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지분율 높은 국내 주식 추천 4개

외국인 지분율 높은 국내 주식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대장주, 관련주 정의,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외국인 지분율 높은 국내 주식

외국인 지분율이란?

주식투자에서 외국인 지분율이란, 특정 기업의 발행 주식 중 외국인 투자자(개인, 기관, 외국계 펀드 등)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의 비율을 뜻한다. 이는 기업의 총 발행 주식 수 대비 외국인 보유 주식 수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

외국인 투자자는 국내 증시에서 주요 매수·매도 주체 중 하나로, 이들의 투자 움직임이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외국인이 특정 주식을 대량으로 매수하면 해당 주식의 수급이 좋아지고, 이는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주로 대형주와 글로벌 경쟁력이 있는 기업에 집중 투자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화학 등의 대형주에서 외국인 지분율이 높다.

외국인 지분율 높은 주식의 투자 장점

외국인 지분율 높은 국내 주식 추천 4개

1. 외국인 투자자는 철저한 분석을 바탕으로 성장 가능성과 안정성을 갖춘 기업에 투자한다. 외국인 지분율이 높다는 것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해당 기업의 재무 안정성, 경영 효율성, 그리고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의미다.

2. 외국인 투자자는 시장에서 큰 자금을 운용하기 때문에, 외국인의 지속적인 매수세는 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이 된다.

3. 외국인 투자자들은 배당 수익률을 중요하게 고려하며, 배당 성향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경향이 있다.

외국인 지분율 높은 주식의 리스크 요인

1. 외국인 투자자는 대규모 자금을 운용하기 때문에 매도세가 강화될 경우 주가가 급락할 가능성이 있다. 예를들어 한국 경제 불안정성으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거나, 원화 약세로 인해 환차손 우려가 발생한다면 외국인 자금이 빠르게 한국시장에서 이탈할 수 있다.

2. 외국인은 주로 특정 산업(반도체, IT 등)과 글로벌 경쟁력이 높은 대형주에 집중 투자한다. 한국 개인투자자들이 착각하는게 외국인들이 시가총액이 낮은 중소형주에 투자하는줄 알지만, 투자하지 않는다.

3.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 결정은 환율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원화 강세(환율 하락) 시 외국인 매수세 증가하고 원화 약세(환율 상승) 시 외국인 매도세 강화한다.

외국인 지분율 높은 주요 산업

금융업 – 4대 금융지주사인 KB금융, 신한금융, 하나금융, 우리금융의 외국인 지분율이 평균 63%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도체 및 전자업 –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주요 투자 대상이다. 특히, 삼성전자의 외국인 지분율은 2024년 9월 기준 53.75%로 집계되었다.

자동차 산업 – 현대자동차기아 등 주요 자동차 제조사의 외국인 지분율이 높다. 이들 기업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1. LG유플러스 (외국인 소진율 – 약 72% )

회사 사업모델

Screenshot 2024 11 24 at 10.42.34 AM

통신 서비스: LG유플러스는 이동통신(MNO)과 알뜰폰(MVNO) 서비스를 제공하며, LTE와 5G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한다. 인터넷, IPTV 등 스마트홈 서비스를 통해 가정 내 다양한 통신 및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B2B 서비스: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데이터센터(IDC), 클라우드 서비스, 사물인터넷(IoT) 솔루션 등을 제공한다. 특히, AI 기반의 컨택센터(AICC)와 커뮤니케이션 AX 등 AI 솔루션을 통해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고 있다.

AI 사업: LG유플러스는 AI 중심의 B2B 성장 전략인 ‘All in AI’를 발표하며, 인프라, 플랫폼, 데이터 등 기술 혁신을 통해 AI 응용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 이를 통해 AI 신사업 진출과 인프라 매출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LG유플러스는 무선 통신 시장에서 점유율을 꾸준히 높여가고 있다. 2023년 8월 기준 이동통신 가입자 수 점유율은 20.9%로, 2위인 KT의 21.4%와 0.5%포인트 차이까지 좁혔다. 이는 LTE 회선 확장과 젊은 층을 겨냥한 마케팅 전략의 결과로 분석된다.

LG유플러스의 최대주주는 LG로, 202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약 37.6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이 약 5.8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123,819억134,176억138,511억139,059억143,726억
매출총이익123,819억134,176억138,511억139,059억143,726억
판매비와관리비116,957억125,314억128,721억128,247억133,746억
영업이익6,862억8,861억9,790억10,812억9,980억

2. KB금융 (외국인 소진율 – 78%)

회사 사업모델

Screenshot 2024 11 24 at 10.46.08 AM

은행업무: 주요 계열사인 KB국민은행을 통해 개인 및 기업을 대상으로 예금, 대출, 외환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증권업무: KB증권은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 중개와 자산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기관영업부문에서 시장점유율을 강화하고 있다.

