 일반적으로 서버, 네트워크 장비, 스토리지 시스템,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전력 및 냉각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중요한 이유는?
요즘 사회 거의 모든 산업이 디지털화됨에 따라 데이터의 처리, 저장, 전송이 필수적이다. 데이터센터는 이러한 디지털 활동의 핵심 인프라로,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빅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IT 기술을 가능하게 해준다. 기업과 소비자는 점점 더 많은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센터의 역할이 필요하다.
데이터센터 시장 규모와 성장률

2024년 전 세계 데이터센터 시장 규모는 약 2560억 달러로 평가되며, 2034년까지 약 775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이 시장은 2024년부터 2034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11.72%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의 기술 발전과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이 데이터센터 수요를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데이터센터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센터의 규모는?
- 데이터센터를 통해 재무 건전성 및 수익성은 높은가?
- 글로벌 데이터센터 경쟁 환경 및 시장 점유율은 시장에서 몇등인가?
1. 엔비디아
회사 사업모델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에 특화된 A100과 H100 GPU를 공급하여 대규모 AI 및 고성능 컴퓨팅 작업을 지원한다. 이러한 GPU는 대규모 연산 능력과 AI 워크로드를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하드웨어다.
엔비디아는 AWS, Google Cloud, Microsoft 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와 협력하여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센터에서 GPU 인스턴스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은 고성능 컴퓨팅 리소스를 클라우드 상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다.
미국 데이터센터 대장주인 이유는?
2023년 기준으로 엔비디아는 AI 및 고성능 컴퓨팅용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매우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 GPU 시장의 약 90%를 점유하고 있다. 엔비디아의 데이터센터 부문은 AI와 머신러닝의 급속한 성장으로 인해 빠르게 확장되고 있는 중이다.
고객사 –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테슬라, 메타 등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 | 10,918 | 16,675 | 26,914 | 26,974 | 60,922 |
매출원가 | 4,150 | 6,157 | 8,793 | 10,921 | 15,998 |
매출총이익 | 6,768 | 10,518 | 18,121 | 16,053 | 44,924 |
총 영업비용 | 8,072 | 12,143 | 16,873 | 22,750 | 27,950 |
영업이익 | 2,846 | 4,532 | 10,041 | 4,224 | 32,972 |
2. 구글
회사 사업모델

구글은 구글 클라우드를 중심으로 데이터센터 사업을 운영하며, 이 비즈니스 모델은 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구글 데이터센터는 대규모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하여 기업들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주요 서비스로는 Google Cloud Platform (GCP), Google Workspace, AI 및 머신러닝 솔루션 등이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구글은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아마존 웹 서비스(AWS)와 마이크로소프트 Azure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3년 기준, 구글의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은 약 11% 정도로 추정한다. AI, 머신러닝, 빅데이터 처리에서 강점을 발휘하면서 점진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고객사 – 스냅, 스포티파이, 트위터, 세일즈포스, 타겟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161,857 | 182,527 | 257,637 | 282,836 | 307,394 |
매출원가 | 71,896 | 84,732 | 110,939 | 126,203 | 132,372 |
매출총이익 | 89,961 | 97,795 | 146,698 | 156,633 | 175,022 |
총 영업비용 | 127,626 | 141,303 | 178,923 | 207,994 | 223,101 |
영업이익 | 34,231 | 41,224 | 78,714 | 74,842 | 84,293 |
3. 아마존
회사 사업모델

아마존은 아마존 웹 서비스 (AWS)를 통해 데이터센터 비즈니스를 운영하며,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둔다. AWS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된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통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컴퓨팅 리소스 제공
- 스토리지 솔루션
- 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 서버리스 컴퓨팅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AWS는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약 32~34%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마이크로소프트 Azure와 구글 클라우드보다 앞서 있으며, AWS는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에서 가장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다.
고객사 – 넷플릭스, 에어비앤비, 익스피디아, NASA, 스포티파이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280,522 | 386,064 | 469,822 | 513,983 | 574,785 |
매출원가 | 165,536 | 233,307 | 272,344 | 288,831 | 304,739 |
매출총이익 | 114,986 | 152,757 | 197,478 | 225,152 | 270,046 |
총 영업비용 | 265,981 | 363,165 | 444,943 | 501,735 | 537,933 |
영업이익 | 14,541 | 22,899 | 24,879 | 12,248 | 36,852 |
4. 오라클
회사 사업모델

오라클은 Oracle Cloud Infrastructure (OCI)를 통해 데이터센터 비즈니스를 운영한다. 이 비즈니스 모델은 기업들에게 엔터프라이즈 급 클라우드 컴퓨팅 및 데이터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오라클은 전 세계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에서 4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으로 약 2-3%의 시장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Azure, Google Cloud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비율이지만, 오라클은 특히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고객사 – 줌, 토요타, 시스코, HSBC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 | 39,068 | 40,479 | 42,440 | 49,954 | 52,961 |
매출원가 | 7,938 | 7,855 | 8,877 | 13,564 | 15,143 |
매출총이익 | 31,130 | 32,624 | 33,563 | 36,390 | 37,818 |
총 영업비용 | 25,172 | 25,266 | 31,514 | 36,861 | 37,608 |
영업이익 | 13,896 | 15,213 | 10,926 | 13,093 | 15,35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