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보톡스를 만드는 휴젤 회사 주가 전망 및 재무제표 분석 글입니다. 실적, 매출원가율, 잉여현금흐름을 분석하여 휴젤 목표 주가를 확인합니다. 그 외 다양한 주식 정보는 링크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휴젤 주가 전망 – 손익계산서 분석
최근 3년 실적
항목 | 2021 | 2022 | 2023 |
매출액 | 231,859,108,191 | 281,675,135,067 | 319,699,941,151 |
매출원가 | 54,778,657,646 | 62,818,252,477 | 73,537,109,939 |
판매비와관리비 | 81,469,107,228 | 117,478,389,319 | 128,381,045,257 |
영업이익 | 95,611,343,317 | 101,378,493,271 | 117,781,785,955 |
영업이익률 | 41.22% | 35.99% | 36.84% |
당기순이익 | 60,393,105,236 | 60,681,761,506 | 97,660,299,628 |
당기순이익률 | 26.04% | 21.55% | 30.56% |
휴젤 주가 전망 첫 단계는 손익계산서를 확인해야 한다.
톡신, 필러, 웰라쥬를 판매하는 휴젤의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꾸준히 성장 중이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역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휴젤의 영업이익률은 35~41%, 당기순이익률은 21~30% 수준이다. 영업이익률은 2021년대비 하락했지만 당기순이익률은 상승하였다.
휴젤 매출액, 영업이익 증가률 추이 분석
항목 | 2022 | 2023 |
매출액 증가율 | 21.48% | 13.50% |
영업이익 증가율 | 6.04% | 16.16% |
휴젤의 매출액 증가율 분석해보면 2022년에 21%, 2023년에 13%가 상승하였다. 여전히 높은 상승률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매출액 증가율이 다소 둔화되었기 때문에 가파른 주가 상승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
휴젤 연도별 매출원가율& 판매비와 관리비율
항목 | 2021 | 2022 | 2023 |
매출원가율 | 23.62% | 22.30% | 23.00% |
판매비와관리비율 | 35.14% | 41.71% | 40.17% |
휴젤의 매출원가율은 22~23%, 판관비율은 35~41% 수준이다. 휴젤은 매출원가 관리 능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판관비율은 2021년대비 5~6% 상승하였다.
휴젤 목표 주가 분석

애널리스트의 휴젤 목표주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휴젤 잉여현금흐름표 (Free Cash Flow) 분석
항목 | 2021 | 2022 | 2023 |
영업활동현금흐름 (OCF) | 85,940,034,914 | 80,626,442,310 | 117,705,306,304 |
설비투자 (CAPEX) | -48,401,540,929 | -45,028,880,316 | -40,555,040,728 |
잉여현금흐름 (FCF) | 37,538,493,985 | 35,597,561,994 | 77,150,265,576 |
잉여현금흐름율 (FCF Ratio) | 43.7% | 44.2% | 65.6% |
주주 관점에서 설비투자비용을 차감한 영업현금흐름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을 우리는 잉여현금흐름이라고 부른다. 잉여현금흐름율이 높을수록 안정적으로 주주인 나에게 돌아온 돈이 많다. 이런 기업이 높은 PER을 받아 주가가 올라갈 확률이 높아진다.
휴젤의 잉여현금흐름을 살펴보면 43~65%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의외로 유형자산(비품, 시설장치, 실험기기) 투자 비용과 무형자산 취득 비중이 높다. 휴젤은 생각만큼 잉여현금흐름이 높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휴젤 주가 전망 – 재무상태표 분석
재무상태표 분석은 특정 시점에 회사가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숫자다. 회사 재무상태를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자산총계, 자본총계, 부채총계 비율
구분 | 제 21 기 (2021) | 제 22 기 (2022) | 제 23 기 (2023) |
자산총계 대비 자본총계 비율 | 82.11% | 80.91% | 83.89% |
자산총계 대비 부채총계 비율 | 17.89% | 19.09% | 16.11% |
휴젤의 자본과 부채비율을 계산해보면 자본이 83%, 부채가 16%로 매우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산총계 비중 높은것
항목 | 금액 | 비율 |
유동자산 | 567,772,402,738 | 61.09% |
현금및현금성자산 | 106,013,879,808 | 11.41% |
매출채권 | 44,148,484,834 | 4.75% |
단기금융상품 | 370,926,987,983 | 39.92%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977,859,364 | 0.21% |
기타금융자산 (유동) | 8,242,683,435 | 0.89% |
재고자산 | 34,280,808,291 | 3.69% |
기타유동자산 | 2,181,699,023 | 0.23% |
비유동자산 | 361,478,239,263 | 38.91%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6,783,168,629 | 0.73%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3,008,896,821 | 1.40% |
기타금융자산 (비유동) | 2,441,253,334 | 0.26% |
관계기업투자 | 1,247,579,620 | 0.13% |
유형자산 | 134,731,747,548 | 14.50% |
무형자산 | 182,299,420,816 | 19.62% |
기타비유동자산 | 1,603,713,411 | 0.17% |
순확정급여자산 | 1,793,744,901 | 0.19% |
이연법인세자산 | 17,568,714,183 | 1.89% |

