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AI 반도체 관련주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의 사업모델, 시장 점유율, 장점, 주요 고객사 분석을 합니다. 그 외 주식 기초공부는 링크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반도체는 무엇인가?
AI 반도체 관련주는 인공지능(AI) 기술의 구현과 발전에 필수적인 반도체를 설계, 제조, 또는 공급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의미한다.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 높은 성능과 효율성을 요구하는 반도체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반도체를 개발하거나 생산하는 기업들이 AI 반도체 관련주로 분류된다.
1. AI 전용 프로세서 설계 및 제조 기업: AI 작업에 특화된 반도체, 특히 그래픽 처리 장치(GPU), 텐서 처리 장치(TPU), 신경망 처리 장치(NPU) 등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기업들이 포함된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NVIDIA, AMD, 그리고 AI 전용 칩을 개발한 구글이 있다.
2. 메모리 반도체 제조 기업: AI 작업에는 대규모 데이터 처리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고속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DRAM, NAND 플래시 메모리 등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들이 이 범주에 속한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이 대표적인 기업이다.
3. AI 반도체 설계 툴 및 IP 제공 기업: AI 반도체를 설계할 때 필요한 설계 툴과 지적 재산권(IP)을 제공하는 기업들이다. 이러한 기업들은 반도체 설계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AI 반도체 시장의 발전에 기여한다. 예로는 ARM과 시놉시스(Synopsys), 캐드런스(Cadence) 등이 있다.
AI 반도체를 투자해야 하는 이유는?
1. AI 기술은 다양한 산업에서 혁신을 주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AI 연산을 처리하는 고성능 반도체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AI 반도체는 자율주행차, 헬스케어, 금융,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어, 해당 시장의 성장은 AI 반도체 관련 기업들의 매출 증가와 직결될 가능성이 높다.
2. 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데이터 처리량과 연산 속도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일반적인 반도체보다 훨씬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AI 반도체가 필요하다. 고성능 컴퓨팅(HPC) 시장의 확장은 AI 반도체 관련 기업들에게 큰 기회가 될 것이다.
3. AI 반도체는 단순히 현재의 기술적 필요성을 충족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향후 수십 년간 지속적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장기적인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처로 AI 반도체 관련주가 매력적인 이유다.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 – 1. 시놉시스 (SNPS)
첫 번째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는 시놉시스 회사다.
회사 사업모델
전자 설계 자동화 (EDA): 시놉시스는 반도체 및 전자 제품을 설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툴을 개발하고 판매한다. 이는 칩 설계와 시뮬레이션, 검증, 테스트 등을 포함하여 전체 설계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EDA 툴은 반도체 설계의 핵심으로, 다양한 기업이 반도체 칩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제조하는 데 필수적이다.
반도체 지식 재산(IP): 시놉시스는 SoC(System on Chip) 설계에 사용되는 IP 코어를 제공한다. 이는 ARM, DDR, USB, PCI Express와 같은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설계 블록을 포함한다. 시놉시스의 IP 제품은 고객이 반도체 칩을 설계할 때 개발 시간을 줄이고 복잡성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보안 및 품질 솔루션: 시놉시스는 소프트웨어 보안 및 품질 솔루션을 제공하여 고객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보안과 품질을 개선한다. Coverity, Black Duck, 그리고 Seeker와 같은 제품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탐지하고 해결할 수 있다.
제품 및 서비스 시장 점유율
시장 점유율: 시놉시스는 EDA 시장에서 약 30% 이상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장은 몇 개의 주요 업체가 지배하고 있으며, 시놉시스는 그중 하나로서 강력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경쟁 제품: Cadence는 Virtuoso와 Spectre 같은 아날로그 및 디지털 설계 도구를 제공하며, Siemens EDA는 Calibre와 같은 검증 도구를 통해 경쟁하고 있다.
