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 관련주 추천 3개

미국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디스플레이 대장주, 관련주 정의,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미국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 관련주 개요

정의

미국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 관련주는 디스플레이 제조에 필요한 주요 소재와 부품을 공급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OLED 패널용 소재를 공급하는 유니버설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을 제공하는 코닝, 그리고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용 고급 화학 재료를 생산하는 듀폰(DD) 등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산업이 중요한 이유는?

1. 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TV, 노트북,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전자 제품에 필수적인 요소로, 글로벌 전자제품 시장의 성장과 함께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OLED와 같은 고성능 디스플레이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관련 부품과 소재의 시장도 성장할 전망이다.

2. OLED, QLED, MicroLED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이 점점 더 널리 사용되면서 고급 소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고효율, 얇은 형태, 유연성 등을 제공하며, 관련 기업들은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필수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3. 자율주행차와 전기차의 대중화로 차량용 디스플레이가 중요해지면서 고품질 디스플레이 소재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 및 자동차 제조사들이 차별화된 디스플레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를 필수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미국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 시장 규모와 성장률

미국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 관련주 추천 3개

2024년 디스플레이 부품 및 소재 시장 규모는 약 35.2억 달러로 추정되며, 203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3.1%로 성장하여 약 41.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출처)

이 시장은 OLED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특히 높은 해상도와 색 정확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수요에 의해 성장하고 있다. OLED와 Micro-LED는 고효율과 장수명 덕분에 소비자 전자 제품, 자동차 디스플레이 및 상업용 디지털 사이니지에 활용도가 높다.

미국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회사의 OLED 기술력은 좋은가?
  2. 매출액과 이익률은 꾸준히 증가하는가?
  3. 디스플레이 경쟁 환경 및 시장 점유율은 높은가?

1. 코닝(GLW)

회사 사업모델

1. 코닝(GLW)

코닝은 특수 유리 및 세라믹 소재를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에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이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은 디스플레이 기술, 광통신, 환경 기술, 특수 소재, 생명 과학 등 여러 사업 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디스플레이 기술 부문은 OLED와 LCD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을 제공하며, 주로 텔레비전, 컴퓨터 모니터에 사용된다.

특수 소재 부문에서는 내구성이 높은 코닝 고릴라 글래스를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기기에 공급하고, 생명 과학 부문에서는 실험실용 기기와 바이오테크 제품을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시장 점유율에서 Corning은 여러 분야에서 강력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다. 디스플레이와 광통신, 특히 스마트폰과 데이터 센터 수요에 힘입어 주요 시장을 확보하고 있다. 현재 AT&T와의 협력을 통해 통신 인프라 확장에 기여하고 있으며, 여러 글로벌 고객사에 고유의 광학 및 특수 소재를 제공한다.

주요 고객사로는 통신사, 소비자 가전 제조업체, 자동차 제조사, 제약 및 바이오 기업 등이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11,50311,30314,08214,18912,588
매출원가7,4687,7729,0199,6838,657
매출총이익4,0353,5315,0634,5063,931
총 영업비용10,19710,29611,97012,75111,698
영업이익1,3061,0072,1121,438890

2. 듀폰(DD)

회사 사업모델

2. 듀폰(DD)

듀폰은 다각화된 산업재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전자 및 산업 소재, 건축 및 보호 소재, 수처리 등의 부문에서 고성능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듀폰은 주로 반도체, 자동차, 항공, 헬스케어, 건설, 농업 분야에 특화된 첨단 소재와 화학 제품을 개발해왔다.

전자 및 산업 부문에서는 반도체 제조에 필요한 화학 소재와 회로보호 솔루션, 특수 필름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 부문은 듀폰의 주요 수익원 중 하나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듀폰은 글로벌 산업재 시장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BASF, 3M, 다우와 같은 대형 화학 기업들과 경쟁하고 있다. 듀폰의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지속적인 R&D 투자 덕분에 경쟁사 대비 견고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환경 기술과 혁신 소재 부문에서 강력한 입지를 다지고 있다.

듀폰의 주요 고객사는 전자 및 반도체 제조사, 자동차 및 항공 기업, 그리고 건설 및 인프라 기업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15,43611,12812,56613,01712,068
매출원가10,0267,0637,9718,4027,835
매출총이익5,4104,0654,5954,6154,233
총 영업비용15,09611,85910,69911,28211,292
영업이익340-7311,8671,735776

3. 유니버설 디스플레이(OLED)

회사 사업모델

3. 유니버설 디스플레이(OLED)

유니버설 디스플레이는 OLED 기술의 연구, 개발 및 상용화를 핵심으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한다. 이 회사는 특허 기반 라이선스와 OLED 소재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

유니버설 디스플레이는 독자적인 PHOLED(Phosphorescent OLED) 기술을 통해 높은 에너지 효율성과 밝기를 자랑하는 OLED 디스플레이와 조명 솔루션을 제공한다. 주요 수익원으로는 OLED 기술을 제조사에 제공해 받는 라이선스 및 로열티 수익과 OLED 소재 판매가 있으며, 이러한 모델을 통해 낮은 운영비용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유니버설 디스플레이는 OLED 분야에서 선두주자로 자리 잡고 있으며, OLED 기술 수요가 증가하는 스마트폰, TV, IT 및 웨어러블 기기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BOE 등 글로벌 대형 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이 있으며, 이들 기업은 주로 스마트폰과 TV 디스플레이에 UDC의 OLED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또한, 유니버설 디스플레이는 자동차 디스플레이, 조명 등으로 제품 응용을 확장하여 고객층을 다각화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405429554617576
매출원가8797116129136
매출총이익318332438488440
총 영업비용247271326350359
영업이익158158228267217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테슬라가 선택한 글로벌 기업 4곳 (링크)

엔비디아 블랙웰 관련 기업 4곳 (링크)

미국 양자컴퓨팅 관련 대장주 (링크)

미국 월 배당 주식 추천 (링크)

미국 분기 배당 주식 추천 (링크)

주목해야 할 메타버스 관련주 (링크)

국내 양극재 관련주 4곳 (링크)

유일무이한 국내 음극재 관련주 4곳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