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주식의 정의, 산업, 장점과 리스크,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주식의 정의
정의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주식이란, 기업의 매출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해외 시장을 주요 수익원으로 삼는 기업의 주식을 말한다. 이들 기업은 국내보다는 글로벌 시장에서의 활동에 더 큰 초점을 두며, 주요 매출과 성과가 해외 고객과 시장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50% 이상일 경우 “수출 비중이 높다”고 평가한다.
중요한 이유는?
경제 성장 기여: 수출은 국가의 총생산(GDP) 증가에 직접적으로 기여한다.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 발생한 매출을 국내로 유입시켜 경제 성장을 만든다.
외화 획득: 수출로 벌어들인 외화는 국내 경제 안정에 기여하며, 외환 보유고를 증가시켜 환율 변동성을 줄이고 대외 신용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일자리 창출: 수출이 증가하면 생산 확대가 필요해지고, 이를 통해 국내 고용이 늘어나 경제 전반의 활력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수출 비중이 높은 주요 산업

1. 반도체
비중: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약 15~20%를 차지.
주요 품목: 메모리 반도체(DRAM, NAND), 시스템 반도체.
-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글로벌 반도체 시장을 주도.
- 메모리 반도체에서 압도적인 경쟁력 보유.
- 주요 수출국: 중국, 미국, 유럽.
2. 자동차
비중: 전체 수출의 약 10%.
주요 품목: 완성차(승용차, 전기차), 자동차 부품.
- 현대자동차, 기아 등이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
- 전기차 및 친환경차 수출이 증가 추세.
- 주요 수출국: 미국, 유럽, 중동.
3. 석유화학
비중: 전체 수출의 약 8~10%.
주요 품목: 합성수지, 고무, 석유화학 원료.
- 원유를 기반으로 한 제품으로 글로벌 제조업에 필수.
- 중국, 동남아시아 등에서 수요가 높음.
- 주요 수출국: 중국, 동남아, 미국.
4. 디스플레이 패널
비중: 전체 수출의 약 4~5%.
주요 품목: OLED, LCD 패널.
특징
-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주요 업체.
- OLED 기술에서 세계 선두를 달림.
- 주요 수출국: 중국, 미국, 유럽.
5. 조선업
비중: 전체 수출의 약 5%.
주요 품목: LNG선, 컨테이너선, 초대형 유조선(VLCC).
- 고부가가치 선박(친환경 선박 포함)에서 경쟁력.
- 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이 주도.
- 주요 수출국: 유럽, 중동, 동남아.
수출 비중 높은 주식의 장점과 리스크
장점
1. 세계 시장에서 활동하므로 글로벌 경제 성장의 혜택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성장성이 높은 신흥국이나 특정 산업에서의 수요 증가가 직접적인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다.
2.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 환율 상승(원화 약세) 시 가격 경쟁력이 높아지고, 수익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3. 특정 국가나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국가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므로 리스크가 분산된다. 한 국가의 경제 상황이 악화되더라도 다른 지역에서 매출을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리스크
1. 원화 강세가 발생할 경우, 수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낮아지고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 환율 변동에 따른 불확실성이 수익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2.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 글로벌 경기 변화에 민감하다. 세계 경제가 침체하거나, 주요 수출 시장에서 수요가 감소하면 매출과 이익이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3. 보호무역주의, 관세 부과, 수출 제한 등 글로벌 무역 정책 변화에 취약하다. 특정 국가와의 정치적 갈등은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일부 기업은 특정 국가(예: 중국, 미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해당 시장의 리스크가 기업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5.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므로 물류비 상승, 원자재 부족, 국제 해운 문제 등이 기업 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 SK하이닉스
회사 사업모델

