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하락 수혜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유가 하락 대장주, 관련주 정의,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유가 하락 관련주 개요
정의
유가 하락 수혜주는 국제 유가가 하락할 때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의 주식을 말한다. 이들 기업은 대체로 원가 구조에서 연료비나 원재료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유가가 하락하면 운영비가 감소하여 이익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항공사, 운송업체, 화학업체, 소비재 기업 등이 유가 하락 시 수혜를 보는 대표적인 수혜주이다. 이들 기업은 유가 하락으로 비용이 줄어들거나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증가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유가 하락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1. 유가가 하락하면 가계의 에너지 비용이 줄어들어 가처분 소득이 증가한다. 이는 소비를 촉진하여 소비재 및 서비스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2. 유가 하락은 물류, 운송, 제조업체의 원가를 절감하여 수익성을 높인다.
3. 유가가 하락하면 소비자 물가에 대한 압박이 줄어들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유가 하락시 수혜 받는 업종

항공업: 항공사는 연료 비용이 운영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유가가 하락하면 항공사의 연료비 부담이 감소하여 수익성이 개선된다. 항공 티켓 가격도 낮아질 수 있어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운송업: 유가 하락은 물류 및 운송업체에게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육상, 해상, 항공 운송 비용이 감소하여 수익성 증가와 운송 수요 확대가 기대된다.
화학 및 플라스틱 제조업: 원유는 석유화학 제품의 주요 원료이기 때문에, 유가 하락은 원재료비 절감으로 이어져 화학 및 플라스틱 제조업체들이 비용을 절감하고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1. 대한항공
회사 사업모델

여객 운송: 대한항공의 가장 큰 사업 부문은 국제 및 국내 항공 여객 운송이다. 전 세계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강력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최근 아시아나 항공과 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화물 운송: 대한항공은 화물 운송 분야에서도 역할을 하고 있다. 글로벌 항공 화물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가지고 있으며, 전자 상거래 및 고부가가치 물품 수송을 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대한항공은 한국 최대 항공사로서 국내 시장에서 주요 항공사 역할을 하고 있으며, 국제선에서도 강력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국제 여객 운송 및 화물 운송에서 세계 상위 10대 항공사 중 하나로 평가 받는다.
고객사 – 여행객, 글로벌 물류 업체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23,842억 | 76,105억 | 90,168억 | 140,960억 | 161,118억 |
매출원가 | 109,358억 | 68,501억 | 69,120억 | 102,454억 | 128,503억 |
매출총이익 | 14,483억 | 7,604억 | 21,047억 | 38,506억 | 32,614억 |
판매비와관리비 | 12,722억 | 6,531억 | 6,868억 | 10,200억 | 14,714억 |
영업이익 | 1,760억 | 1,073억 | 14,179억 | 28,305억 | 17,900억 |
2. LG화학
회사 사업모델

석유화학 부문: LG화학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기초 화학제품(에틸렌, 프로필렌 등) 및 고부가가치 화학 제품(고기능성 플라스틱, 합성 고무 등)을 생산한다. 이 부문은 LG화학 매출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다양한 산업에 걸쳐 활용되는 소재를 공급
전지 부문(배터리 사업): LG화학의 또 다른 주력 부문은 전기차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배터리, IT 기기용 배터리를 생산하는 LG에너지솔루션이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글로벌 리더로 자리 잡고 있으며, 세계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에게 배터리를 공급한다. LG화학의 원래 매력은 이차전지였지만, 에너지솔루션이 상장했기 때문에 투자 기업으로서 매력이 떨어진다.
첨단소재 부문: LG화학은 첨단 소재(디스플레이,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관련 소재 등) 생산
생명과학 부문: LG화학은 바이오 의약품 및 의료기기 개발도 진행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LG화학은 한국 내 석유화학 산업의 선두 기업이다. 특히 기초 화학 부문에서는 한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다양한 산업 제조업체들이 LG화학의 화학 제품을 사용하며, 이들 제품은 자동차 부품, 가전제품, 건축 자재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73,530억 | 300,588억 | 425,992억 | 509,832억 | 552,497억 |
매출원가 | 226,674억 | 237,413억 | 313,846억 | 411,223억 | 464,639억 |
매출총이익 | 46,856억 | 63,174억 | 112,146억 | 98,608억 | 87,858억 |
판매비와관리비 | 38,602억 | 45,121억 | 61,882억 | 68,815억 | 69,335억 |
영업이익 | 8,254억 | 18,053억 | 50,263억 | 29,793억 | 18,523억 |
3. HMM
회사 사업모델

