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리기판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대장주, 관련주 정의,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유리기판 관련주 개요
정의
유리기판 관련주는 유리기판을 생산하거나 유리기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반도체, 전자 산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회사들의 주식을 말한다. 유리기판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요 구성 요소로 사용되며, 스마트폰, TV, 모니터, 반도체 포장 등의 다양한 첨단 기기에서 필수적이다. 주요 관련주는 유리기판 제조업체와 이를 활용해 제품을 생산하는 디스플레이 제조사 등이 포함된다.
중요한 이유는?
1. 유리기판은 LCD, OLED, Micro LED와 같은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핵심 부품이다. 유리기판의 품질과 성능은 화면의 해상도, 투명도, 내구성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얇고 견고한 유리기판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2. 유리기판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첨단 반도체 패키징 기술인 Fan-out 패키징과 같은 공정에서 유리기판은 웨이퍼를 대체하거나 지지하는 기판으로 사용된다. 이 기술은 반도체의 소형화와 고성능화를 가능하게 해 반도체 산업의 혁신에 기여한다.
3. 5G 통신과 인공지능(AI) 기반 디바이스의 발전은 고성능 디스플레이와 반도체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유리기판의 수요도 동반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데이터 센터, 스마트폰, 자율주행 자동차 등 다양한 고성능 전자 제품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핵심 소재로 자리 잡고 있다.
유리기판 시장 규모와 성장률

시장 규모: 2023년 유리기판 시장 규모는 약 70억 달러로 평가되었다.
성장률: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3.5%로 예상되며, 2030년에는 시장 규모가 약 9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유리기판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1. 유리기판 수요는 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 유리기판 시장은 높은 기술 장벽을 가진 시장으로, 주요 기업 간 경쟁 구도가 중요하다.
3. 유리기판 생산에는 고순도 유리와 특수 장비가 필요하며, 원재료 비용 및 공급망 문제가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1. SKC
회사 사업모델

SKC는 이차전지, 반도체, 친환경 소재 분야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소재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2020년 4월,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동박 제조 분야에서 글로벌 1위 기술력을 자랑하는 SK넥실리스를 출범시켜 2차전지 소재 사업을 강화했다. 또한, 기존 주력사업인 화학사업부문을 분사해 쿠웨이트 PIC와 합작사 SK피아이씨글로벌을 설립하며 글로벌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동박 사업: 2021년 기준, SKC는 세계 동박 시장에서 22%의 점유율로 1위를 기록했다.
실리콘 러버 소켓: SKC가 인수한 ISC는 실리콘 러버 소켓 시장에서 75%의 점유율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는 LG에너지솔루션, ISC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인텔, 엔비디아, AMD, 퀄컴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3,610억 | 24,658억 | 22,642억 | 23,866억 | 15,707억 |
매출원가 | 19,620억 | 19,742억 | 16,697억 | 20,103억 | 15,490억 |
매출총이익 | 3,989억 | 4,916억 | 5,944억 | 3,763억 | 216억 |
판매비와관리비 | 2,592억 | 2,896억 | 1,930억 | 1,901억 | 2,379억 |
영업이익 | 1,397억 | 2,020억 | 4,014억 | 1,861억 | -2,163억 |
2. HB테크놀로지
회사 사업모델

HB테크놀러지는 디스플레이, 2차전지, 반도체 분야의 검사 및 수리 장비를 개발·제조하는 기업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디스플레이 검사 장비, 2차전지 검사 장비, 반도체 글라스 기판 검사 및 수리 장비 등이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디스플레이 검사 장비: HB테크놀러지는 OLED 디스플레이 검사 장비 분야에서 삼성디스플레이 내 점유율 90%를 달성하며, 독점적인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2차전지 검사 장비: 2차전지 검사 장비 분야에서는 삼성SDI의 헝가리 및 천안 공장에 납품하며, 헝가리 공장 내 점유율은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는 삼성디스플레이, 중국의 BOE, CSOT, 티안마, SKC의 자회사인 앱솔릭스에 반도체 패키지용 글라스 기판 검사 및 수리 장비를 공급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805억 | 2,742억 | 1,588억 | 1,480억 | 1,116억 |
매출원가 | 2,429억 | 2,421억 | 1,498억 | 1,132억 | 1,033억 |
매출총이익 | 376억 | 321억 | 90억 | 347억 | 82억 |
판매비와관리비 | 275억 | 272억 | 314억 | 279억 | 303억 |
영업이익 | 101억 | 49억 | -224억 | 68억 | -220억 |
3. 필옵틱스
회사 사업모델

필옵틱스는 2008년에 설립된 디스플레이, 반도체, 이차전지 분야의 레이저 응용 장비를 개발·제조하는 기업이다. 주요 제품으로는 OLED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커팅 장비, 이차전지 제조 공정용 레이저 스태킹 장비, 반도체 패키징용 글라스 기판 제조를 위한 TGV(Through Glass Via) 장비 등이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OLED 디스플레이 레이저 커팅 장비: 필옵틱스는 이 분야에서 약 6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삼성디스플레이의 갤럭시 스마트폰, 태블릿, 워치용 OLED 패널 대부분이 필옵틱스의 장비를 통해 제조된다.
주요 고객사는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자, 애플, 중국의 BOE, GVO, 티안마, 반도체 패키징용 글라스 기판 제조를 위한 TGV 장비를 개발하여, 주요 반도체 기업들과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404억 | 1,888억 | 2,307억 | 3,039억 | 3,000억 |
매출원가 | 1,262억 | 1,513억 | 2,086억 | 2,489억 | 2,563억 |
매출총이익 | 141억 | 375억 | 221억 | 550억 | 436억 |
판매비와관리비 | 290억 | 357억 | 326억 | 369억 | 333억 |
영업이익 | -149억 | 17억 | -105억 | 180억 | 102억 |
4. 제이앤티씨
회사 사업모델

강화유리 사업부: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전장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자제품의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는 강화유리를 생산한다. 특히, 초박형 글라스와 폴더블 스마트폰용 커버글라스 등 고부가가치 제품을 개발하여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고 있다.
커넥터 사업부: 5G, 방수, 고속 전송(Type-C) 등 최신 모바일 트렌드에 맞춘 고기능성 커넥터를 글로벌 기업에 공급하며, 시장의 니즈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제이앤티씨는 중화권 주요 고객사와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폰 커버글라스 시장에서 안정적인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화웨이의 플래그십 모델에 고가 커버글라스인 ‘쿤룬 글라스(Kunlun Glass)’를 공급하며, 하반기 실적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한다.
주요 고객사는 화웨이, 샤오미 등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에 커버글라스를 공급하고 있다. 삼성전자 등 국내 주요 전자기업에 커넥터와 강화유리를 공급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3,861억 | 3,477억 | 2,026억 | 1,613억 | 3,234억 |
매출원가 | 2,647억 | 2,480억 | 2,041억 | 1,822억 | 2,639억 |
매출총이익 | 1,214억 | 997억 | -15억 | -208억 | 595억 |
판매비와관리비 | 259억 | 248억 | 291억 | 234억 | 310억 |
영업이익 | 954억 | 749억 | -307억 | -443억 | 285억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