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우라늄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우라늄 대장주, 관련주 정의, 농축 우라늄이 산업에서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미국 우라늄 관련주 개요
우라늄 정의
우라늄(Uranium)은 원자번호 92번인 화학 원소로, 화학 기호는 U이다. 이는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방사성 금속으로, 주로 핵분열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우라늄은 희소 자원으로, 무거운 원자 구조와 에너지를 방출하는 방사성 특성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자원으로 취급된다. 자연에서 주로 우라늄-238(약 99.3%)과 우라늄-235(약 0.7%)의 두 동위 원소 형태로 존재한다.
농축 우라늄 정의
농축 우라늄은 우라늄-235의 비율을 인위적으로 높인 우라늄을 의미한다. 천연 우라늄에서 우라늄-235의 비율이 낮기 때문에, 이를 원자력 발전이나 핵무기 제조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우라늄-235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농축 과정이 필요하다.
중요한 이유는?
1. 우라늄은 핵분열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원자력 발전소에서 전력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우라늄-235는 핵분열에 적합한 동위원소로, 안정적이고 대규모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2. 원자력 발전은 화석연료와 비교해 탄소 배출량이 매우 적어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으로 간주된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여 전 세계 전력 수급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3. 우라늄은 군사적으로도 중요한 자원이다. 고농축 우라늄은 핵무기의 핵심 원료로 사용된다. 우라늄은 전차의 장갑과 관통탄 등 군사 장비를 제조하는 데도 사용된다.
우라늄 시장 점유율

국가 | 생산(미터톤) | 글로벌 점유율(%) |
카자흐스탄 | 21,227 | 43 |
캐나다 | 7,351 | 15 |
나미비아 | 5,613 | 11 |
우즈베키스탄 | 4,127 | 8 |
니제르 | 3,527 | 7 |
러시아 | 3,356 | 7 |
중국 | 2,223 | 4 |
우크라이나 | 877 | 2 |
인도 | 472 | 1 |
남아프리카 | 258 | 1 |
미국 에너지부에 따르면 러시아는 전 세계 우라늄 농축 능력의 약 44%를 차지하며 미국이 수입하는 핵연료의 약 35%를 공급하고 있다.
1. 우라늄 에너지 (UEC)
회사 사업모델

우라늄 에너지(UEC)는 미국에 본사를 둔 우라늄 채굴 및 탐사 기업으로, 주로 인-시투 회수 방식을 통해 우라늄을 생산한다. 우라늄 에너지는 ISR 기술을 활용하여 지하에서 직접 우라늄을 용해하고 추출한다. 이 방식은 전통적인 채굴 방법에 비해 환경 영향이 적고 비용 효율적이다.
우라늄 에너지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우라늄 프로젝트를 인수하고 개발하여 자원 기반을 확장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최근 와이오밍 주의 Irigaray 처리 시설의 연간 생산 용량을 400만 파운드로 증가시켰다.
주요 고객은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하는 전력 회사들이다. 이들은 안정적인 우라늄 공급을 통해 원자력 발전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 회사들과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 | 0 | 0 | 23 | 164 | 0 |
매출총이익 | – | – | 7 | 50 | 0 |
총 영업비용 | 14 | 17 | 26 | 155 | 57 |
영업이익 | -14 | -17 | -3 | 9 | -56 |
2. 에너지 퓨얼스 (UUUU)
회사 사업모델

에너지 퓨얼스는 미국에 본사를 둔 우라늄 및 바나듐 생산 기업으로, 북미 지역에서 우라늄 생산량이 가장 많은 회사 중 하나다.
우라늄 생산: 에너지 퓨얼스는 미국 내 여러 우라늄 광산을 운영하며, 특히 유타 주에 위치한 화이트 메사 밀(White Mesa Mill)을 통해 우라늄을 생산한다. 이 시설은 미국에서 유일하게 운영 중인 전통적인 우라늄 제련소로, 연간 최대 800만 파운드의 우라늄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바나듐 생산: 회사는 우라늄과 함께 바나듐도 생산하며, 이는 철강 산업과 배터리 제조에 사용된다. 화이트 메사 밀은 바나듐 생산 능력도 갖추고 있어, 시장 수요에 따라 생산을 조절한다.
희토류 정제: 최근 에너지 퓨얼스는 희토류 원소의 정제 사업에도 진출하여, 화이트 메사 밀에서 희토류 정제 및 분리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와 같은 첨단 기술 산업에 필요한 희토류 공급망을 강화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에너지 퓨얼스의 주요 고객은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하는 전력 회사다. 바나듐과 희토류 제품은 철강 산업, 배터리 제조업체, 첨단 기술 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들에게 공급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6 | 2 | 3 | 13 | 38 |
매출원가 | 4 | 0 | 2 | 8 | 18 |
매출총이익 | 2 | 2 | 1 | 5 | 20 |
총 영업비용 | 46 | 26 | 39 | 57 | 70 |
영업이익 | -41 | -25 | -35 | -45 | -32 |
3. 센트러스 에너지 (LEU)
회사 사업모델

저농축 우라늄 공급: 센트러스 에너지는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에 필요한 저농축 우라늄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주요 생산업체와의 장기 공급 계약, 2차 시장에서의 구매, 자체 재고 활용 등을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유지하고 있다.
고농축 우라늄 개발: 차세대 원자로와 소형 모듈 원자로(SMR)에 필요한 고농축 우라늄 생산을 위해 미국 에너지부(DOE)와 협력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래 원자력 연료 수요에 대비하고 있다.
기술 솔루션 제공: 우라늄 농축 기술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 첨단 제조 역량을 활용하여 정부 및 상업 고객에게 기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고농축 우라늄(HALEU) 분야에서는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로부터 유일하게 생산 라이선스를 취득한 기업이다.
주요 고객은 상업용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하는 전력 회사다. 미국 정부와의 계약을 통해 국가 에너지 안보와 관련된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210 | 247 | 298 | 294 | 320 |
매출원가 | 177 | 150 | 184 | 176 | 208 |
매출총이익 | 33 | 98 | 115 | 118 | 112 |
총 영업비용 | 229 | 196 | 230 | 234 | 268 |
영업이익 | -20 | 51 | 68 | 60 | 52 |
4. 데니슨 마인스 (DNN)

회사 사업모델
데니슨 마인스는 캐나다에 본사를 둔 우라늄 탐사 및 개발 기업으로, 주로 캐나다 서스캐처원 주의 애서배스카 분지 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데니슨 마인스는 고품질 우라늄 매장지를 탐사하고 개발하는 데 주력한다. 주요 프로젝트로는 Wheeler River, McClean Lake, Midwest 등이 있으며, 특히 Wheeler River 프로젝트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미개발 우라늄 매장지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데니슨 마인스는 물리적 우라늄을 보유하여 시장 가격 변동에 대응하고, 향후 프로젝트 자금 조달 시 활용할 계획이다. 2023년 말 기준으로 약 250만 파운드의 U3O8를 보유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McClean Lake 밀 시설의 22.5%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 우라늄 처리 능력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현재 데니슨 마인스는 주로 탐사 및 개발 단계에 있으며, 상업적 생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특정 고객사는 없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16 | 14 | 20 | 9 | 2 |
매출원가 | 14 | 10 | 13 | 5 | 4 |
매출총이익 | 1 | 4 | 7 | 4 | -2 |
총 영업비용 | 35 | 27 | -2 | -7 | -91 |
영업이익 | -19 | -13 | 22 | 16 | 92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