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배 만드는 삼성중공업 회사 주가 전망 및 재무제표 분석 글입니다. 잉여현금흐름, 차트 분석을 통해 삼성중공업 목표 주가를 확인합니다. 그 외 다양한 주식 정보는 링크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삼성중공업 주가 전망 – 손익계산서 분석
최근 3년 실적
항목 | 2021 | 2022 | 2023 |
매출액 | 6,622,001,487,326 | 5,944,667,452,285 | 8,009,429,912,108 |
매출원가 | 7,387,663,491,283 | 6,406,887,410,371 | 7,363,956,147,068 |
판매비와관리비 | 546,294,170,065 | 392,200,992,730 | 412,128,996,998 |
영업이익 | (1,311,956,174,022) | (854,420,950,816) | 233,344,768,042 |
영업이익률 | -19.81% | -14.37% | 2.91% |
당기순이익 | (1,452,069,565,718) | (627,411,807,133) | (155,556,375,770) |
당기순이익률 | -21.92% | -10.55% | -1.94% |
삼성중공업 주가 전망 첫 단계는 손익계산서를 확인해야 한다.
삼성중공업 매출액은 2023년에 개선되어 증가하였다. 회사의 영업이익률은 -19% ~ 2.9%로 매우 낮은 수준이고 적자였다. 앞으로 흑자가 계속해서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한다.
삼성중공업 매출액, 영업이익 증가률 추이 분석
항목 | 2022 | 2023 |
매출액 증가율 | -10.22% | 34.74% |
영업이익 증가율 | 34.89% | 127.32% |
삼성중공업 매출액 증가율은 2022년에 -10%로 역성장하였고, 2023년에 34% 개선되었다. 다만 영업이익은 2년 연속 매출액 보다 더 높게 증가하였다. 영업이익 증가율이 매출액 성장보다 더 높다면 보통 주가는 상승한다.
삼성중공업 연도별 매출원가율& 판매비와 관리비율
항목 | 2021 | 2022 | 2023 |
매출원가율 | 111.56% | 107.78% | 91.93% |
판매비와관리비율 | 8.25% | 6.60% | 5.14% |
삼성중공업의 매출원가율은 91~111%로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높은 매출원가율 때문에 높은 영업이익률은 달성하기 어렵다.

삼성중공업이 2023년에 흑자로 전환할 수 있었던 이유는 원재료 가격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후판과 형강 가격이 하락하면 삼성중공업의 이익은 개선된다.
다른 시각으로 보면 삼성중공업은 원재료 가격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봐야한다.
삼성중공업 목표 주가 분석

애널리스트의 삼성중공업 목표주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삼성중공업 잉여현금흐름표 (Free Cash Flow) 분석
항목 | 2021 | 2022 | 2023 |
영업활동현금흐름 (OCF) | 845,026,468,770 | (1,693,020,710,821) | (516,466,559,463) |
설비투자 (CAPEX) | 39,403,152,575 | 62,409,994,388 | 153,460,470,694 |
잉여현금흐름 (FCF) | 805,623,316,195 | (1,755,430,705,209) | (669,927,030,157) |
잉여현금흐름율 (%) | 95.3 |
주주 관점에서 설비투자비용을 차감한 영업현금흐름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을 우리는 잉여현금흐름이라고 부른다. 잉여현금흐름율이 높을수록 안정적으로 주주인 나에게 돌아온 돈이 많다. 이런 기업이 높은 PER을 받아 주가가 올라갈 확률이 높아진다.
삼성중공업의 잉여현금은 2021년에는 흑자로 기록했지만, 2022년부터는 영업활동현금흐름이 적자라서 잉여현금이 마이너스이다.
삼성중공업 주가 전망 – 재무상태표 분석
재무상태표 분석은 특정 시점에 회사가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숫자다. 회사 재무상태를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자산총계, 자본총계, 부채총계 비율
항목 | 2021 | 2022 | 2023 |
자산총계 비율 | 100.00% | 100.00% | 100.00% |
부채총계 비율 | 66.24% | 75.39% | 78.11% |
자본총계 비율 | 33.76% | 24.61% | 21.89% |
삼성중공업 2023년 자산총계 비율을 분석해보면 부채비율이 78%, 자본비율이 21%이다. 부채가 심각하게 많다. 그러면 회사에 많은 문제가 있는걸까?
자산총계 비중 높은것
항목 | 금액 | 비율 (%) |
유동자산 | 9,245,491,743,301 | 59.30% |
현금및현금성자산 | 583,811,700,104 | 3.74% |
단기금융상품 | 155,368,148,597 | 1.00% |
매출채권 | 388,277,469,815 | 2.49% |
계약자산 | 3,783,888,768,756 | 24.27% |
미수금 | 152,866,673,446 | 0.98% |
선급금 | 782,581,085,608 | 5.02% |
선급비용 | 120,532,623,645 | 0.77% |
유동파생금융자산 | 265,825,967,967 | 1.70% |
유동확정계약자산 | 1,113,153,414,269 | 7.14% |
재고자산 | 1,729,150,315,257 | 11.09% |
선급법인세 | 14,578,440,772 | 0.09% |
기타유동금융자산 | 74,387,666,740 | 0.48% |
기타유동자산 | 81,069,468,325 | 0.52% |
비유동자산 | 6,347,897,409,093 | 40.70%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44,110,565,990 | 0.28%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37,321,020,000 | 0.24% |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 53,630,123 | 0.00% |
유형자산 | 5,208,721,659,375 | 33.40% |
사용권자산 | 174,483,139,641 | 1.12% |
투자부동산 | 0 | 0.00% |
무형자산 | 26,973,120,088 | 0.17% |
장기선급비용 | 51,981,344,569 | 0.33% |
비유동파생금융자산 | 95,504,627,336 | 0.61% |
비유동확정계약자산 | 278,064,146,956 | 1.78% |
순확정급여자산 | 78,382,502,389 | 0.50% |
이연법인세자산 | 346,431,147,604 | 2.22%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5,870,505,022 | 0.04% |

