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자율주행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자율주행 대장주, 관련주 정의, 자율주행 산업이 중요한 이유, 자율주행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자율주행 관련주 개요
자율주행 정의
자율주행(Autonomous Driving)은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차가 주행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는 인공지능(AI), 센서, 카메라, 라이다(LiDAR), 레이더 및 고정밀 지도 등이 포함된다. 자율주행 차량은 교통 상황, 장애물, 도로 표지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판단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자율주행 기술은 일반적으로 5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는 차량의 자율성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다.
- 1단계: 운전자 보조(특정 기능만 자동화)
- 2단계: 부분 자동화(운전자가 항상 주행을 감독)
- 3단계: 조건부 자동화(특정 상황에서 차량이 대부분의 주행을 담당)
- 4단계: 고도 자동화(대부분의 주행이 자동화되며 제한된 상황에서만 인간 개입 필요)
- 5단계: 완전 자율주행(모든 환경에서 완전 자동으로 주행)
![미국 자율주행 관련주 추천 4개 2 미국 자율주행 관련주 추천 4개](https://korearichmaker.com/wp-content/uploads/2024/07/DALL·E-2024-09-25-15.01.10-A-futuristic-scene-of-an-autonomous-vehicle-driving-on-a-smart-highway.-The-car-is-sleek-and-modern-with-no-driver-inside-surrounded-by-other-autono-1024x585-optimized.webp)
자율주행이 중요한 이유는?
1. 미래 산업의 핵심 성장 동력: 자율주행은 미래 교통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 평가받으며, 자동차 제조사, 반도체 기업, 소프트웨어 개발사, AI 관련 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큰 혁신을 이끌고 있다. 따라서 자율주행 기술이 발전할수록 관련 기업들의 수익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어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분야로 여겨진다.
2. 기술 혁신에 따른 시장 지배력 변화: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사뿐만 아니라 기술 기반의 기업(테슬라, 구글의 웨이모, 애플 등)이 자율주행 기술에 큰 투자를 하고 있다. 기술 혁신이 자동차 산업의 구조를 변화시키면서 시장 지배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는 주식 시장에서 중요한 투자 기회다.
3. 규제와 정책 변화: 자율주행 기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각국의 규제와 정책 변화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규제는 기술의 상용화 속도를 좌우할 수 있으며, 관련된 법적 변화는 기업 가치에 큰 영향을 미친다.
4. 연관 산업의 성장성: 자율주행 기술 발전은 자동차 산업뿐만 아니라 통신(5G), 인공지능, 반도체, 배터리 산업 등 여러 분야에서 기술 발전을 촉진하며, 이는 이들 산업의 주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자율주행에 필요한 고성능 반도체의 수요가 증가하면 관련 반도체 기업들의 실적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자율주행 시장 규모와 성장률
자율주행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몇 년간 중요한 성장을 이룰 것으로 예상한다. 2023년 기준으로 자율주행 차량 시장 규모는 약 119.14억 달러였으며, 2024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27.7%로 성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한다. 이 기간 동안 시장 규모는 1조 7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정보 출처)
또한, 자율주행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도입되고 있으며, 특히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33년까지는 자율주행 차량 시장이 2조 7,528억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미국 자율주행 관련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 회사의 자율주행 기술력은 압도적인가?
- 자율주행 기술을 팔아서 재무 건전성 및 수익성은 높은가?
- 정부 정책 및 규제는 호의적인가?
- 경쟁 환경 및 시장 점유율은 시장에서 몇등인가?
1. 구글 (GOOGL)
![미국 자율주행 관련주 추천 4개 3 1. 구글 (GOOGL)](https://korearichmaker.com/wp-content/uploads/2024/07/Screenshot-2024-09-25-at-2.43.41 PM-optimized.png)
회사 사업모델
구글(Alphabet)의 사업모델은 주로 광고에 기반한다. 주요 수익원은 검색 광고, 유튜브 광고, 그리고 Google 광고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며, 광고가 총 매출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 구독 서비스(유튜브 프리미엄, 구글 원), 하드웨어 판매(Pixel, Chromecast 등) 등에서도 수익을 창출한다.
자율주행 자동차 회사인 웨이모를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다. 미국에서 4단계 자율주행 레이스에서 1위에 올랐다. 현재 미국에서 웨이모가 운행 중이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구글은 전 세계 검색 광고 시장에서 압도적인 92%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 부문에서 약 10%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다양한 산업에 걸쳐 있는 광고주, 유튜브 크리에이터, 그리고 기업 고객들이 있다.
