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대한민국 조선회사인 HD현대미포 회사 주가 전망 및 재무제표 분석 글입니다. 실적, 성장성, 재무상태표를 분석하여 HD현대미포 목표 주가를 확인합니다. 그 외 다양한 주식 정보는 링크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D현대미포 주가 전망 – 손익계산서 분석
최근 3년 실적
항목 | 2021 | 2022 | 2023 |
매출액 | 2,887,212,251 | 3,716,860,942 | 4,039,065,705 |
매출원가 | 3,008,237,858 | 3,704,006,276 | 4,069,738,069 |
판매비와관리비 | 96,299,817 | 121,920,787 | 122,243,981 |
영업이익 | (217,325,424) | (109,066,121) | (152,916,345) |
영업이익률 (%) | -7.53 | -2.93 | -3.79 |
당기순이익 | (160,108,518) | (43,766,777) | (138,952,719) |
당기순이익률 (%) | -5.54 | -1.18 | -3.44 |
HD현대미포 주가 전망 첫 단계는 손익계산서를 확인해야 한다.
HD현대미포의 매출액 추이를 살펴보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즉 성장성은 있다.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최근 3년동안 적자였다. 영업이익률은 -2% ~ -7%, 당기순이익률은 -1% ~ -5% 수준이다. 즉 그동안 주가가 상승하지 못했던 이유는 회사가 적자였기 때문이다.
HD현대미포 매출액, 영업이익 증가률 추이 분석
항목 | 2022 | 2023 |
매출액 증가율 (%) | 28.74 | 8.67 |
영업이익 증가율 (%) | 49.82 | -40.24 |
HD현대미포의 매출액은 2022년에 28% 증가, 2023년에는 8% 증가하였다. 10% 이하는 성장성이 낮다고 해석해야한다. 조선업이 성장산업이 아니다. 호황과 불황을 반복하는 경기순환주이다.
HD현대미포 연도별 매출원가율& 판매비와 관리비율
항목 | 2021 | 2022 | 2023 |
매출원가율 (%) | 104.19 | 99.65 | 100.76 |
판매비와 관리비율 (%) | 3.34 | 3.28 | 3.03 |
HD현대미포가 적자인 이유는 매출원가율이 100%가 넘기 때문이다. 즉 파는 가격보다, 만드는 가격이 더 비싸다는 이야기다.
그럼 HD현대미포가 선박건조를 할 때 주로 사용하는 원재료는 무엇일까?

HD현대미포 원재료는 강재, 기자재, 의장재가 주로 사용된다. 주로 포스코, 현대제철에서 매입한다.
HD현대미포 목표 주가 분석

애널리스트의 HD현대미포 목표주가는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HD현대미포 잉여현금흐름표 (Free Cash Flow) 분석
항목 | 2021 | 2022 | 2023 |
영업활동현금흐름 | 69619246 | 208406771 | -533,284,556 |
설비투자 | -63215961 | -118768598 | -127,628,084 |
잉여현금흐름 | 6403285 | 89638173 | -660,912,640 |
잉여현금흐름율 | 9.2 | 43.0 |
주주 관점에서 설비투자비용을 차감한 영업현금흐름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을 우리는 잉여현금흐름이라고 부른다. 잉여현금흐름율이 높을수록 안정적으로 주주인 나에게 돌아온 돈이 많다. 이런 기업이 높은 PER을 받아 주가가 올라갈 확률이 높아진다.
HD현대미포의 잉여현금흐름은 2021년에 9.2%, 2022년에는 43% 2023년에는 적자를 기록했다. 제조업 특성상 높은 잉여현금을 만들기는 어려워 보인다. 주식 전망이 안좋은 이유다.
HD현대미포 주가 전망 – 재무상태표 분석
재무상태표 분석은 특정 시점에 회사가 어떤 상태인지를 보여주는 숫자다. 회사 재무상태를 통해 건전성과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다.
자산총계, 자본총계, 부채총계 비율
연도 | 자산총계 (%) | 자본총계 (%) | 부채총계 (%) |
2021 | 100 | 56.84 | 43.16 |
2022 | 100 | 45.82 | 54.18 |
2023 | 100 | 41.06 | 58.94 |
HD현대미포의 자산총계를 분석해보면 자본총계 비율은 줄어들고 있고, 부채총계 비율은 증가하고 있다. 그럼 무작정 부채비율이 증가하는게 나쁠까?
자산총계 비중 높은것
항목 | 금액 | 비율 (%) |
유동자산 | 2,799,391,799 | 57.05 |
현금및현금성자산 | 310,040,894 | 6.31 |
단기금융자산 | 39,080,729 | 0.80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64,823,670 | 3.36 |
계약자산 | 1,442,687,050 | 29.38 |
파생상품자산 | 15,804,985 | 0.32 |
확정계약자산 | 32,987,048 | 0.67 |
재고자산 | 230,175,930 | 4.69 |
기타유동자산 | 563,791,493 | 11.49 |
비유동자산 | 2,109,679,634 | 42.95 |
장기금융자산 | 14,457,656 | 0.29 |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0,322,183 | 0.21 |
유형자산 | 1,756,830,168 | 35.79 |
무형자산 | 14,726,124 | 0.30 |
사용권자산 | 22,300,495 | 0.45 |
파생상품자산 | 15,623,770 | 0.32 |
확정계약자산 | 13,771,644 | 0.28 |
이연법인세자산 | 172,186,418 | 3.51 |
기타비유동자산 | 89,461,176 | 1.82 |

