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프라(Infrastructure)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인프라 대장주, 트럼프 대통령 관련주 정의,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미국 인프라 관련주 개요
정의
미국 인프라 관련주는 미국 내에서 인프라 구축 및 개선과 관련된 기업의 주식을 의미한다. 도로, 철도, 항만, 공항, 전력망, 통신망, 상하수도 등의 물리적 시설뿐 아니라 이를 지원하는 기술 및 서비스 제공업체가 포함된다. 인프라 관련주는 건설, 중장비, 자재(철강, 시멘트), 엔지니어링, 재생에너지, 통신기술 회사들이 주요 구성 요소다.
중요한 이유는?
1. 미국 정부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 정책
트럼프 대통령의 인프라 투자를 포함해 수조 달러 규모의 정부 투자 계획이 미국 경제 성장과 인프라 현대화를 촉진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건설 및 관련 산업에 직접적인 수혜가 발생하며, 관련 기업의 실적과 주가가 긍정적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2.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
인프라는 경제의 뼈대 역할을 하며, 이를 개선하면 생산성이 향상되고 물류비용이 절감되어 산업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동시에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는 대규모 일자리 창출을 유도하며, 노동시장과 소비 시장에 활력을 제공한다.
3. 기후 변화 대응 및 지속 가능성
미국은 재생에너지 인프라 구축과 친환경 기술 확대를 통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전기차 충전소 설치, 풍력 및 태양광 발전소 건설, 스마트 전력망 확충 등이 이에 포함되며, 관련 기업들은 이러한 친환경 전환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면서 장기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
미국 인프라 시장 규모와 성장률

미국 인프라 시장은 운송, 유틸리티, 디지털 인프라 등 다양한 산업을 포괄하는 실질적이고 확장되는 부문이다. 2024년 시장은 약 2조 72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 6.27%로 성장해 2029년에는 약 3조 69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링크)
미국 인프라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인프라 관련주의 성장은 정부의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정부 투자 및 일자리 법안처럼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정책이 있을 경우, 도로, 철도, 전력망 등 주요 인프라 분야에 수혜를 볼 수 있다.반대로 정부의 재정 상황 악화나 정책 변화로 인해 인프라 예산이 축소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투자 전에 정책 리스크를 평가해야 한다.
인프라 시장은 여러 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산업의 성장 속도와 수익 구조가 다르다. 예를 들어, 건설업체와 중장비 업체는 단기 프로젝트 수익에 민감하지만, 재생에너지나 데이터센터 투자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인프라 관련 프로젝트는 대부분 대규모 자본이 필요하며, 기업들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채권 발행이나 대출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금리가 상승하면 자금 조달 비용이 증가하여 기업의 이익률이 악화될 수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 여부가 이러한 기업들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금리 동향을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1. 캐터필러 (CAT)
회사 사업모델

캐터필러는 세계적인 건설 및 광산 장비 제조업체로, 다양한 중장비와 엔진을 설계, 제조, 판매하는 기업이다. 건설 장비인 굴착기, 불도저, 로더, 모터 그레이더, 광산 장비인 대형 트럭, 드릴링 장비, 크러셔 등이 있다.
캐터필러는 판매 후 애프터마켓 서비스와 부품 공급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한다. 디지털 솔루션(기계 모니터링, 예측 유지보수)과 Cat Connect 같은 데이터 기반 서비스로 기계 효율성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캐터필러는 전 세계 건설 및 광산 장비 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은 약 13~15%로 평가된다. 북미와 유럽에서 강력한 시장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도 점유율을 확대 중이다.
글로벌 광산 기업(BHP, Rio Tinto 등)들이 캐터필러의 대형 광산 장비를 사용하며, 석탄, 철광석, 금 채굴 등에 활용된다. 정부가 추진하는 인프라 프로젝트(도로 건설, 공항 확장)에도 장비가 공급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53,800 | 41,748 | 50,971 | 59,427 | 67,060 |
매출원가 | 36,508 | 29,039 | 35,454 | 41,135 | 42,657 |
매출총이익 | 17,292 | 12,709 | 15,517 | 18,292 | 24,403 |
총 영업비용 | 45,510 | 37,195 | 44,093 | 51,523 | 54,094 |
영업이익 | 8,290 | 4,553 | 6,878 | 7,904 | 12,966 |
2. 파카 하니핀 (PH)
회사 사업모델

