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이재명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선거철 이재명 테마 주식 정의, 투자시 리스크 및 주의사항, 투자 시점과 전략을 알아봅니다. 그 외 정치인 테마주는 글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재명 관련주란?
이재명 관련주는 정치인 이재명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된 기업들의 주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관성은 이재명 대표의 출신 지역, 학연, 경력, 정책 등 다양한 요소를 기반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재명 대표의 고향인 경북 안동에 본사를 둔 기업이나, 그와 같은 학교를 졸업한 경영진이 있는 기업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재명 대표의 정책 방향에 따라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 분야의 기업들도 관련주로 분류된다. 이러한 관련주는 정치적 이슈나 선거 시기에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 있으므로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다.
이재명 의원은 중앙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그는 2022년 6월 보궐선거에서 인천광역시 계양구 을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2024년 4월 10일 제22대 총선에서도 같은 지역구에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정치인 테마주 투자시 리스크 및 주의사항
1. 정치적 변동성
정치인 관련 테마주는 해당 정치인의 인기도, 정책 발표, 선거 결과 등 정치적 요인에 따라 주가가 큰 폭으로 변동할 수 있다. 선거 전후로 기대감이 높아졌다가, 결과 발표 후 주가가 급락하는 “테마주의 단기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2. 정책 실현 가능성 불확실
정치인의 공약이나 정책은 실제로 실현되기까지 많은 변수가 있다. 국회의 의결, 재정 확보 문제, 국제 환경 변화 등이 정책 실현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관련 산업의 근본적인 성장성보다는 단순한 기대감에 의존해 주가가 상승한 경우가 많으므로, 장기적 투자보다 단기 매매에 적합할 수 있다.
3. 기업 실적과의 괴리
정치인 테마주는 실적이나 기업의 내재 가치와는 무관하게 주가가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 테마 종료 후에는 주가가 실적 수준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있어, 고점에서 매수하면 큰 손실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기업의 재무 상태, 실적, 성장 가능성을 반드시 검토한 뒤 투자해야 한다.
이재명 관련주 투자 시점과 전략

이재명 대표의 정책 방향과 관련된 산업이나 기업을 분석하여, 정책 수혜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선정한다. 무엇보다도 정치인 테마주는 대장주를 매매하는게 좋다. 왜냐하면 가장 많은 유동성이 공급되기 때문이다. 정치적 이슈에 따른 주가 변동은 단기적인 경우가 많으므로,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보통 투표 전날, 선거 투표 결과 후 당선 유무에 상관없이 주가는 하락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
1. 동신건설

회사 사업모델
동신건설은 1958년에 설립된 종합건설업체로,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토목사업: 도로, 상하수도, 댐, 항만, 하수처리시설 등 다양한 토목 공사를 수행
건축사업: 관공서 및 주택 건축 등 건축 공사를 진행
문화재공사: 문화재 수리 및 보존 공사를 담당
이재명 테마주인 이유는?
동신건설이 이재명 테마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본사가 이재명 대표의 고향인 경북 안동에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리적 연관성으로 인해 주식시장에서 이재명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40억 | 355억 | 574억 | 503억 | 827억 |
매출원가 | 203억 | 303억 | 500억 | 451억 | 732억 |
매출총이익 | 36억 | 51억 | 74억 | 52억 | 95억 |
판매비와관리비 | 41억 | 29억 | 43억 | 38억 | 31억 |
영업이익 | -4.5억 | 22억 | 30억 | 13억 | 63억 |
2. 에이텍
회사 사업모델

