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쳐스 주가 전망과 기업 분석, 목표주가 정보입니다.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통해 Skechers USA (SKK) 목표 주가를 제시합니다. 그 외 주식 기초 공부, 글로벌 기업 주식 분석은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스케쳐스 사업 모델 분석 (Business Model)

스케처스 주가 전망과 분석 하기위해서는 먼저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봐야 한다.
스케쳐츠는 신발, 의류, 액세서리를 판매하는 브랜드로 전 세계 약 180개 국가와 지역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도매와 직접 소비자 대상 부문으로 나뉘어 다양한 채널을 통해 판매하고 있다.
1. 도매 부문(Wholesale)
파트너 네트워크에 판매한다. 여기에는 서드파티 프랜차이즈와 라이선스 운영 스케쳐스 브랜드 매장이 포함된다.
예) 패밀리 슈스토어, 전문 운동 및 스포츠 용품 소매점, 백화점 대형 매장
2. 직접 소비자 대상 부문(Direct-to-Consumer)
자사 소유의 Skechers 브랜드 매장에서의 직접 판매, 자사 소유의 전자 상거래 사이트.
스케쳐스 주가 전망 – 실적 (Income Statement)
연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매출액 | 5.22B | 4.597B | 6.31B | 7.445B | 8B |
매출원가 | 2.729B | 2.408B | 3.186B | 3.929B | 3.848B |
판매비와관리비 | 1.973B | 2.038B | 2.526B | 2.969B | 3.368B |
영업이익 | 518M | 151M | 598M | 547M | 784M |
영업이익률 | 9.92% | 3.28% | 9.48% | 7.35% | 9.80% |
당기순이익 | 346.6M | 98.6M | 741.503M | 373.028M | 545.799M |
당기순이익률 | 6.64% | 2.15% | 11.75% | 5.01% | 6.82% |
스케쳐스 목표주가를 예상하기 위해서는 과거 최근의 5년 데이터를 분석해야 한다.
매출액은 2020년을 제외하면 꾸준히 상승 중이고, 영업이익도 2023년에는 결국 최고 이익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은 코로나 2020년을 제외하고는 7~9%의 이익률을 기록했다. 의류 신발 업종의 평균 이익률이라고 볼 수 있다.
당기순이익률은 5~11% 수준이다.
스케처스 매출액, 영업이익 성장률 추이 비교
연도 | 2020 | 2021 | 2022 | 2023 |
매출액 증가율 | -11.93% | 37.23% | 17.99% | 7.46% |
영업이익 증가율 | -70.85% | 296.03% | -8.52% | 43.31% |
스케쳐스의 매출액 증가율은 2021년 37%, 2022년 17%, 2023년 7%로 매년 하락하고 있다. 성장률 둔화는 주가 상승의 제한이 될 수 있다.
다만 다행인점은 2023년 영업이익 증가율이 매출액 증가율보다 더 높다. 주가 상승의 요인이다.
스케쳐스 연도별 매출 원가율과 판매비와 관리비율
연도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매출원가율 | 52.26% | 52.39% | 50.49% | 52.79% | 48.10% |
판매비와관리비율 | 37.80% | 44.33% | 40.04% | 39.88% | 42.10% |
매출액 대비 매출 원가율은 수익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가장 중요하다. 다른말로 매출총이익률이라고도 한다.
스케쳐스의 매출원가율은 48~52% 수준이며, 2023년에는 매출원가율이 48%로 개선되었다. 주가 전망에서는 매우 긍정적인 측면이다.
판매비와 관리비율은 37~44% 수준이다. 하지만 판관비는 전년대비 2% 증가하였다.
