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퓨처엠 주가 하락 이유 – 주식 전망

2차전지 양극재를 생산하는 포스코퓨처엠 주가가 하락하는 실질적인 이유에 대한 기본적 분석입니다. 회사의 실적, 재무상태표, 정성적 분석을 통해 왜 주식이 상승하지 못하는지 찾아냈습니다. 투자 정보에 대한 내용은 홈페이지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1. 포스코퓨처엠 주가 하락 – 실적

포스코퓨처엠 실적
항목202120222023
매출액1,989,542,181,8623,301,915,805,0634,759,871,486,264
매출원가1,751,447,338,7832,967,157,795,3714,502,641,709,206
판매비와관리비116,418,950,497168,886,339,749221,347,591,059
영업이익121,675,892,582165,871,669,94335,882,185,999
영업이익률6.12%5.02%0.75%
당기순이익133,761,698,843121,928,567,1244,435,219,953
포스코퓨처엠 매출액 그래프

포스코퓨처엠 주가 전망과 주식 하락하는 이유를 찾기위해서는 먼저 실적을 봐야한다.

포스코퓨처엠 회사의 매출액은 매년 가파르게 성장 중이다. 매출액 성장률이 높으면 성장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성장주의 주가 상승은 가파르다.

영업이익은 2022년 최고치를 기록하고 2023년에는 대폭 하락하였다. 이러한 점이 현재 주식이 하락한 주된 이유다.

영업이익률은 5~6% 의 낮은 2차전지 평균 마진율을 기록하다가 2023년에는 0.75%라는 아주 낮은 마진을 남겼다. 이익률이 하락하면 시장에서 주가 전망은 부정적으로 변한다.

애널리스트의 포스코퓨처엠 목표주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포스코퓨처엠 매출액, 영업이익 증가율

항목20222023
매출액 증가율65.99%44.15%
영업이익 증가율36.30%-78.37%

포스코퓨처엠의 매출액 증가율을 계산해보면 2022년에는 65%, 2023년에는 44%를 기록했다. 다만 영업이익 증가율은 매출액보다 훨씬 낮다.

영업이익 증가율이 매출액 증가율보다 높다면 보통 주가가 급등한다.

포스코퓨처엠 매출 원가율, 판매비와 관리비율

항목202120222023
매출원가율88.04%89.86%94.60%
판매비와 관리비율5.85%5.11%4.65%

포스코퓨처엠의 매출 원가율은 88%~94%로 매우 높다. 왜 영업이익률이 낮은지 알 수 있다. 설상가상으로 매년 원가율이 상승하고 있다.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회사 마진율이 낮아지면서 주가는 하락했다.

판관비는 평균 5%로 일정하게 잘 유지하고 있다.

그럼 포스코퓨처엠 회사의 원재료는 무엇일까?

Screenshot 2024 06 17 at 11.28.45 AM

회사가 주로 수입하는 원재료는 내화물, 생석회, 음극재, 양극재이다. 가장 많은 비율은 양극재로 92%를 차지한다.

항목20222023
매출액 증가율65.99%44.15%
매출원가 증가율69.42%51.66%
판매비와관리비 증가율45.08%31.07%

매년 매출액, 매출원가, 판관비 증가율이 비슷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다. 이러한 기업을 변동비형 기업이라고 부르고, 제조업의 전반적인 특징이다.

제조업은 영업이익률을 개선하기 매우 힘들다. 그래서 높은 PER를 받기 어렵다.

포스코퓨처엠 잉여 현금흐름율(Free Cash Flow)

워렌버핏같은 투자 대가들은 기업의 잉여현금흐름을 꼭 확인한다. 잉여현금흐름비율이 높을수록 주주에게 환원될 돈이 많아지고 주가가 우상향하게 된다. 포스코퓨처엠의 FCF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 포스코퓨처엠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분석은 특정 시점에 회사가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숫자다. 회사 재무상태를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자본총계 부채총계 비율

항목202120222023
자산총계100%100%100%
부채총계37.84%42.84%58.78%
자본총계62.16%57.16%41.22%

포스코퓨처엠 주가 전망을 하기위해서 재무상태 비율을 분석해보자. 회사의 부채총계율을 매년 증가하고 있고, 자본총계율을 매년 감소한다.

기업가치는 결국 주주자본에 회귀한다. 자본총계는 주주자본을 뜻한다. 우상향으로 늘어나는 것이 좋고 그 중에서도 이익잉여금이 가장 중요하다. 자본총계가 증가하지 못한다면 주식은 상승하지 못한다.