에이텍은 1993년에 설립된 전자기업으로,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금융자동화기기 제조 및 공급: ATM, 지폐 환류 모듈 등 금융기관에서 사용하는 자동화 기기를 개발하고 공급한다.
공공기관용 PC 제조 및 공급: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PC를 제조하여 공급하며, 이 분야에서의 오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에이텍은 최근 금융자동화기기 사업을 강화하고 해외 시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PC 사업 부문을 분할하여 에이텍컴퓨터를 설립하고, 금융자동화기기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이재명 관련주인 이유는?
에이텍이 이재명 관련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대표이사인 신승영 씨가 이재명 대표가 성남시장으로 재직하던 시절 ‘성남창조경영 CEO 포럼’의 운영위원을 역임한 이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맥적 연관성으로 인해 주식시장에서 이재명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992억 | 981억 | 703억 | 943억 | 719억 |
매출원가 | 738억 | 725억 | 568억 | 798억 | 598억 |
매출총이익 | 253억 | 255억 | 135억 | 144억 | 120억 |
판매비와관리비 | 210억 | 192억 | 104억 | 117억 | 111억 |
영업이익 | 43억 | 63억 | 30억 | 27억 | 9.2억 |
3. 토탈소프트
회사 사업모델

토탈소프트는 해운, 항만, 물류 산업 분야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1988년에 설립되어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 시스템, 선박 탑재용 컴퓨터, 항만 커뮤니티 시스템 등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이재명 테마주인 이유는?
이 기업이 이재명 관련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대표이사인 최장수 씨가 이재명 대표와 중앙대학교 동문이라는 점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학연으로 인해 주식시장에서 이재명 테마주로 주목받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18억 | 121억 | 140억 | 138억 | 160억 |
매출원가 | 62억 | 68억 | 77억 | 78억 | 86억 |
매출총이익 | 55억 | 52억 | 63억 | 60억 | 73억 |
판매비와관리비 | 31억 | 27억 | 33억 | 34억 | 37억 |
영업이익 | 24억 | 25억 | 30억 | 25억 | 36억 |
4. 오리엔트정공
회사 사업모델

오리엔트정공은 1987년에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주요 사업 분야는 다음과 같다.
자동차 부품 제조: 수동변속기(TM) 컨트롤 하우징 어셈블리,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 부품인 센트럴 플레이트, 엔진 부품인 하우징 서모스탯 등을 생산한다.
주요 고객사: 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등 주요 완성차 업체의 1차 협력사로서, 신차종 부품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이재명 테마주인 이유는?
오리엔트정공이 이재명 테마주로 분류되는 이유는, 이재명 대표가 청소년 시절 계열사인 오리엔트시계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연으로 인해 주식시장에서 이재명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875억 | 822억 | 1,148억 | 1,119억 | 1,628억 |
매출원가 | 779억 | 766억 | 1,001억 | 1,020억 | 1,494억 |
매출총이익 | 95억 | 56억 | 147억 | 99억 | 133억 |
판매비와관리비 | 133억 | 143억 | 143억 | 95억 | 113억 |
영업이익 | -37억 | -87억 | 3.5억 | 3.6억 | 19억 |
5. 에이텍모빌리티
회사 사업모델

모빌리티 솔루션: 교통카드 단말기, 공유자전거 단말기, 키오스크, 버스 운전석 단말기 등을 제공하여 대중교통 및 모빌리티 관련 솔루션을 제공한다.
금융자동화기기: ATM 기기, 자동정산 키오스크, 전자선불카드(ESL) 등의 금융자동화 기기를 생산 및 판매한다.
물류자동화: 휠소터, 컨베이어 벨트, 창고관리 시스템 등 물류 효율성을 높이는 제품을 생산하여 물류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재명 테마주인 이유는?
본사가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해 있으며, 이재명 대표가 성남시장으로 재직한 이력이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1,280억 | 1,183억 | 1,318억 | 1,504억 | 2,010억 |
매출원가 | 968억 | 860억 | 981억 | 1,123억 | 1,465억 |
매출총이익 | 311억 | 323억 | 337억 | 381억 | 544억 |
판매비와관리비 | 260억 | 276억 | 278억 | 316억 | 391억 |
영업이익 | 51억 | 47억 | 58억 | 65억 | 153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