스케쳐스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 증가율 비교
연도 | 2020 | 2021 | 2022 | 2023 |
매출액 증가율 | -11.93% | 37.23% | 17.99% | 7.46% |
매출원가 증가율 | -11.77% | 32.27% | 23.32% | -2.06% |
판매비와관리비 증가율 | 3.30% | 23.94% | 17.55% | 13.43% |
매출액(판매수량)이 증가하는 만큼 매출원가(원재료)가 증가한다면 변동비형 기업이다. 이런 기업은 영업이익률이 커지기 힘들다. 예) 제조업, 건설업, 의류업, 식품업, 유통업 등. 이런 업종은 물건을 팔려면 원재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스케쳐스의 매출액 증가율과 매출원가 증가율을 분석해보면 2022년까지는 비례해서 움직인다. 매출액이 줄어들면 매출원가도 줄어들고, 매출액이 증가하면 원가도 증가하는 특징을 보인다.
다만 2023년에는 매출액이 증가했지만, 매출원가는 하락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회사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스케쳐스 연도별 주가 상승률 & 목표 주가
Year | Skechers USA (SKX) |
2023 | 48.61 |
2022 | -3.34 |
2021 | 20.76 |
2020 | -16.79 |
2019 | 88.69 |
2018 | -39.51 |
2017 | 53.95 |
2016 | -18.64 |
2015 | 64.04 |
2014 | 66.77 |
2018년, 2020년, 2022년을 제외하고 스케쳐스 주식은 높은 주가 상승률을 보여주었다. 그럼 2024년에는 얼마나 상승할 수 있을까?
스케쳐스 목표 주가를 확인하고 현재 주가가 고평가되어 있는지 저평가되어 있는지 확인하자.
스케쳐스 잉여현금흐름율(Free Cash Flow) 분석
항목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영업활동현금흐름 (OCF) | 426.6M | 331.5M | 212.152M | 238.325M | 1231M |
설비투자 (CAPEX) | -236.1M | -309.9M | -309.674M | -358.992M | -323.722M |
잉여현금흐름 (FCF) | 190.5M | 21.6M | -97.522M | -120.667M | 907.278M |
잉여현금흐름율 (FCF Ratio) | 44.7% | 6.5% | -46.0% | -50.6% | 73.7% |
주주 관점에서 설비투자비용을 차감한 영업현금흐름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을 우리는 잉여현금흐름이라고 부른다. 잉여현금흐름율이 높을수록 안정적으로 주주인 나에게 돌아온 돈이 많다. 이런 기업이 높은 PER을 받아 주가가 올라갈 확률이 높아진다.
2021년, 2022년 회사의 잉여현금흐름은 마이너스였다. 설비투자가 늘어난 것이 아니라 영업활동현금흐름이 감소했기 때문이다.
회사는 매년 비슷한 금액을 설비투자를 위해 사용한다.
스케쳐스 재무상태표 (Balance Sheet)
스케쳐스 자산총계
항목 (Category) | 12/31/2023 | 12/31/2022 | 증가율 (%) (Percentage Change) |
현금 및 현금등가물 (Cash and Equivalents) | 1,190,000,000 | 615,733,000 | 93.27 |
현금 및 단기투자자산 (Cash and Short Term Investments) | 1,263,000,000 | 717,899,000 | 75.93 |
장기투자자산 (Long Term Investments) | 123,996,000 | 70,498,000 | 75.89 |
기타유동자산 (Other Current Assets) | 222,137,000 | 176,035,000 | 26.19 |
누적감가상각 (Accumulated Depreciation) | -960,774,000 | -827,399,000 | 16.12 |
2022년대비 2023년에 많이 증가한 자산총계 항목이다. 현금 및 현금 등가물, 현금 및 단기투자자산, 장기투자자산, 기타유동자산, 누적감가상각 순서로 많이 증가하였다.
현금이 많이 늘어났다는 것은 회사가 경영을 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기업이 현금이 많으면 위기관리 능력이 뛰어나고, 괜찮은 회사를 인수합병을 고려해볼 수 있다.
