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블랙웰(blackwell) 대장주, 관련주 정의, 인공지능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엔비디아 블랙웰 관련주 개요
정의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은 엔비디아가 차세대 인공지능(AI) 및 고성능 컴퓨팅(HPC)을 위해 설계한 새로운 아키텍처 또는 플랫폼을 의미한다. 블랙웰 아키텍처는 이전 세대 아키텍처인 호퍼(Hopper) 또는 암페어(Ampere) 뒤를 잇는 새로운 그래픽 처리 장치(GPU) 아키텍처로, 성능, 효율성, AI 처리 능력 등이 대폭 향상된 것이 특징이다.

블랙웰 중요한 이유는?
1. 엔비디아 블랙웰은 더 빠르고 효율적인 AI 모델 훈련과 추론을 가능하게 하여, AI 연구와 상업적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같은 복잡한 AI 작업을 처리하는 데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한다.
2. 블랙웰 GPU는 엔비디아의 데이터 센터 비즈니스의 핵심이 될 가능성이 크다. 데이터 센터는 AI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중심이며, 이 시장에서 블랙웰 아키텍처는 경쟁력을 강화하고 엔비디아의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거나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3. 블랙웰은 이전 세대보다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켜, 기업들이 더 낮은 비용으로 AI와 HPC 작업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즉 전기세를 아낀다.
인공지능 시장 규모와 성장률

2023년 기준, 글로벌 인공지능(AI) 시장은 약 1,500억 달러 규모였으며, 2030년까지 약 1조 3,45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36.8%로 매우 빠른 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출처 – 링크)
엔비디아 관련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 대체 불가능한만큼 중요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가?
- 엔비디아에게 부품을 판매해서 재무 건전성 및 수익성은 높은가?
- 반도체 경쟁 환경 및 시장 점유율은 몇등인가?
1. TSMC
회사 사업모델
TSMC(타이완 반도체 제조 회사)는 파운드리 모델을 기반으로 한 반도체 제조 기업으로, 자체적으로 반도체를 설계하지 않고, 다른 기업이 설계한 반도체 칩을 위탁받아 생산한다.
인텔이나 삼성전자는 설계와 생산을 모두 진행하는 IDM모델을 채택한 반면, TSMC는 오직 제조에만 집중한다. 이로 인해 전 세계의 반도체 설계 회사들이 TSMC에 의존하게 되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TSMC는 2024년 기준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에서 약 62%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전 세계 파운드리 업계에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쟁사인 삼성전자, 글로벌파운드리, UMC와 같은 기업들이 존재하지만, TSMC의 첨단 공정 기술과 생산 능력은 이를 압도하고 있다.
TSMC는 전 세계 주요 기술 기업들의 칩 생산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 애플, AMD, 퀄컴,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의 주요 반도체 설계 회사들이 TSMC에 의존하고 있다.
애플은 특히 최신 아이폰과 아이패드용 시리즈 칩을 TSMC에서 독점적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엔비디아는 자사의 그래픽 처리 장치(GPU) 대부분을 TSMC에 의뢰해 제조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1,069,985 | 1,339,255 | 1,587,415 | 2,263,891 | 2,161,736 |
매출원가 | 577,287 | 628,108 | 767,878 | 915,536 | 986,625 |
매출총이익 | 492,699 | 711,147 | 819,537 | 1,348,355 | 1,175,111 |
총 영업비용 | 697,291 | 772,475 | 937,431 | 1,142,665 | 1,240,306 |
영업이익 | 372,695 | 566,780 | 649,984 | 1,121,227 | 921,430 |
2. 모놀리식 파워 시스템(MPWR)
회사 사업모델

모놀리식 파워 시스템의 비즈니스 모델은 고효율 전력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여 다양한 전자 시스템의 전압 변환 및 제어를 지원하는 것이다. 이러한 솔루션은 휴대용 전자기기,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 컴퓨터 및 노트북, 모니터, 인포테인먼트 애플리케이션, 의료기기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된다.
모놀리식 파워 시스템는 엔비디아 GPU용 전원 관리 장치를 제공하며 Blackwell 칩의 기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MPWR의 고객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통신 인프라, 자동차, 산업 애플리케이션 및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전력 솔루션을 제공한다. 엔비디아(NVIDIA)와의 협력을 통해 AI 가속 GPU 컴퓨팅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 | 628 | 844 | 1,208 | 1,794 | 1,821 |
매출원가 | 282 | 378 | 522 | 746 | 800 |
매출총이익 | 346 | 466 | 685 | 1,049 | 1,021 |
총 영업비용 | 525 | 686 | 945 | 1,267 | 1,339 |
영업이익 | 103 | 159 | 262 | 527 | 482 |
3. SK하이닉스
회사 사업모델
SK하이닉스는 종합 반도체 회사로, 주로 메모리 반도체에 집중하고 있다. 그들의 주요 제품군은 DRAM과 NAND 플래시 메모리이다. 이 두 제품은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데이터 센터 등 다양한 IT 기기에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SK하이닉스의 비즈니스 모델은 메모리 반도체 개발 및 제조에 중점을 두며, 최근에는 차세대 메모리 기술인 3D NAND, DDR5 DRAM과 같은 첨단 기술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HBM 기술 부분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1위로 올랐으며, 엔비디아에게 HBM을 납품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DRAM 시장: SK하이닉스는 글로벌 DRAM 시장에서 약 27~30%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삼성전자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NAND 플래시 시장: SK하이닉스는 2023년 기준으로 NAND 플래시 메모리 시장에서 약 20%의 점유율을 보유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3위에 위치하고 있다.
고객사 –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델, 엔비디아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69,907억 | 319,004억 | 429,977억 | 446,215억 | 327,657억 |
매출원가 | 188,188억 | 210,897억 | 240,456억 | 289,937억 | 332,991억 |
매출총이익 | 81,719억 | 108,106억 | 189,521억 | 156,278억 | -5,334억 |
판매비와관리비 | 54,527억 | 57,980억 | 65,418억 | 88,184억 | 71,968억 |
영업이익 | 27,191억 | 50,126억 | 124,103억 | 68,094억 | -77,303억 |
4.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회사 사업모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Micron Technology)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DRAM, NAND 플래시 메모리,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을 설계, 제조, 판매하는 미국의 주요 반도체 기업이다. 이 회사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 메모리 솔루션을 제공하며, 특히 데이터 센터, 모바일 기기, 자동차, 산업용 애플리케이션 등에서 활용된다.
마이크론은 엔비디아의 AI 반도체에 사용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칩을 공급한다. 회사는 엔비디아의 AI 워크로드를 지원하기 위해 이러한 HBM 칩의 대량 생산을 시작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마이크론은 글로벌 DRAM 시장에서 약 20%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3위를 기록하고 있다. HBM 시장에서는 2022년 기준으로 약 9%의 점유율을 보였으나, 2025년까지 20% 이상의 점유율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마이크론의 메모리 제품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업들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 센터와 AI 분야에서 엔비디아(NVIDIA)와 협력하여 HBM3E 메모리를 공급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매출액 | 21,435 | 27,705 | 30,758 | 15,540 | 25,111 |
매출원가 | 14,883 | 17,233 | 16,860 | 16,956 | 19,498 |
매출총이익 | 6,552 | 10,472 | 13,898 | -1,416 | 5,613 |
총 영업비용 | 18,392 | 21,423 | 21,139 | 21,285 | 23,807 |
영업이익 | 3,043 | 6,282 | 9,619 | -5,745 | 1,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