포스코퓨처엠 자산총계 비중

항목금액 ()비율 (%)
자산총계6,334,593,297,871100.00%
유동자산2,411,881,410,82938.08%
현금및현금성자산389,579,199,4826.15%
기타유동금융자산263,412,024,3454.16%
매출채권758,049,903,32811.97%
계약자산9,680,909,9120.15%
재고자산916,674,470,48314.48%
기타유동자산71,356,583,0151.13%
당기법인세자산3,128,320,2640.05%
비유동자산3,922,711,887,04261.92%
유형자산3,359,487,997,64553.04%
사용권자산103,847,838,2121.64%
무형자산40,880,147,8430.65%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262,841,552,9134.15%
기타비유동금융자산49,257,106,0800.78%
투자부동산188,070,1560.00%
순확정급여자산27,388,587,7720.43%
기타비유동자산23,338,406,6700.37%
이연법인세자산55,482,179,7510.88%
포스코퓨처엠 자산총계

포스코퓨처엠 2023년 자산총계를 분석해보면 유형자산, 재고자산, 매출채권,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기타유동금융자산,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순서대로 많다.

유형자산과 재고자산, 매출채권이 많은 것은 전형적인 제조업의 특징이다. 유형자산이 많은 업종, 무형자산이 많은 업종에 대한 특징은 글 하단 링크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항목증가금액 ()증가율 (%)
유형자산1,261,489,440,19860.11%
재고자산46,540,804,9445.35%
현금및현금성자산108,198,755,32438.44%

자산총계에서 2022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항목 3개는 유형자산, 재고자산,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다. 유형자산이 많다는 것은 2차전지 생산량 증가를 위해 토지, 공장 및 기계 설비에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다는 뜻이다.

다만 유형자산에 많은 돈을 투자한다면 주주에게 돌아갈 이익이 낮아진다. 이런 기업은 오마하의 현인 워렌버핏이 싫어하는 기업이다.

포스코퓨처엠 부채총계 비중

항목금액 ()비율 (%)
부채총계3,723,127,307,788100.00%
유동부채1,396,407,813,02537.50%
매입채무262,251,342,1077.04%
계약부채1,271,094,7000.03%
단기차입금352,139,820,1229.46%
유동성장기차입금 및 사채327,651,087,8978.80%
기타유동금융부채424,393,605,55811.40%
유동 리스부채16,787,717,6350.45%
유동충당부채5,798,873,1510.16%
기타 유동부채4,828,034,2900.13%
당기법인세부채1,286,237,5650.03%
비유동부채2,326,719,494,76362.50%
장기차입금 및 사채2,218,104,479,31859.57%
퇴직급여부채406,999,4990.01%
기타비유동금융부채16,843,484,8360.45%
비유동 리스부채79,702,557,3502.14%
비유동충당부채8,057,979,3670.22%
이연법인세부채3,603,994,3930.10%
포스코퓨처엠 부채총계

포스코퓨처엠 부채총계에서 많은 비중은 장기차입금 및 사채, 기타유동금융부채, 단기차입금, 유동성 장기차입금 및 사채, 매입채무이다.

항목증가금액 ()증가율 (%)
장기차입금 및 사채1,291,693,579,561139.41%
기타유동금융부채261,817,432,164161.09%
단기차입금149,312,991,05473.61%

부채총계에서 가장 많이 증가한 항목은 장기차입금 및 사채, 기타유동금융부채, 단기차입금이다. 회사가 미래를 위해 부채를 많이 활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너무 총액이 많으면 부담이 커진다.

3. 포스코퓨처엠 주가 하락 이유

포스코퓨처엠 산업 전망

1. 2차전지 양극재를 만드는 데 필요한 원자재인 리튬, 니켈, 코발트 등의 가격은 매우 변동성이 심하다. 원자재의 가격이 급등하면 생산 비용이 크게 증가하여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 그럼 당신은 원자재 미래 가격을 예측할 능력이 있는가? 모두가 없다. 그래서 포스코퓨처엠 미래 전망은 낙관할 수 없다.

2. 2차전지 양극재 산업은 매우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 분야다.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하다. 경쟁이 뒤처진다면 경쟁력을 잃을 수 있다.

3. 2차전지 소재 회사의 단점은 가격 협상력에서 을의 입장이다. 2차전지 배터리를 만드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같은 회사보다 힘이 없다.

이러한 이유로 주가가 하락했다. 이익률 높고 꾸준히 돈 잘버는 정상적인 주식 투자를 하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