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가루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밀가루 대장주, 관련주 정의,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밀가루 관련주 개요
정의
밀가루 관련주는 밀가루 생산, 가공, 유통과 관련된 기업의 주식을 말한다. 주로 농업, 식품 제조업, 그리고 제분 산업에 속하는 기업들이 해당된다. 밀가루 관련주에 포함될 수 있는 대표적인 회사로는 밀 가공업체, 제과업체, 밀을 원료로 하는 식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업 등이 있다.
중요한 이유는?
1. 밀가루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식품 중 하나다. 밀을 주원료로 한 빵, 면류, 과자 등은 많은 나라에서 주요 식품으로 자리잡고 있어 밀가루 산업이 중요하다.
2. 밀가루는 다수의 가공식품의 원료이기 때문에 밀 가격 변동은 전체 식품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인플레이션 등 경제적 요소에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3. 밀가루는 주요 수출입 품목 중 하나로, 밀 생산량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수입 의존도가 높다. 밀가루 산업은 각국의 식량 안보와 경제에 중요하다.
4. 기후 변화나 국제적인 분쟁, 경제 제재 등의 요인들이 밀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관련 기업들의 실적과 주가가 오르락 내리락 한다.
밀가루 시장 규모와 성장률

글로벌 밀가루 시장은 2023년 약 166.59억 달러 규모였으며, 2030년까지 약 227.01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연평균 성장률(CAGR)은 4.52%로 전망한다. 밀가루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식품 원료로서, 특히 아시아, 북미, 유럽 지역에서 수요가 높다. (출처 링크)
1. CJ제일제당
회사 사업모델

CJ제일제당의 밀가루 비즈니스는 식품 제조 및 가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 다양한 밀가루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CJ제일제당은 밀을 수입하여 가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밀가루, 프리믹스 등의 제품을 판매한다.
대표 제품은 백설 밀가루이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CJ제일제당은 국내 밀가루 시장에서 주요 기업 중 하나다. 국내 밀가루 시장에서 상당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프리믹스와 같은 부가가치가 높은 제품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아시아를 중심으로 수출 확대를 통해 매출을 올리고 있다.
CJ제일제당의 주요 고객사는 국내외 식품 제조업체와 레스토랑, 제과제빵 업계 등이 있다.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소매 시장에서도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여 광범위한 고객층을 확보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23,524억 | 242,457억 | 262,892억 | 300,795억 | 290,234억 |
매출원가 | 180,692억 | 190,593억 | 205,071억 | 235,247억 | 229,709억 |
매출총이익 | 42,831억 | 51,864억 | 57,820억 | 65,547억 | 60,525억 |
판매비와관리비 | 33,863억 | 38,268억 | 42,576억 | 48,900억 | 47,609억 |
영업이익 | 8,968억 | 13,595억 | 15,244억 | 16,647억 | 12,915억 |
밀가루를 공급하는 회사 중 가장 많은 영업이익을 올리고 있다.
2. 대한제분
회사 사업모델

대한제분은 밀가루 제조 및 가공에 중점을 두며, 제과 및 제빵업체,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밀가루부터, 제빵용, 제과용, 튀김용 밀가루 등의 다양한 제품을 제공한다. 프리믹스 제품을 통해 여러 식재료를 혼합한 제품을 판매하며, 가정용과 산업용으로 모두 활용된다. 회사는 또한 파스타, 면류 등의 가공식품도 제조한다.
대표 제품은 곰표밀가루이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대한제분은 한국 밀가루 시장에서 주요 기업 중 하나로, 특히 제과제빵 업계와 가정용 시장에서 강력한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회사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대한제분의 주요 고객사는 제과제빵업체, 레스토랑, 그리고 가정 소비자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9,338억 | 9,702억 | 11,113억 | 13,681억 | 14,414억 |
매출원가 | 7,541억 | 7,833억 | 9,131억 | 11,400억 | 11,833억 |
매출총이익 | 1,797억 | 1,869억 | 1,982억 | 2,281억 | 2,581억 |
판매비와관리비 | 1,562억 | 1,639억 | 1,732억 | 1,848억 | 2,032억 |
영업이익 | 234억 | 229억 | 249억 | 432억 | 548억 |
3. 삼양사
회사 사업모델

삼양사의 밀가루 사업은 B2B와 B2C 모두를 아우르며, 주로 식품 제조업체, 제빵업체, 레스토랑 등에 밀가루와 프리믹스 제품을 공급한다. 삼양의 ServeQ 브랜드는 외식업체를 위한 다양한 식재료를 제공하는 토탈 솔루션 서비스로, 밀가루뿐만 아니라 식용유, 농산물 등도 함께 공급하고 있다.
대표 제품은 큐원밀가루이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삼양사는 한국 밀가루 시장에서 주요 기업 중 하나로, 특히 식품 제조업체 및 외식업체에 강력한 공급망을 가지고 있다.
삼양사의 주요 고객사에는 제빵업체, 제과업체, 외식업체가 있으며, 특히 라면 제조업체들에게 밀가루를 공급하여 라면의 주요 재료로 사용된다. 삼양사는 ServeQ 브랜드를 통해 레스토랑과 카페에도 다양한 식재료를 공급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0,963억 | 20,517억 | 23,844억 | 26,524억 | 26,514억 |
매출원가 | 17,126억 | 16,512억 | 19,971억 | 22,385억 | 21,871억 |
매출총이익 | 3,837억 | 4,005억 | 3,872억 | 4,138억 | 4,643억 |
판매비와관리비 | 3,021억 | 2,889억 | 3,047억 | 3,318억 | 3,511억 |
영업이익 | 815억 | 1,115억 | 825억 | 820억 | 1,132억 |
4. 사조동아원
회사 사업모델

사조동아원의 밀가루 비즈니스는 밀가루 생산 및 가공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다양한 고품질 밀가루 제품을 제공한다. 주력 제품으로는 프리미엄 밀가루, 다목적 밀가루, 케이크용 밀가루, 빵용 밀가루, 유기농 밀가루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고객층을 대상으로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사조동아원은 한국의 주요 밀가루 공급 업체 중 하나로, 한국 밀가루 시장에서 약 16%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연간 약 65만 톤의 밀을 수입하여 밀가루로 가공한다.
사조동아원의 주요 고객사에는 제과제빵업체, 외식업체, 식품 제조업체 등이 포함되며, 다양한 고품질 밀가루 제품을 통해 국내외 시장에 밀가루를 공급하고 있다. 또한 해외 시장 진출도 진행 중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4,122억 | 3,876억 | 4,121억 | 6,315억 | 6,785억 |
매출원가 | 3,668억 | 3,412억 | 3,631억 | 5,785억 | 5,977억 |
매출총이익 | 453억 | 463억 | 489억 | 530억 | 807억 |
판매비와관리비 | 329억 | 302억 | 298억 | 378억 | 420억 |
영업이익 | 124억 | 160억 | 191억 | 152억 | 386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