최근 연도 매출,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항목 | 12/31/2023 | 12/31/2022 | 12/31/2021 | 12/31/2020 | 12/31/2019 |
매출액 | 307.394B | 282.836B | 257.637B | 182.527B | 161.857B |
매출원가 | 132.372B | 126.203B | 110.939B | 84.732B | 71.896B |
판매비와관리비 | 86.796B | 81.791B | 67.984B | 56.571B | 54.033B |
영업이익 | 88.226B | 74.842B | 78.714B | 41.224B | 35.928B |
영업이익률 | 28.70% | 26.46% | 30.55% | 22.59% | 22.19% |
당기순이익 | 73.795B | 59.972B | 76.033B | 40.269B | 34.343B |
당기순이익률 | 24.00% | 21.20% | 29.51% | 22.06% | 21.22% |
2. 오토리브 (ALV)
![미국 자율주행 관련주 추천 4개 4 2. 오토리브 (ALV)](https://korearichmaker.com/wp-content/uploads/2024/07/Screenshot-2024-09-25-at-2.46.07 PM-1024x348-optimized.png)
회사 사업모델
오토리브는 자동차 안전 시스템의 세계적인 리더로, 주요 제품으로는 에어백, 안전벨트, 스티어링 휠 등이 있다. 오토리브는 전 세계의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을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수동 안전 시스템의 시장에서 38%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오토리브는 자동차 수동 안전 시스템(airbags, seatbelts) 분야에서 38%의 시장 점유율을 자랑한다. 주요 고객사는 전 세계의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로, 폭스바겐, 도요타, 제너럴 모터스 등 글로벌 기업이 포함
최근 연도 매출,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항목 | 2022년 | 2023년 | 성장률 |
매출 | $8.84 billion | $10.47 billion | 18.42% |
영업이익 | $237 million | $540 million | 127.85% |
영업이익률 | 2.68% | 5.16% | 92.54% |
매출성장률 | 18.42% |
3. 온 세미컨덕터 (ON)
![미국 자율주행 관련주 추천 4개 5 3. 온 세미컨덕터 (ON)](https://korearichmaker.com/wp-content/uploads/2024/07/Screenshot-2024-09-25-at-2.14.53 PM-optimized.png)
회사 사업모델
온세미컨덕터(ON Semiconductor, Onsemi)는 반도체 제품 및 솔루션의 설계, 제조, 공급에 주력한다. 주요 제품으로는 전력 반도체,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처리, 감지 기술, 연결성 솔루션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차(EV), 산업용 자동화, 5G 통신 등의 다양한 산업에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전기차와 재생에너지 관련 시장에서 높은 수요를 보이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온세미는 전력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 자동화, 통신 등 다양한 산업에서 강력한 시장 입지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테슬라, 포드, 삼성전자 등과 같은 대형 전자 및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있다.
최근 연도 매출, 마진, 영업이익률
항목 | 2022년 | 2023년 | 성장률 |
매출 | $8.32 billion | $8.25 billion | -12.65% |
매출마진 | 47.1% | 49.0% | |
영업이익률 | 30.8% | 28.3% |
4. 암바렐라 (AMBA)
회사 사업모델
암바렐라는 AI 엣지 프로세서를 중심으로 하는 반도체 기업으로, 주요 제품은 비디오 처리, 자율 주행, ADAS(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보안 카메라 등 컴퓨터 비전 관련 솔루션을 제공한다. 특히, 비디오 압축 및 이미지 처리 기술에 특화되어 있으며, 자동차와 로봇 기술에도 활용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암바렐라는 자율주행, ADAS, 보안 카메라, 로보틱스 등 AI 엣지 컴퓨팅 분야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자동차 제조사, 보안 카메라 제조업체, 그리고 로봇 개발사들이 있으며, 특히 자율주행 및 ADAS 솔루션에서 중요한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 연도 매출, 매출 성장률,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항목 | 1/31/2024 | 1/31/2023 | 1/31/2022 | 1/31/2021 | 1/31/2020 |
매출액 | 226.474M | 337.6M | 331.9M | 223M | 228.7M |
매출원가 | 89.657M | 128.7M | 123.7M | 87.4M | 96M |
판매비와관리비 | 285.313M | 283.2M | 237.8M | 196.8M | 182.4M |
영업이익 | -148.496M | -74.3M | -29.6M | -61.2M | -49.7M |
영업이익률 | -65.56% | -22.01% | -8.92% | -27.46% | -21.73% |
당기순이익 | -169.417M | -65.4M | -26.4M | -59.8M | -44.8M |
당기순이익률 | -74.83% | -19.38% | -7.95% | -26.83% | -19.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