시놉시스 장점
높은 진입 장벽: EDA 시장은 높은 기술적 복잡성과 지식이 요구되며, 초기 투자 비용이 상당하다. 시놉시스는 수십 년간의 경험과 연구 개발을 통해 축적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경쟁자들의 진입을 어렵게 만든다.
특허 및 지적 재산권: 시놉시스는 여러 가지 혁신적인 설계 툴과 IP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경쟁 업체들이 이를 모방하거나 대체하기 어렵게 만든다.
고객 충성도 및 관계: Synopsys는 세계 유수의 반도체 회사들과 긴밀한 협력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들 기업과의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고객 충성도를 유지하고 있다.
시놉시스 주요 고객사
인텔(Intel): 시놉시스의 EDA 도구와 IP 솔루션을 사용하여 고성능 프로세서를 설계
삼성전자: 모바일 및 소비자 가전 제품에 필요한 반도체를 설계하는 데 Synopsys의 툴을 활용
TSMC: 세계 최대의 파운드리 업체로, 시놉시스의 설계 툴을 사용하여 다양한 고객의 반도체 제품을 제조
퀄컴: 모바일 통신 및 연결성 솔루션에 필요한 반도체 설계를 지원받는다.
애플(Apple): Synopsys의 IP와 설계 툴을 사용하여 최신 기기의 프로세서를 설계
미국 AI 반도체 시놉시스의 목표주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 – 2. TSMC
두 번째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는 TSMC 회사다.
회사 사업모델
TSMC의 주요 사업 모델은 반도체 파운드리 서비스이다. TSMC는 다양한 기술 노드에서 첨단 반도체를 제조하여 여러 산업 분야에 공급한다.
선단 공정 기술 (7nm 이하): TSMC는 7nm 이하 공정 기술에서 가장 큰 매출을 올리고 있으며, 이는 주로 고성능 컴퓨팅(HPC), 인공지능(AI), 모바일 프로세서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5nm 및 3nm 기술은 애플과 같은 대형 고객사의 주요 제품에 사용된다.
중간 공정 기술 (16nm ~ 28nm): 이 기술은 자동차, IoT, 네트워크 장비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된다. 안정성과 비용 효율성을 중시하는 고객들이 이 기술을 주로 선택한다.
이전 공정 기술 (28nm 이상): TSMC는 이전 세대의 공정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소비자 전자제품 및 산업용 제품을 생산한다.
특화 기술: TSMC는 CMOS 이미지 센서, 전력 관리 IC, MEMS 등 다양한 특화 기술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자동차, 의료기기, 스마트폰 카메라 등에 활용된다.
제품 및 서비스 시장 점유율
경쟁사: TSMC의 주요 경쟁사로는 삼성 파운드리(Samsung Foundry)와 인텔의 반도체 제조 부문이 있다. 또한, 글로벌파운드리즈(GlobalFoundries), UMC(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등도 경쟁자로 꼽힌다.
시장 점유율: TSMC는 전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약 6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5nm 이하의 선단 공정 기술에서는 삼성과 함께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제품 및 서비스: TSMC는 고객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공정 기술과 설계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고객이 고성능, 저전력, 저비용 등의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TSMC 장점
기술적 리더십: TSMC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 투자로 최신 공정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 특히, EUV(Extreme Ultraviolet) 리소그래피 기술을 통해 첨단 공정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고객 기반의 다양성: TSMC는 애플, AMD, NVIDIA, 퀄컴 등 다양한 글로벌 IT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이는 특정 고객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규모의 경제: TSMC는 대량 생산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고객에게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시한다.
신뢰성과 품질: TSMC는 높은 품질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고객의 신뢰를 얻고 있다. 이는 오랜 기간 쌓아온 기술력과 품질 관리 시스템 덕분이다.
TSMC 주요 고객사
애플(Apple): TSMC는 애플의 주요 프로세서(AP)를 제조하며,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 다양한 제품에 사용된다. 특히, 애플의 최신 M 시리즈 칩은 TSMC의 5nm 공정에서 생산되고 있다.