컨테이너 해상 운송: HMM의 주요 수익원은 컨테이너 운송 서비스이다. 글로벌 주요 항로에서 컨테이너선들을 운영하며, 아시아, 유럽, 북미 간의 항로에서 활동하고 있다. 예전에 한참 주가가 오를 때는 흠슬러라고 했다. (HMM+테슬라)
벌크 운송: HMM은 철강, 석탄, 곡물과 같은 벌크 화물을 운송하는 벌크선도 운영한다. 이 부문은 대형 화물을 효율적으로 수송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물류 서비스: HMM은 해상 운송 외에도 육상 물류 서비스와 터미널 운영 등을 통해 통합 물류 솔루션을 제공한다. HMM은 디지털화된 해운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더욱 효율적이고 투명한 화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HMM은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 시장에서 상위 10위권 내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HMM은 약 3~4%의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 시장 점유율이다. 이는 글로벌 해운 얼라이언스인 THE Alliance에 소속되어 주요 항로에서 효율적인 선박 운항을 가능하게 한 결과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55,130억 | 64,132억 | 137,941억 | 185,827억 | 84,009억 |
매출원가 | 55,172억 | 51,288억 | 60,364억 | 81,389억 | 74,261억 |
매출총이익 | -41억 | 12,844억 | 77,577억 | 104,438억 | 9,748억 |
판매비와관리비 | 2,955억 | 3,036억 | 3,802억 | 4,945억 | 3,900억 |
영업이익 | -2,996억 | 9,807억 | 73,775억 | 99,493억 | 5,847억 |
4. 한국전력
회사 사업모델

발전 사업: 한국전력은 자회사들을 통해 원자력, 화력, 신재생 에너지 등 다양한 전력원을 기반으로 전력을 생산한다. 한국전력의 자회사인 한국수력원자력(KHNP), 남동발전, 중부발전 등 6개의 발전 자회사가 전력 생산을 맡고 있다.
송전 및 배전 사업: 한국전력은 생산된 전력을 송전선과 변전소를 통해 전국에 전달하고, 배전망을 통해 가정, 기업, 공공기관에 전력을 공급한다.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스마트 그리드 기술과 전력망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한국전력은 전력을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하며, 산업용, 상업용, 주거용 등 다양한 전력 소비 유형에 맞춰 요금을 차별화하여 판매 중이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한국전력은 대한민국의 전력 시장을 거의 독점하고 있는 기업이다. 국가에서 관리하는 전력 사업자로서, 100%에 가까운 전력 공급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는 발전, 송배전, 판매까지 포함한 통합적인 시스템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전기 가격을 정부가 통제해서 투자로의 매력을 떨어진다.
고객사 – 가정용, 산업 및 상업 고객, 공공기관 및 정부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591,728억 | 585,693억 | 606,735억 | 712,578억 | 882,194억 |
매출원가 | 577,798억 | 518,046억 | 636,442억 | 1,009,035억 | 896,995억 |
매출총이익 | 13,930억 | 67,647억 | -29,707억 | -296,457억 | -14,800억 |
판매비와관리비 | 26,695억 | 26,784억 | 28,758억 | 30,094억 | 30,615억 |
영업이익 | -12,765억 | 40,862억 | -58,465억 | -326,551억 | -45,416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