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도비 24년 4분기 실적 분석

어도비 회사 2024년 4분기 실적에 관한 비교 분석 글입니다. 손익계산서, 지역별, 제품별 판매량을 23년 3분기와 비교하여 어느 부문이 개선되었는지 알아봅니다. 그외 주식 정보는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도비 24년 3분기 실적 분석

어도비 24년 4분기 실적 분석

매출액과 ARR 증가: 2024 회계연도 연간 매출이 전년 대비 11% 늘어나 215.1억 달러를 기록했다. 디지털 미디어 부문(크리에이티브+도큐먼트 클라우드) ARR도 전년 대비 꾸준히 성장해 2024년 말 기준 173.3억 달러가 됐다. 순수 신규 디지털 미디어 ARR이 20억 달러를 돌파한 점이 돋보인다.

*ARR – 구독형 비즈니스 모델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연간 반복 매출을 뜻한다. 예를 들어 어떤 고객이 매월 10달러를 지불하는 구독 서비스에 가입해 있다면, 해당 고객으로부터 발생하는 ARR은 10달러 × 12개월 = 120달러가 된다. 구독 매출처럼 매년 반복적으로 들어오는 수익 규모를 나타내기 때문에, 구독 기반 사업의 성장성이나 안정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디지털 익스피리언스 사업 확장: 디지털 익스피리언스 부문의 연 매출이 53.7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고, 구독 매출 비중도 높아졌다. 꾸준한 클라우드 기반 구독 모델 전환이 재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현금흐름 및 RPO(잔여 수행의무) 증가: 2024년 연간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80.6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RPO 역시 전년 대비 16% 성장한 199.6억 달러를 나타냈다. 미래 매출로 이어질 수 있는 백로그가 견고해진 셈이다.

*RPO – 이미 체결된 계약에서 아직 수익으로 인식되지 않은 금액을 의미한다. 간단히 말해, 기업이 고객에게 제공하기로 약속한 서비스나 제품에 대해 앞으로 받을 예정인 매출 총액을 가리킨다.

자사주 매입 확대: 연간 약 1,750만 주의 자사주를 매입하면서 주주환원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이는 주식 수를 줄여 주당순이익(EPS)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앞으로 회사의 성장 방향

AI 기술과 클라우드 비즈니스 모델 강화: 어도비는 크리에이티브 클라우드, 도큐먼트 클라우드, 익스피리언스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AI 기술을 빠르게 적용하고 있다. 차별화된 서비스와 플랫폼 통합 전략을 통해 시너지를 낼 가능성이 크다.

M&A 및 연구개발 투자 지속: 보도자료에서도 연구개발(R&D) 비용이 늘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AI 관련 기술 확보와 SaaS(Software as a Service) 혁신에 집중해 새로운 시장 기회를 발굴할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경제 여건과 환율 영향: 환율 변동으로 2025년 약 2억 달러 정도의 매출 역풍이 예상된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수익원을 다각화하고 있는 어도비에게도 부담이 될 수 있다. 다만 어도비의 구독 기반 모델은 경기 변동에 비교적 탄력적이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는 견조한 성과를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어도비 3분기 재무제표에서 주목할만한 것

1. 꾸준한 구독 매출 비중 증가: 어도비는 한 번성(Perpetual) 제품 판매보다 월정액·연정액 모델로 전환해 ARR을 확장하고 있다. 이는 예측 가능한 매출 흐름을 제공하므로 기업 안정성 관점에서 긍정적이다.

2. 강력한 현금창출력: 연간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80.6억 달러에 달한다. 소프트웨어 기업 중에서도 우수한 수치다. 탄탄한 현금흐름은 R&D 투자와 자사주 매입 등 주주환원 정책에 재투자할 수 있는 동력이다.

3. RPO(잔여 수행의무) 규모: 199.6억 달러라는 높은 RPO 수치는 당장 매출로 인식되지 않은 미래 재무 실적의 견고함을 시사한다. 구독형 사업 모델에서 RPO는 기업의 미래 매출 안정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다.

4. 주당순이익(EPS)과 자사주 매입 추이: 지속적으로 주식을 매입해 희석 위험을 줄이고, 주당순이익 개선에 기여한다. 향후에도 자사주 매입이 이어진다면 EPS 상승 폭이 커질 수 있다.

5. 인수합병 관련 비용: 피그마(Figma) 인수 시도 등 굵직한 M&A 활동으로 인한 일회성 비용(종료 수수료 10억 달러 등)을 GAAP와 Non-GAAP에서 구분해 봐야 한다. 장기 성장 관점에서 M&A 전략이 어디로 향하는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모르면 망하는 주식 기초정보

회전율과 누적 수익률png

위 사진은 자본시장연구원에서 가져온 통계다. 거래 회전율이 높을수록 누적수익률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쉽게 말하면 단기간 매수 매도를 많이하면 할수록 투자 수익률이 낮다는 사실이다. 개인들이 주식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반드시 아래 글을 읽어봐야 한다.

1. 주식 투자 망하는 개인들의 공통점 (링크)

2. 주식 매도 원칙 5가지 (링크)

3. 우상향하는 주식 주도주 찾는 방법 (링크)

4. 중장기 주식 종목 선정 기준 (링크)

5. 주식 수익률 높이는 기업 분석 4단계 (링크)

6. 초보 투자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주식 차트 공부하기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