AMD: TSMC는 AMD의 CPU 및 GPU를 제조하며, 이들 제품은 고성능 컴퓨팅 및 게임 산업에 주로 사용된다.
엔비디아: TSMC는 NVIDIA의 GPU와 AI 가속기를 생산하며, 이들은 데이터 센터, 자율주행차, 고성능 컴퓨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퀄컴(Qualcomm): TSMC는 퀄컴의 스냅드래곤 프로세서를 제조하여 모바일 기기에 공급. 퀄컴의 제품은 스마트폰, 태블릿, IoT 디바이스 등에 사용
미디어텍(MediaTek): TSMC는 미디어텍의 모바일 AP와 IoT 칩을 제조하여, 다양한 소비자 가전제품에 공급
대만 AI 반도체 TSMC의 목표주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 – 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
세 번째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회사다.
회사 사업모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icron Technology, Inc.)는 반도체 메모리 및 저장 솔루션의 글로벌 리더로, 특히 DRAM, NAND 플래시 메모리, 그리고 NOR 플래시 메모리를 개발, 제조, 판매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마이크론의 제품은 컴퓨터, 모바일 기기, 데이터 센터, 자동차, 네트워크 장비, 소비자 전자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DRAM (Dynamic Random-Access Memory): DRAM은 마이크론의 가장 큰 매출원으로, 전체 매출의 약 70% 이상을 차지한다. DRAM은 컴퓨터, 서버, 모바일 기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며, 고속 데이터 처리와 대량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 필수적이다.
NAND 플래시 메모리: NAND 플래시는 마이크론 매출의 약 25%를 차지하며, SSD(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USB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 다양한 저장 장치에 사용된다. 마이크론은 고성능 및 고용량 NAND 제품을 개발하여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NOR 플래시 메모리: NOR 플래시는 비교적 작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지만, 자동차,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NOR 플래시는 신뢰성과 데이터 유지 능력이 뛰어나며, 코드 저장과 실행에 적합하다.
기타 솔루션 및 서비스: 마이크론은 메모리 모듈,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및 기타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하며, 이러한 제품들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제품 및 서비스 시장 점유율
경쟁사: 마이크론의 주요 경쟁사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으며, 이 두 회사는 DRAM과 NAND 플래시 메모리 시장에서 마이크론과의 직접적인 경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는 메모리 시장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SK하이닉스도 강력한 경쟁자로 자리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마이크론은 DRAM 시장에서 약 2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3위에 해당한다. NAND 플래시 메모리 시장에서도 마이크론은 약 10~15%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Kioxia(구 Toshiba), 웨스턴 디지털(Western Digital) 등과 경쟁하고 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장점
규모의 경제: 마이크론은 대규모 생산 설비를 통해 원가 절감 및 생산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는 고객에게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하는 데 기여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는 기반이 된다.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마이크론은 DRAM, NAND, NOR 등 다양한 메모리 제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제품 다양성은 시장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주며, 안정적인 매출을 보장한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주요 고객사
애플(Apple): 마이크론은 애플의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등에 사용되는 메모리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애플은 마이크론의 주요 고객사 중 하나로, 양사 간의 긴밀한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HP Inc.: 마이크론은 HP의 PC 및 노트북 제품에 메모리 모듈과 SSD를 공급하고 있으며, 이들 제품은 고성능 컴퓨팅과 데이터 저장을 지원한다.
델(Dell): 마이크론은 델의 서버, 스토리지 솔루션에 필요한 DRAM 및 NAND 제품을 제공하며,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성능 향상을 지원한다.
레노버(Lenovo): 마이크론은 레노버의 다양한 컴퓨팅 제품에 메모리 솔루션을 공급하여, 고성능과 효율성을 제공한다.
구글(Google) 및 아마존(Amazon): 마이크론은 구글과 아마존의 데이터 센터 인프라에 필요한 메모리 제품을 제공하며, 이들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기여하고 있다.
