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O 제약바이오 관련주 대장주 추천 4개

제약바이오 의약품 CMO(위탁생산) 관련 주식에 관한 정보입니다. CDMO(위탁개발생산) 대장주, 관련주 정의, 의약품 산업이 중요한 이유, 글로벌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CMO 관련주 개요

정의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관련주는 제약 및 바이오 의약품의 생산을 외부에서 위탁받아 수행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의미한다. CMO 회사들은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으로부터 제품 생산을 위탁받아, 의약품을 대규모로 제조하거나 연구, 개발, 생산 시설을 제공한다. 특히 첨단 바이오 의약품, 세포·유전자 치료제, 항체의약품 등 고도화된 생산 기술이 필요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CMO 중요한 이유는?

글로벌 제약 및 바이오 산업의 빠른 성장과 함께 신약 개발이 늘어나면서 CMO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제약사들은 시간과 비용 절감을 위해 생산을 외부에 위탁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CMO 회사들은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 기회를 확보하고 있다.

제약사 입장에서는 대규모 제조시설을 직접 운영하는 것보다 CMO를 이용하는 것이 비용 효율적이다. 이를 통해 연구개발(R&D)에 집중할 수 있어, 제약업계 전반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CMO 회사들도 지속적인 위탁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다.

CMO 시장 규모와 성장률

2024년 글로벌 CMO 시장 규모는 약 1,562억 9천만 달러로 추정한다. 2032년까지 시장 규모는 약 2,896억 8천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8%로 예측한다. (링크)

CMO 대장주 투자시 고려해야할 점

CMO 제약바이오 관련주 대장주 추천 4개

CMO 회사들은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과의 장기 계약을 통해 수익을 확보한다. 고객사와의 계약이 장기적이며 안정적인지, 주요 계약이 언제 만료되는지 등을 확인해야 한다. 계약이 갱신되지 않거나 해지되면 CMO 회사의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CMO 회사가 충분한 생산 설비와 기술력을 갖추고 있는지, 그리고 수요 증가에 따라 시설 확장 계획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바이오 의약품이나 세포·유전자 치료제 등 고도의 기술을 요구하는 제품의 생산을 수행할 수 있는 첨단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가 경쟁 우위를 가질 수 있다.

1. 삼성바이오로직스 – 국내 CDMO 대장주

회사 사업모델

1. 삼성바이오로직스 - 국내 CDMO 대장주

위탁개발(CDO): 의약품 후보물질의 개발 초기 단계부터 임상시험용 물질 생산까지 지원한다.

위탁생산(CMO): 대규모 상업용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담당하며, 세계 최대 규모의 생산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위탁연구(CRO): 임상시험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서비스를 제공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CDMO 시장에서 주요 기업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2023년 기준으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약 9.3%로, 세계 4위를 기록하였다. 5공장 가동 후에는 점유율 30%를 확보하여 현재 1위인 스위스 론자(Lonza)를 앞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세계 상위 20대 제약사 중 14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일라이 릴리, 아스트라제네카, 노바티스, 화이자, 글락소스미스클라인 등이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7,015억11,647억15,680억30,013억36,945억
매출원가5,095억7,487억8,415억15,328억18,918억
매출총이익1,920억4,160억7,264억14,684억18,027억
판매비와관리비1,002억1,232억1,891억4,848억6,890억
영업이익917억2,927억5,373억9,836억11,136억

2. SK바이오사이언스

회사 사업모델

2. SK바이오사이언스

독감 백신 ‘스카이셀플루’, 대상포진 백신 ‘스카이조스터’, 수두 백신 ‘스카이바리셀라’ 등 다양한 백신을 개발하여 상용화하였다. 특히, ‘스카이셀플루’는 세계 최초로 세포배양 방식으로 개발된 4가 독감 백신이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협력을 통해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의 위탁생산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의 백신을 위탁생산하며 글로벌 공급망에 기여하였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스카이셀플루’는 국내 독감 백신 시장에서 출시 4년 만에 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으며, ‘스카이조스터’는 2022년 기준 국내 대상포진 백신 시장에서 판매량 기준 점유율 54%로 1위를 기록하였다.

글로벌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등과의 협력을 통해 백신 위탁생산을 하고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1,839억2,256억9,290억4,567억3,695억
매출원가1,060억1,302억3,587억2,171억2,272억
매출총이익778억953억5,702억2,396억1,422억
판매비와관리비550억576억960억1,246억1,542억
영업이익228억377억4,742억1,150억-119억

3. 에스티팜

회사 사업모델

3. 에스티팜

에스티팜은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의 개발부터 임상, 상업화까지 전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CDMO 회사로, 올리고 시장 성장에 따라 빠르게 외형을 키우고 있다.

에스티팜은 저분자 화합물 의약품의 원료의약품(API) 생산을 통해 다양한 제약사에 공급하고 있다. mRNA 치료제 시장의 확대를 예상하고 동 분야로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을 구축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에스티팜은 시장 점유율 25%로 Nitto Denko Avecia(50%), Agilent(25%)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의 Oligo API 제조 업체다.

에스티팜은 글로벌 제약사와 86건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CDMO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노바티스의 콜레스테롤 치료제 렉비오(Leqvio)와 바이오젠·아이오니스의 척수성근위축증 치료제 스핀라자 등 2개 치료제가 에스티팜으로부터 올리고를 공급받는 것으로 추정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932억1,241억1,656억2,493억2,849억
매출원가948억1,041억1,079억1,603억1,728억
매출총이익-16억199억577억889억1,121억
판매비와관리비250억388억521억710억786억
영업이익-267억-188억55억178억335억

4. 바이넥스

회사 사업모델

4. 바이넥스

바이넥스는 국내 최초로 바이오의약품 CDMO 사업을 시작하여, 임상 단계부터 상업 생산까지 지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송도와 오송에 위치한 생산 시설을 통해 다양한 규모의 바이오리액터를 운영하며, 고객사의 요구에 맞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바이넥스는 국내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에서 2021년 기준 수주 잔고는 667억 원을 기록하였다.

바이넥스는 유한양행, 베링거인겔하임, 프로젠, 에이비엘바이오 등 국내외 다양한 제약사와 바이오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셀트리온과의 협력을 통해 바이오시밀러 CMO 계약을 체결하였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1,252억1,329억1,344억1,566억1,548억
매출원가684억699억744억861억978억
매출총이익567억630억599억705억569억
판매비와관리비454억468억468억533억559억
영업이익112억161억131억171억10억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미국 디스플레이 부품 관련주 (링크)

글로벌 항공사 관련주 리스트 (링크)

미국 간편식 관련주 리스트 (링크)

중국 전기차 관련 3개 기업 리스트 (링크)

미국 클라우드 관련주 8개 리스트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

상위 25% 안에 들어가는 주식 분석 4단계 방법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