스케쳐스 부채총계
항목 (Category) | 12/31/2023 | 12/31/2022 | 증가율 (%) (Percentage Change) |
이연법인세부채 (Deferred Taxes) | 12,594,000 | 8,656,000 | 45.49 |
소수지분 (Minority Interest) | 380,700,000 | 301,598,000 | 26.23 |
미지급비용 (Accrued Expenses) | 594,401,000 | 532,837,000 | 11.55 |
장기부채 (Long Term Debt) | 242,944,000 | 218,488,000 | 11.19 |
2022년대비 2023년에 많이 증가한 부채총계 항목이다. 이연법인세부채, 소수지분, 미지급비용, 장기부채 순서로 비중이 많이 증가하였다. 특별히 문제가 되는 부채는 없어 보인다.
손익계산서와 재무 상태표를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필수로 알아야 한다.
스케쳐스 장점 및 단점 분석
아래 7개의 판단기준의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통해서 학습할 수 있다.
1. 무형자산의 유무
정의: 무형자산이란 유형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회사에 가치를 제공하는 자산을 말한다.
스케쳐스는 글로벌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 중 하나이다. 특히 다양한 디자인과 편안함을 강조한 제품 라인으로 많은 소비자에게 사랑받고 있다. 그러나 Nike, Adidas 등과 비교했을 때 브랜드 충성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패션 트렌드에 따라 변동성이 클 수 있다.
2. 전환비용 유무
정의: 전환비용은 소비자가 한 제품에서 다른 제품으로 변경할 때 발생하는 불편함, 비용을 의미한다.
스케쳐스 신발을 착용하는 소비자가 다른 브랜드로 전환하는 데 큰 비용이나 어려움은 없다. 이는 소비자들이 쉽게 다른 브랜드로 옮겨갈 수 있음을 의미하며, 전환 비용이 매우 낮다. 이는 브랜드 충성도가 낮아질 수 있는 요인이다.
의류, 신발과 같은 패션업은 다른 업종에 비해 전환비용이 매우 낮은게 사실이다.
3. 네트워크 효과
정의: 제품,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그 가치가 증가하는 현상
Skechers의 제품 특성상 네트워크 효과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더 많은 소비자가 Skechers 신발을 사용한다고 해서 개별 소비자에게 추가적인 혜택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네트워크 효과가 사실상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내가 마음에 드는 스케쳐스 신발을 모두 구입하면 나는 구입할 수 없는 단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4. 원가우위
정의: 경쟁사보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낮은 가격에 제공할 능력이 있는 시스템
Skechers는 대규모 생산 설비와 글로벌 유통망을 통해 상당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다. 이는 원가 절감과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며, 경쟁력 있는 가격을 제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Nike와 Adidas에 비해서는 여전히 규모에서 밀리는 부분이 있다.
스케쳐스의 경쟁사는 누구일까? 딱히 떠오르지 않는다.
5. 산업의 단계
현재 회사의 서비스와 제품은 어느 단계에 있는가?
- 도입기 -> 성장기 -> 성숙기 -> 쇠퇴기
최근 매출액 성장률이 10% 이하로 내려왔다. 10% 이하를 지속한다면 성숙기 산업에 진입하였다. 매출액 성장을 꾸준히 지켜보자.
6. 확장성
기업의 사업 모델이 내수용인지 글로벌용인지에 따라 적정 PER이 달라진다. 지역 확장성이 높을수록 PER 프리미엄을 받는다. 잘 팔릴 수 있는 새로운 신제품을 쉽게 개발한다면 높은 PER를 받을 수 있다. 대부분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회사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사업을 한다.
내수용 or 글로벌용 | 글로벌 |
회사 사업 모델 갯수 | 패션 |
기업은 180개여국에서 신발을 판매하고 있다.
7. 스케쳐스 경쟁사와 가치 비교
상대적 비교를 통해 회사 주가가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판단한다.
스케쳐스 주가 상승한 이유
1. 글로벌 매출 성장과 온라인 판매 증가가 주가 상승에 큰 역할을 하였다.
2. 제품 라인업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확장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