휴젤의 자산총계를 분석해보면 단기금융상품, 무형자산, 유형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매출채권 순서로 비중이 높았다.
유형자산이 많은 업종, 무형자산이 많은 업종에 대한 특징은 글 하단 링크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부채총계 비중 높은것
항목 | 금액 | 비율 |
유동부채 | 57,425,431,475 | 6.18% |
매입채무 | 2,947,110,759 | 0.32% |
기타금융부채 (유동) | 25,618,297,122 | 2.76% |
기타 유동부채 | 3,986,309,451 | 0.43% |
유동충당부채 | 1,616,744,147 | 0.17% |
당기법인세부채 | 23,256,969,996 | 2.50% |
비유동부채 | 92,147,175,052 | 9.92% |
기타금융부채 (비유동) | 1,278,470,358 | 0.14% |
전환사채 (비유동) | 88,848,123,736 | 9.56% |
순확정급여부채 | 442,278,764 | 0.05% |
이연법인세부채 | 1,578,302,194 | 0.17% |

휴젤의 부채총계를 분석해보면 전환사채, 기타금융부채, 당기법인세부채 순서로 비중이 높았다. 휴젤은 전환사채가 888억원 수준이 있다는 것을 참고해야 한다.

휴젤의 전환사채 만기일은 2026년 7월 14일이며, 전환가격은 124,800원이다. 현재 가격보다 저렴하니 이득인 셈이다.
자본총계 추이 그래프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
2021 | 2022 | 2023 | |
자본금 | 6,292,727,500 | 6,292,727,500 | 6,292,727,500 |
자본잉여금 | 327,289,034,844 | 327,289,034,844 | 327,286,768,604 |
기타자본항목 | (403,844,250,804) | (446,943,967,224) | (533,345,753,173)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6,044,309,004 | 6,334,655,137 | 10,745,781,265 |
이익잉여금 | 841,303,672,261 | 899,140,037,362 | 936,330,800,646 |

기업가치는 결국 주주자본에 회귀한다. 자본총계는 주주자본을 뜻한다. 우상향으로 늘어나는 것이 좋고 그 중에서도 이익잉여금이 가장 중요하다. 만약 자본금이나 자본잉여금이 자주 늘어난다면 주주에게 유상증자를 많이 하는 어려운 기업일 수 있다.
휴젤의 이익잉여금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주주입장에서는 긍정적인 신호다.
재무 상태표를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주식투자를 할 때 기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야 한다. 숫자만 보고 투자를 했다가 주가가 오르지 않는 가치투자 함정에 빠질 수 있다.
주식 공부정보는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