미국 AI 반도체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목표주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 – 4. AMD
네 번째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는 AMD 회사다.
회사 사업모델
AMD(Advanced Micro Devices, Inc.)는 CPU, GPU, 및 관련 반도체 제품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글로벌 기술 기업이다. AMD는 특히 고성능 컴퓨팅과 그래픽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컴퓨팅 및 그래픽(C&G): 이 부문은 AMD의 CPU, GPU 및 관련 제품을 포함하며, 전체 매출의 약 50% 이상을 차지. 주요 제품군에는 Ryzen 프로세서, Radeon 그래픽 카드 및 관련 칩셋이 있다.
엔터프라이즈, 임베디드 및 세미 커스텀(Enterprise, Embedded, and Semi-Custom): 이 부문은 데이터 센터, 서버, 게임 콘솔 등에서 사용되는 반도체 솔루션을 포함한다. 매출의 약 30%를 차지하며, 데이터 센터용 프로세서인 EPYC CPU와 게임 콘솔용 반맞춤형 칩이 주요 제품이다.
Xilinx: AMD는 최근에 인수한 자일링스(Xilinx)를 통해 적응형 컴퓨팅 솔루션(Adaptive Computing)을 제공한다. 이는 FPGA(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와 관련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임베디드 시스템, 자동차, 5G 네트워크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된다. 자일링스는 최근 AMD의 매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전체 매출의 약 20%를 차지한다.
제품 및 서비스 시장 점유율
경쟁사: AMD의 주요 경쟁사는 CPU 부문에서는 인텔(Intel), GPU 부문에서는 엔비디아(NVIDIA)다. 인텔은 여전히 CPU 시장에서 강력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GPU 시장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CPU 시장: AMD는 CPU 시장에서 점유율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데스크톱 및 서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2024년 기준, AMD는 데스크톱 CPU 시장에서 약 3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서버 시장에서는 약 2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GPU 시장: AMD는 GPU 시장에서 엔비디아와의 경쟁을 지속하고 있으며, Radeon 그래픽 카드의 성능 향상을 통해 게이밍 및 프로페셔널 그래픽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AMD의 시장 점유율은 약 15~20%로 추정되며, 엔비디아의 GeForce 시리즈와 직접 경쟁하고 있다.
AMD 장점
제품 다양성: AMD는 CPU, GPU, APU 등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 산업 분야의 고객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제품 다양성은 시장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여주며, 안정적인 매출을 보장한다.
전략적 파트너십: AMD는 여러 글로벌 IT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 개발 및 시장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하고, 고객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AMD 주요 고객사
구글(Google): AMD는 구글의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인프라에 EPYC 프로세서를 공급하며, 고성능 컴퓨팅과 데이터 분석 작업을 지원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는 AMD의 EPYC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인스턴스를 제공하여 클라우드 서비스의 성능과 효율성을 향상시킨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AMD는 마이크로소프트의 Xbox 게임 콘솔에 맞춤형 반도체 솔루션을 공급하며, 게임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기여한다.
소니(Sony): AMD는 소니의 PlayStation 콘솔에 GPU 및 CPU 아키텍처를 제공하여, 차세대 게임 경험을 지원한다.
HP Inc. 및 델(Dell): AMD는 HP와 델의 PC 및 노트북 제품에 Ryzen 프로세서와 Radeon 그래픽 솔루션을 공급하며, 고성능 컴퓨팅과 게이밍 경험을 제공한다.
레노버(Lenovo): AMD는 레노버의 다양한 컴퓨팅 제품에 메모리 솔루션을 공급하여, 고성능과 효율성을 제공한다.
미국 AI 반도체 AMD의 목표주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 – 5. ARM 홀딩스 (ARM)
다섯 번째 미국 AI 반도체 관련주는 ARM 홀딩스이다.