파카 하나핀은 유체 및 기계적 동력 제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세계적인 리더로, 주요 산업의 필수 기술과 부품을 설계, 제조, 판매한다.
1. 유체 및 공압 기술 (Motion and Control Technologies)
유체 동력 제어: 유압, 공압 시스템 설계 및 부품 제공.
모션 제어 시스템: 전기 모터, 드라이브,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된 정밀 모션 제어 솔루션.
2.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성
호스, 피팅, 실링, 필터링 시스템 등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 가능하다. 에너지 효율적인 기술과 친환경 솔루션 제공한다.
3. 애프터마켓 서비스 및 맞춤 솔루션
파카는 기계 유지보수, 수리, 성능 최적화를 위한 애프터마켓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정 산업과 고객 요구에 맞춘 솔루션을 설계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파카 하나핀은 약 15~20%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보유한 선도 기업으로 평가된다. 유체 동력 제어 및 모션 제어 시장에서 주요 경쟁사로는 Eaton, Bosch Rexroth, Danfoss 등이 있다. 항공우주, 건설, 에너지, 자동차,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인 부품과 시스템을 공급하며 시장 내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는 보잉, 에어버스, 캐터필러와 같은 건설 장비 제조사, 석유 및 가스 재생 에너지 기업이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 | 13,696 | 14,348 | 15,862 | 19,065 | 19,930 |
매출원가 | 10,234 | 9,577 | 10,545 | 12,620 | 12,772 |
매출총이익 | 3,462 | 4,770 | 5,316 | 6,445 | 7,157 |
총 영업비용 | 11,949 | 11,989 | 13,062 | 15,627 | 16,106 |
영업이익 | 1,747 | 2,358 | 2,799 | 3,438 | 3,823 |
3. 트레인 테크놀로지 (TT)
회사 사업모델

트레인 테크놀로지는 전 세계적으로 냉난방, 공조(HVAC), 냉동 솔루션을 제공하는 선도 기업이다.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 기술과 에너지 효율적인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산업의 고객 요구를 충족하고 있다.
1. HVAC 시스템 설계 및 제조
상업용 HVAC: 빌딩, 오피스, 병원, 학교 등 대규모 시설용 냉난방 시스템 제공.
가정용 HVAC: 주거 공간의 에너지 효율적인 냉난방 솔루션 제공.
냉동 솔루션: 식품, 의약품 등 온도 민감 제품의 저장과 운송에 필요한 냉동 장비 및 컨테이너.
2. 서비스 및 유지보수
설치 후 정기 유지보수와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한다. 디지털 연결 기술을 활용해 원격 모니터링, 예측 유지보수 제공한다.
3. 친환경 및 지속 가능 솔루션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 친환경 기술 개발한다. 글로벌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청정 에너지 HVAC 시스템에 집중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트레인 테크놀로지는 전 세계 HVAC 시장에서 약 10~12%의 점유율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유지하고 있으며, 아시아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확대 중이다.
주요 고객은 상업용 부동산 및 빌딩 소유자, 산업 및 물류 기업, 정부가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13,076 | 12,455 | 14,136 | 15,992 | 17,678 |
매출원가 | 9,048 | 8,627 | 9,659 | 11,027 | 11,820 |
매출총이익 | 4,028 | 3,828 | 4,477 | 4,965 | 5,857 |
총 영업비용 | 11,406 | 10,922 | 12,113 | 13,573 | 14,836 |
영업이익 | 1,670 | 1,533 | 2,023 | 2,419 | 2,842 |
4. 허벨 (HUBB)
회사 사업모델

허벨은 전기 제품 및 전력 시스템 솔루션을 설계, 제조, 판매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허벨은 특히 전기 인프라, 에너지 관리, 조명 및 제어 시스템에서 강력한 입지를 보유하고 있다.
1. 전력 시스템 솔루션
전력망, 송배전 설비, 에너지 분배를 위한 장비 및 부품 제공한다. 주요 제품은 전력 변압기, 커넥터, 애자, 전기 스위치 기어다.
2. 전기 및 전자 제품
건물, 공장, 데이터 센터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전기 배선 장비 및 제어 시스템 공급한다. 주요 제품은 배전 상자, 조명 제어 장치, 전기 아울렛, 데이터 커넥터이다.
3. 조명 및 에너지 관리
에너지 효율적인 LED 조명 시스템 및 스마트 조명 제어 솔루션 제공한다. 주거, 상업, 공공 공간의 에너지 절약을 위한 기술 개발을 한다.
4. 서비스 및 유지보수
고객 맞춤형 솔루션과 설치 후 유지보수 서비스 제공한다. 스마트 기술과 원격 모니터링 서비스를 통해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가능하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허벨은 미국 전기 제품 시장에서 약 10~15%의 점유율을 보유하며, 이 분야에서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다. 주로 북미 시장에 강력한 기반을 두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점차 확대 중이다.
전력 송배전 설비를 운영하는 유틸리티 회사가 허벨의 주요 고객이다. 그외 건설회사, 정부가 고객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3,947 | 3,683 | 4,194 | 4,948 | 5,373 |
매출원가 | 2,755 | 2,580 | 3,040 | 3,466 | 3,480 |
매출총이익 | 1,192 | 1,102 | 1,154 | 1,482 | 1,893 |
총 영업비용 | 3,398 | 3,196 | 3,686 | 4,246 | 4,334 |
영업이익 | 548 | 487 | 509 | 702 | 1,039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