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줄기세포치료제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줄기세포 대장주, 관련주 정의, 제약바이오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줄기세포치료제 관련주 개요
정의
줄기세포치료제 관련주는 줄기세포를 활용하여 다양한 질환을 치료하는 데 중점을 둔 바이오테크놀로지 및 제약 기업의 주식을 의미한다. 줄기세포는 신체의 다양한 조직과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재생의학과 치료에 광범위하게 응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기업들은 줄기세포 연구 및 임상 개발을 진행하며, 특히 난치성 질환이나 만성질환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국내 기업에서는 대표적으로 네이처셀, 차바이오텍, 메디포스트, 코아스템켐온 기업이 있다.
중요한 이유는?
줄기세포치료제는 현재 의료기술의 한계를 넘어서는 치료 방법으로, 만성 질환, 퇴행성 질환, 신경계 질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줄기세포 관련주는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크다.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함께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줄기세포치료제는 향후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따라 줄기세포 치료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글로벌 바이오 기업들이 줄기세포 연구에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도 연구 개발에 대한 지원이 늘어나고 있다.
줄기세포치료 시장 규모와 성장률
2023년 시장 가치는 약 3억 8,670만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이 24.15%로 예상된다.
줄기세포치료 관련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줄기세포치료제는 오랜 기간의 연구와 임상 시험을 통해 상용화되므로, 관련 기업의 연구 개발(R&D) 단계와 임상 시험의 진행 상황이 중요한 요소다. 특정 기업이 임상 단계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발표하면 주가가 급등할 수 있으나, 실패 시에는 큰 폭의 하락이 있을 수 있다.
줄기세포치료제는 다양한 나라에서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으며, 각국의 보건 당국(예: FDA, EMA)에서의 승인이 필요하다. 승인 절차는 매우 까다롭고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치료제가 승인 절차를 어느 단계에 있는지, 또 승인 가능성이 얼마나 높은지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개인이 평가하기 어렵다. 그래서 투자하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1. 네이처셀
회사 사업모델

네이처셀은 퇴행성 질환, 난치병, 면역 질환 등을 대상으로 줄기세포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 줄기세포 배양에 필요한 배지를 생산하여 연구 및 상업적 용도로 공급한다. 그리고 줄기세포 배양액을 활용한 화장품을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하여 판매 중이다.
음료 제조 및 판매: 발효식품과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 다양한 음료를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제공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네이처셀은 줄기세포 치료제 분야에서의 연구 개발과 글로벌 시장 진출 노력을 통해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줄기세포 배양액을 활용한 화장품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중이다.
회사의 주요 고객은 (주)알바이오와 최종 소비자이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30억 | 167억 | 203억 | 212억 | 193억 |
매출원가 | 101억 | 91억 | 110억 | 121억 | 111억 |
매출총이익 | 129억 | 76억 | 93억 | 91억 | 81억 |
판매비와관리비 | 111억 | 140억 | 168억 | 180억 | 184억 |
영업이익 | 17억 | -64억 | -74억 | -89억 | -102억 |
2. 차바이오텍
회사 사업모델

자연살해(NK) 세포를 활용한 고형암 면역세포치료제 ‘CBT101’과 탯줄 유래 줄기세포치료제 ‘CordSTEM-DD’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텍사스에 위치한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를 통해 세포·유전자치료제의 위탁개발생산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국, 호주, 일본 등 7개국에서 90여 개의 병원을 운영하며, 난임 치료와 종합병원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차바이오텍의 CDMO 사업 부문은 글로벌 제약사와 바이오테크 기업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미국 자회사 마티카 바이오테크놀로지는 다국적 제약사와의 계약을 통해 세포·유전자치료제 생산을 담당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5,346억 | 6,647억 | 7,274억 | 8,445억 | 9,539억 |
매출원가 | 3,544억 | 4,737억 | 5,108억 | 6,400억 | 6,775억 |
매출총이익 | 1,801억 | 1,909억 | 2,166억 | 2,045억 | 2,763억 |
판매비와관리비 | 1,742억 | 1,933억 | 2,089억 | 2,516억 | 2,859억 |
영업이익 | 58억 | -24억 | 77억 | -470억 | -95억 |
3. 메디포스트
회사 사업모델

세계 최초 동종 줄기세포 치료제인 ‘카티스템(CARTISTEM)’을 개발하여 무릎 연골 결손 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주사형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SMUP-IA-01’ 등 차세대 줄기세포 치료제의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다. 국내 최대 규모의 제대혈은행 ‘셀트리’를 운영하며, 제대혈 보관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메디포스트는 국내 제대혈은행 시장에서 1위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카티스템’은 국내에서 3만 명 이상의 환자에게 투여되었으며,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메디포스트의 고객은 출산을 앞둔 산모와 가족들이 주요 고객이다. 의료기관과 병원을 통해 무릎 연골 결손 환자들에게 제공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458억 | 486억 | 548억 | 642억 | 686억 |
매출원가 | 167억 | 177억 | 229억 | 258억 | 284억 |
매출총이익 | 290억 | 308억 | 318억 | 383억 | 401억 |
판매비와관리비 | 370억 | 333억 | 370억 | 557억 | 653억 |
영업이익 | -80억 | -24억 | -52억 | -174억 | -251억 |
4. 코아스템켐온
회사 사업모델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 루게릭병) 치료제로, 국내에서 조건부 승인을 받아 시판 중이며, 미국 FDA 승인을 목표로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코아스템켐온은 국내 비임상 CRO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줄기세포 치료제 분야에서도 ‘뉴로나타-알주’를 통해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비임상 CRO 서비스 부문에서는 국내외 제약사, 바이오테크 기업, 연구기관 등이 주요 고객이다. 줄기세포 치료제 부문에서는 의료기관을 통해 환자들에게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매출액(수익) | 242억 | 263억 | 302억 | 458억 | 336억 |
매출원가 | 193억 | 214억 | 222억 | 306억 | 301억 |
매출총이익 | 49억 | 49억 | 79억 | 152억 | 34억 |
판매비와관리비 | 100억 | 119억 | 185억 | 216억 | 231억 |
영업이익 | -50억 | -70억 | -105억 | -63억 | -196억 |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