보험업무: KB손해보험과 KB생명보험을 통해 다양한 보험 상품을 제공하여 고객의 리스크 관리와 재무 안정을 지원한다.

자산운용: KB자산운용은 펀드 및 투자 상품을 통해 고객의 자산 증대를 지원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KB금융그룹은 개인 고객부터 중소기업,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객층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KB증권은 기관영업부문에서 삼성SDS, 삼성전자 등의 블록딜을 주관하며 높은 실적을 올렸다.

KB금융의 최대주주는 국민연금공단으로, 2024년 9월 30일 기준으로 약 8.2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그 외 주요 주주로는 BlackRock Fund Advisors 외 13인이 약 6.36%, The Capital Group Companies, Inc. 외 42인이 약 5.14%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순이자이익91,967억97,222억112,295억115,153억121,417억
순영업이익107,616억114,491억132,984억119,328억130,827억

3. S-OIL (외국인 소지율 약 75%)

회사 사업모델

Screenshot 2024 11 24 at 10.48.16 AM

정유 부문: S-OIL은 원유를 정제하여 휘발유, 경유, 항공유 등 다양한 석유 제품을 생산한다. 최신 설비와 기술을 통해 고품질 제품을 제공하며,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석유화학 부문: 나프타 분해를 통해 에틸렌, 프로필렌 등 기초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화학 제품을 제조한다. 파라자일렌 생산 능력을 보유하여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영향력 있는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윤활기유 부문: 고품질 윤활기유를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하루 44,700배럴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S-OIL은 국내 정유사 중 하나로, 주유소 시장에서 약 20.2%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2024년 2월 기준으로, SK에너지(26.3%), 현대오일뱅크(21.6%), GS칼텍스(19.0%)에 이어 네 번째로 높은 수치다.

S-OIL의 주요 고객사는 국내외 다양한 산업 분야에 걸쳐 있다. 정유 제품은 주유소, 항공사, 해운사 등에 공급되며, 석유화학 제품은 플라스틱, 섬유, 전자 등 다양한 제조업체에 제공된다.

S-OIL의 최대주주는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인 Saudi Aramco의 100% 자회사인 Aramco Overseas Company B.V. (AOC)로, 현재 S-OIL 지분의 63.4%를 보유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243,941억168,296억274,639억424,460억357,266억
매출원가233,468억173,662억246,951억382,914억336,209억
매출총이익10,473억-5,365억27,687억41,545억21,057억
판매비와관리비6,272억5,626억6,277억7,494억7,511억
영업이익4,200억-10,991억21,409억34,051억13,545억

4. 클래시스 (외국인 소진율 – 73%)

회사 사업모델

Screenshot 2024 11 24 at 10.50.28 AM

클래시스는 미용 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를 주력으로 하는 기업으로, 주요 제품으로는 고강도집속초음파(HIFU) 기기인 ‘슈링크’ 시리즈와 모노폴라 고주파(RF) 장비인 ‘볼뉴머’ 등이 있다.

클래시스는 의료기기 판매와 함께 해당 기기의 사용에 필요한 소모품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장비 판매 후에도 꾸준한 매출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국내 미용 의료기기 시장에서 클래시스는 하이푸(HIFU) 장비 부문에서 약 55%의 시장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약 5500여 개의 피부과 병의원 중 약 3000여 개 병원이 클래시스의 슈링크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클래시스의 주요 고객사는 국내외 피부과 병의원 및 미용 클리닉이다. 국내에서는 약 3000여 개의 병의원이 슈링크 장비를 사용하고 있으며, 해외 70여 개국에 진출하여 글로벌 시장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클래시스의 최대주주는 글로벌 사모펀드 운용사인 베인캐피탈(Bain Capital)이다. 2022년 1월, 베인캐피탈은 클래시스 창업주인 정성재 대표와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지분 약 60.84%를 인수하여 최대주주로 등극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811억764억1,006억1,418억1,801억
매출원가172억155억227억336억396억
매출총이익639억609억778억1,081억1,404억
판매비와관리비222억203억261억392억508억
영업이익417억406억517억688억896억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일론머스크 스페이스엑스 수혜받는 국내기업 (링크)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미국 스마트홈 관련주 (링크)

주목할만한 국내 로봇 회사 4개 (링크)

트럼프 수혜주인 SFA 관련주 4곳 (링크)

트럼프 수혜주 조선기자재 관련주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

상위 25% 안에 들어가는 주식 분석 4단계 방법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