SK하이닉스는 반도체 메모리 분야에서 DRAM과 NAND Flash를 주력으로 생산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이러한 제품들은 모바일 기기, PC, 서버,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분야에 공급되어, 전 세계 IT 산업의 핵심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국가별 수출 비중
2022년 기준으로 회사는 미국과 중국에 수출 비중이 매우 높다. 미국은 약 23조원, 중국은 12조원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69,907억 | 319,004억 | 429,977억 | 446,215억 | 327,657억 |
매출원가 | 188,188억 | 210,897억 | 240,456억 | 289,937억 | 332,991억 |
매출총이익 | 81,719억 | 108,106억 | 189,521억 | 156,278억 | -5,334억 |
판매비와관리비 | 54,527억 | 57,980억 | 65,418억 | 88,184억 | 71,968억 |
영업이익 | 27,191억 | 50,126억 | 124,103억 | 68,094억 | -77,303억 |
2. LG에너지솔루션
회사 사업모델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소형 배터리를 주력으로 하는 글로벌 배터리 제조 기업이다. 이 회사는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선두그룹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 배터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국가별 수출 비중
LG에너지솔루션의 수출 비중은 주요 생산 거점의 위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폴란드와 헝가리 등 유럽 지역에서의 생산이 활발하여, 해당 지역으로의 수출 비중이 높다. 미국 시장의 성장에 따라 북미 지역으로의 수출도 증가하고 있다. 주요 고객은 테슬라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4,610억 | 178,519억 | 255,986억 | 337,454억 |
매출원가 | 12,370억 | 139,531억 | 213,080억 | 288,024억 |
매출총이익 | 2,240억 | 38,987억 | 42,905억 | 49,430억 |
판매비와관리비 | 6,992억 | 31,303억 | 30,768억 | 34,566억 |
영업이익 | -4,752억 | 7,684억 | 12,137억 | 14,863억 |
3. 현대차
회사 사업모델

현대자동차는 완성차 제조를 중심으로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이다. 전기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에 적극 투자하며, 지속 가능한 이동 수단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승용차, SUV, 상용차 등 다양한 차종을 생산하여 전 세계에 공급한다.
국가별 수출 비중
2023년 기준으로 현대차의 주요 수출 시장은 다음과 같다.
북미: 154만 9,164대 수출로, 전체 수출의 약 56%를 차지한다.
유럽연합(EU): 43만 5,631대 수출로, 전체 수출의 약 16%를 차지한다.
중동: 21만 9,530대 수출로, 전체 수출의 약 8%를 차지한다.
오세아니아: 18만 7,118대 수출로, 전체 수출의 약 7%를 차지한다.
기타 지역: 중남미, 아시아, 아프리카 등으로의 수출이 나머지를 구성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039,976억 | 1,176,106억 | 1,421,514억 | 1,626,635억 |
매출원가 | 855,159억 | 956,801억 | 1,138,795억 | 1,291,791억 |
매출총이익 | 184,816억 | 219,305억 | 282,719억 | 334,844억 |
판매비와관리비 | 160,870억 | 152,515억 | 184,469억 | 183,575억 |
영업이익 | 23,946억 | 66,789억 | 98,249억 | 151,269억 |
4. HD현대중공업
회사 사업모델

HD현대중공업은 조선업을 중심으로 해양플랜트, 엔진기계, 전기전자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글로벌 종합 중공업 기업이다.
LNG선, 컨테이너선, 유조선 등 다양한 선박을 건조하여 글로벌 해운사에 공급한다. 해양 시추선, FPSO(부유식 원유 생산·저장·하역 설비) 등 해양 자원 개발을 위한 플랜트를 설계·제작한다.
국가별 수출 비중
유럽: LNG선, 컨테이너선 등 상선 수요가 높아 주요 수출 시장 중 하나다.
중동: 해양플랜트 및 특수선 수요가 많아 수출 비중이 높다.
아시아: 중국, 일본 등 인근 국가로의 선박 및 엔진 수출이 활발하다.
북미: 최근 미국 해군과의 협력을 통해 특수선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54,566억 | 83,120억 | 83,112억 | 90,454억 | 119,639억 |
매출원가 | 50,402억 | 78,378억 | 85,204억 | 88,826억 | 113,090억 |
매출총이익 | 4,164억 | 4,741억 | -2,092억 | 1,628억 | 6,548억 |
판매비와관리비 | 2,869억 | 4,416억 | 5,910억 | 4,520억 | 4,762억 |
영업이익 | 1,294억 | 325억 | -8,002억 | -2,891억 | 1,786억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