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비율 낮은 국내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부채비율 정의, 중요한 이유, 낮은 주식 특징, 리스크에 대해서 분석합니다.
부채비율 개요
부채비율 정의
부채비율은 회사의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총 부채를 자기자본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이는 기업이 자본을 어떻게 조달하는지를 보여주며, 부채가 자기자본에 비해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지를 나타낸다.

부채비율이 중요한 이유는?
1. 부채비율은 회사가 재정적으로 얼마나 안정적인지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부채비율이 낮으면, 회사가 외부 자금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자본으로 경영을 유지하고 있다는 의미로, 재정적으로 안정성이 크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2. 부채비율이 높을 경우, 회사는 더 많은 이자비용을 부담해야 하며, 이자 지급이 영업이익을 압박할 수 있다. 반대로 부채비율이 낮으면 이자 부담이 적어, 이익을 배당금이나 재투자에 사용할 수 있다.
3. 부채비율이 높으면 경기 변동이나 금리 상승 등의 외부 환경에 취약해진다. 부채가 많을 경우,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 부채 상환 능력이 떨어져 파산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부채비율이 낮은 주식 특징
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산업군에 속한 기업들은 큰 부채 없이도 꾸준히 이익을 창출할 수 있다. 경기 변동에 덜 영향을 받는 필수 소비재나 헬스케어, 공공 서비스 분야에서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들이 많다.
자기자본이 많아 기업이 자금을 외부에서 조달하지 않고도 필요한 투자를 할 수 있다. 이는 높은 자기자본 대비 적은 부채로 인해 부채비율이 낮아지게 만든다. 수익성이 좋은 기업일수록 내부 자본을 활용하여 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
부채비율 낮은 주식의 리스크
1.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들은 외부 자금 조달보다는 주로 내부 자본에 의존하여 경영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기업이 위험을 피하려는 전략일 수 있지만, 외부 차입을 적게 사용함으로써 빠르게 성장을 추진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시장에서 기회를 잡거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자본 투입이 부족해져, 성장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2. 부채비율이 낮은 기업들은 일반적으로 보수적인 경영 방식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지나치게 안전을 추구하면 혁신적이거나 고수익성의 투자 기회를 놓친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에서 기민하게 대응하지 못할 경우, 경쟁자에게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거나 새로운 기술 도입에 뒤처진다.
1. 셀트리온

회사 사업모델
셀트리온은 바이오의약품 중에서도 높은 비용과 복잡한 생산 공정을 요구하는 항체 의약품의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대표적인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 유방암 치료제 허쥬마(허셉틴 바이오시밀러),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맙테라 바이오시밀러) 등이 있다.
셀트리온은 자체적으로 대규모 바이오의약품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바이오시밀러뿐만 아니라 오리지널 의약품의 생산도 가능하게 하는 제조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제약사들과 협업하여 그들의 의약품을 생산하거나 공동 개발하는 계약 제조 사업(CMO,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도 운영하고 있다.
램시마는 유럽에서 오리지널 의약품인 레미케이드 대비 약 6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유럽 바이오시밀러 시장의 주요 기업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 5년 부채비율 흐름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총자본 | 2.8조원 | 3.3조원 | 3.9조원 | 4.1조원 | 17.0조원 |
총부채 | 9,867억원 | 1.6조원 | 1.6조원 | 1.6조원 | 2.8조원 |
부채비율 | 34.35% | 46.46% | 40.09% | 37.84% | 16.30% |
셀트리온 2023년 부채비율은 16% 로 낮은 수준이다.
2. 크래프톤

회사 사업모델
크래프톤은 글로벌 게임 개발 및 퍼블리싱 회사로, 주로 배틀로얄 장르의 게임을 중심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하고 있다. 대표 게임인 PUBG: 배틀그라운드(PlayerUnknown’s Battlegrounds)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다양한 게임 장르와 플랫폼을 확장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다.
크래프톤은 게임 개발사로서 자사의 게임을 직접 개발하고 퍼블리싱한다. 이 중 가장 중요한 게임은 PUBG: 배틀그라운드로, PC, 콘솔,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아시아와 중동 지역에서 PUBG 모바일은 지속적으로 높은 다운로드 수와 매출을 기록하였다. 2023년 기준으로 크래프톤의 PUBG 모바일은 모바일 게임 수익 상위권에 위치하며, 텐센트와 같은 대형 게임사들과 경쟁한다. 글로벌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약 3~5%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최근 5년 부채비율 흐름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총자본 | 5,844억원 | 1.2조원 | 4.6조원 | 5.1조원 | 5.6조원 |
총부채 | 4,056억원 | 5,050억원 | 1.1조원 | 9,213억원 | 8,816억원 |
부채비율 | 69.41% | 41.60% | 24.08% | 18.01% | 15.86% |
크래프톤의 부채비율은 2023년에 15% 수준으로 낮다.
3. 리노공업

회사 사업모델
리노공업은 반도체 테스트 소켓과 검사 핀을 전문적으로 제조 및 판매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반도체 테스트 소켓과 검사 핀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칩을 테스트하고 검증하는 데 필수적인 부품들로, 리노공업은 이러한 고정밀 부품의 설계, 제조, 판매에 특화된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다.
리노공업의 제품들은 전 세계 반도체 제조업체와 테스트 장비 업체에서 사용되고 있다. 2023년 기준, 리노공업은 글로벌 반도체 테스트 소켓 시장의 15~20%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한다.
최근 3년 부채비율 흐름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총자본 | 3,001억원 | 3,373억원 | 4,177억원 | 4,931억원 | 5,570억원 |
총부채 | 255억원 | 241억원 | 486억원 | 383억원 | 258억원 |
부채비율 | 8.51% | 7.17% | 11.65% | 7.77% | 4.63% |
리노공업은 최근 5년동안 매우 낮은 수준의 부채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4. SK바이오사이언스

회사 사업모델
SK바이오사이언스는 다양한 백신을 자체 개발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백신인 GBP510을 개발하며, 전 세계에서 코로나19 예방 백신 공급에 기여했다. 회사는 정부 지원과 협력을 통해 팬데믹 대비용 백신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기존 백신뿐만 아니라 차세대 백신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백신 개발뿐만 아니라 위탁생산(CMO) 및 위탁개발생산(CDMO) 서비스를 제공한다. 코로나19 팬데믹 동안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 백신의 위탁생산을 맡으며 큰 성과를 거두었고, 이후 다른 글로벌 제약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최근 5년 부채비율 흐름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총자본 | 2,327억원 | 2,637억원 | 1.6조원 | 1.7조원 | 1.7조원 |
총부채 | 1,712억원 | 2,984억원 | 5,088억원 | 4,002억원 | 1,485억원 |
부채비율 | 73.58% | 113.14% | 31.77% | 22.98% | 8.72% |
5. 두산로보틱스

회사 사업모델
두산로보틱스의 핵심 제품은 협동 로봇(Cobot)이다. 이 로봇은 인간과 안전하게 협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특히 제조업에서 자동화를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두산로보틱스는 로봇의 정밀성, 안전성, 유연성을 강조하여 다양한 산업에서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하고 있다. 주요 제품 라인업으로는 중소형 협동 로봇 시리즈가 있으며, 로봇 암(arm)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용도 솔루션을 제공한다.
최근 5년 부채비율 흐름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총자본 | 235억원 | 91억원 | 155억원 | 427억원 | 4,388억원 |
총부채 | 86억원 | 131억원 | 139억원 | 198억원 | 176억원 |
부채비율 | 36.59% | 144.35% | 89.94% | 46.42% | 4.01% |
두산로보틱스의 부채비율은 2023년 기준 4%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