삼성중공업의 자산총계를 분석해보면 유형자산, 계약자산, 재고자산, 유동확정계약자산, 선급금 순서로 비중이 높았다.
유형자산이 많은 업종, 무형자산이 많은 업종에 대한 특징은 글 하단 링크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부채총계 비중 높은것
항목 | 금액 | 비율 (%) |
유동부채 | 11,231,917,003,443 | 92.18% |
매입채무 | 832,784,825,809 | 6.84% |
단기차입금 | 1,849,594,459,597 | 15.18% |
미지급금 | 98,577,391,983 | 0.81% |
계약부채 | 4,992,172,531,345 | 40.97% |
미지급비용 | 215,940,017,240 | 1.77% |
당기법인세부채 | 3,967,108,701 | 0.03% |
유동파생금융부채 | 694,071,889,497 | 5.70% |
유동확정계약부채 | 25,370,532,709 | 0.21% |
유동성 장기부채 | 1,185,307,403,700 | 9.73% |
유동리스부채 | 31,277,321,640 | 0.26% |
공사손실충당부채 | 396,665,831,051 | 3.25% |
하자보수충당부채 | 233,529,630,438 | 1.92% |
기타유동충당부채 | 454,900,921,027 | 3.73% |
기타유동부채 | 217,714,764,097 | 1.79% |
비유동부채 | 952,264,550,884 | 7.82% |
사채 | 204,687,390,226 | 1.68% |
장기차입금 | 311,572,000,000 | 2.56% |
비유동리스부채 | 98,825,297,182 | 0.81% |
하자보수충당부채 | 29,982,688,928 | 0.25% |
비유동파생금융부채 | 57,583,521,481 | 0.47% |
비유동확정계약부채 | 48,141,337,331 | 0.39%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187,385,897,826 | 1.54% |
이연법인세부채 | 14,086,417,910 | 0.12% |

삼성중공업 부채총계를 분석해보면 계약부채, 단기차입금, 유동성 장기부채, 매입채무, 유동파생금융부채 순서로 비중이 높았다.
조선업의 계약부채는 무엇일까? 고객에게 미리 받은 금액을 의미한다. 배를 만들어 고객에게 제품을 제공하면 수익으로 인식된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자본총계 추이 그래프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
2021 | 2022 | 2023 | |
자본금 | 880,114,845,000 | 880,114,845,000 | 880,114,845,000 |
주식발행초과금 | 1,969,727,199,227 | 1,969,727,199,227 | 1,969,727,199,227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060,330,621,604 | 1,147,530,942,797 | 1,202,135,756,730 |
기타자본항목 | 1,556,045,053,946 | 1,556,045,053,946 | 1,556,045,053,946 |
이익잉여금(결손금) | (1,355,173,763,477) | (1,958,926,961,561) | (2,168,677,854,589) |

기업가치는 결국 주주자본에 회귀한다. 자본총계는 주주자본을 뜻한다. 우상향으로 늘어나는 것이 좋고 그 중에서도 이익잉여금이 가장 중요하다. 만약 자본금이나 자본잉여금이 자주 늘어난다면 주주에게 유상증자를 많이 하는 어려운 기업일 수 있다.
삼성중공업의 이익잉여금은 지속적으로 마이너스가 심해지고 있다. 주주는 이런 점을 고려하고 투자해야 한다.
재무 상태표를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주식투자를 할 때 기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야 한다. 숫자만 보고 투자를 했다가 주가가 오르지 않는 가치투자 함정에 빠질 수 있다.
주식 공부정보는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삼성중공업 차트 분석

삼성중공업 차트 분석을 통해 1차 목표가 10900원, 2차 목표가 14800원이다. 이 가격대에 저항이 강하다.
주식 차트 보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