회사 사업모델
ARM의 사업 모델은 주로 반도체 설계 및 지적 재산(IP) 라이선싱에 기반을 두고 있다. ARM은 반도체 제조사들이 그들의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프로세서를 개발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를 판매하고, 라이선스 사용에 따른 로열티를 받는다.
프로세서 라이선스: ARM의 주요 수익원은 다양한 아키텍처 기반의 프로세서 설계 라이선스이다. 이는 ARM 코어를 기반으로 하는 CPU, GPU, DSP 등의 설계를 포함하며, 고객은 ARM의 설계를 활용하여 자체 제품을 개발한다. ARM의 프로세서 설계는 모바일 기기, 임베디드 시스템, IoT 디바이스, 데이터 센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로열티: ARM은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고객이 제품을 출하할 때마다 로열티를 받는다. 이는 고객의 판매량에 비례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로, ARM의 매출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
소프트웨어 및 개발 도구: ARM은 개발자들이 ARM 기반의 제품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테스트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및 개발 도구를 제공한다. 이는 ARM의 에코시스템을 강화하고, 고객이 ARM 기술을 활용하여 빠르게 제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제품 및 서비스 시장 점유율
경쟁사: ARM의 주요 경쟁사로는 RISC-V와 같은 오픈소스 아키텍처가 있으며, 인텔(Intel)과 AMD와도 경쟁 관계에 있다. RISC-V는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하여 점차 그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인텔과 AMD는 각각 x86 아키텍처를 통해 고성능 컴퓨팅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ARM은 모바일 프로세서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 스마트폰의 95% 이상이 ARM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있다. ARM의 저전력, 고효율 설계는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임베디드 시스템, IoT 디바이스에서도 널리 채택되고 있다. 서버 및 데이터 센터 시장에서는 ARM의 점유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AWS Graviton과 같은 ARM 기반의 데이터 센터 프로세서가 그 예시다.
ARM 홀딩스 장점
광범위한 라이선스 네트워크: ARM은 전 세계 수많은 반도체 기업과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있으며, 이는 ARM 아키텍처가 다양한 시장에서 표준으로 자리 잡는 데 기여한다.
강력한 에코시스템: ARM은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 등 광범위한 에코시스템을 통해 고객과 개발자에게 강력한 지원을 제공한다.
높은 전환 비용: ARM 아키텍처에 기반한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이를 다른 아키텍처로 전환하는 데 높은 비용이 발생한다. 이는 고객이 ARM의 기술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요인이다.
혁신적인 설계: ARM은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최신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고효율, 저전력 설계에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특히, ARM의 Cortex 및 Neoverse 시리즈는 다양한 성능 요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ARM 홀딩스 주요 고객사
애플(Apple): 애플은 iPhone, iPad, Mac 등 자사의 모든 제품에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프로세서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Apple Silicon은 ARM의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칩이다.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 삼성은 Exynos 프로세서와 같은 ARM 기반 칩을 자사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에 사용하고 있다.
퀄컴(Qualcomm): 퀄컴의 Snapdragon 프로세서는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며, 모바일 기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엔비디아(NVIDIA): 엔비디아는 데이터 센터 및 AI 워크로드에 사용되는 ARM 기반의 고성능 프로세서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Grace CPU는 ARM 아키텍처를 활용한 최신 제품ㅇ다.
브로드컴(Broadcom): 브로드컴은 네트워킹 및 통신 장비에서 사용되는 ARM 기반 프로세서를 설계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 ARM 아키텍처를 활용하고 있다.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는 자체 ARM 기반 프로세서인 Graviton을 통해 데이터 센터 성능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ARM 아키텍처의 활용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AI 반도체 ARM 홀딩스의 목표주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위 사진은 자본시장연구원에서 가져온 통계다. 거래 회전율이 높을수록 누적수익률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쉽게 말하면 단기간 매수 매도를 많이하면 할수록 투자 수익률이 낮다는 사실이다. 개인들이 주식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래 글을 읽어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