HD현대미포 자산총계를 분석해보면 유형자산, 계약자산, 기타유동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재고자산 순서대로 비중이 높다.
계약자산은 고객에게 선박을 제공하였지만 아직 청구하지 않은 금액이다.
HD현대미포의 계약자산은 2022년대비 2023년에 약 10% 증가하였다. (141,471,192)
유형자산이 많은 업종, 무형자산이 많은 업종에 대한 특징은 글 하단 링크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부채총계 비중 높은것
항목 | 금액 | 비율 (%) |
유동부채 | 2,735,399,724 | 94.52 |
단기금융부채 | 478,561,145 | 16.54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567,411,375 | 19.61 |
계약부채 | 1,557,774,394 | 53.84 |
단기충당부채 | 74,195,599 | 2.56 |
단기리스부채 | 4,239,090 | 0.15 |
파생상품부채 | 44,329,512 | 1.53 |
확정계약부채 | 8,888,464 | 0.31 |
기타유동부채 | 145 | 0.00 |
비유동부채 | 158,458,472 | 5.48 |
장기금융부채 | 95,671,499 | 3.31 |
장기매입채무및기타채무 | 71,776 | 0.00 |
순확정급여부채 | 11,390,813 | 0.39 |
장기충당부채 | 6,668,346 | 0.23 |
장기리스부채 | 13,855,066 | 0.48 |
파생상품부채 | 13,771,644 | 0.47 |
확정계약부채 | 15,623,769 | 0.54 |
이연법인세부채 | 1,405,559 | 0.05 |

HD현대미포 부채총계를 분석해보면 계약부채, 매입채무및 기타채무, 단기금융부채, 장기금융부채 순서대로 비중이 높다.
조선사의 계약부채(contract liabilities)란 조선업체가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 등의 건조를 완료하기 전에 고객으로부터 미리 받은 계약금, 즉 선불금을 의미한다. 이는 고객이 선박 건조를 의뢰하면서 일정 금액을 미리 지급하는 것으로, 조선사가 이를 건조를 완료하고 인도하기 전까지는 부채로 간주된다. 결론은 늘어나면 긍정적이다.
HD현대미포의 계약부채는 2022년대비 7% 증가하였다.
자본총계 추이 그래프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
2021 | 2022 | 2023 | |
자본금 | 199,710,745 | 199,710,745 | 199,710,745 |
자본잉여금 | 82,290,267 | 82,290,267 | 82,290,267 |
자본조정 | (40,862,596) | (40,862,596) | (40,862,596)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00,547,414 | 293,896,437 | 289,159,980 |
이익잉여금 | 1,428,434,049 | 1,599,778,463 | 1,633,373,613 |

기업가치는 결국 주주자본에 회귀한다. 자본총계는 주주자본을 뜻한다. 우상향으로 늘어나는 것이 좋고 그 중에서도 이익잉여금이 가장 중요하다. 만약 자본금이나 자본잉여금이 자주 늘어난다면 주주에게 유상증자를 많이 하는 어려운 기업일 수 있다.
HD현대미포의 이익잉여금은 조금씩 증가하고 있다. 이부분은 주가에 긍정적이다.
재무 상태표를 쉽게 이해하고 싶다면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주식투자를 할 때 기업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성적, 정량적 분석이 적절하게 이루어져 야 한다. 숫자만 보고 투자를 했다가 주가가 오르지 않는 가치투자 함정에 빠질 수 있다.
주식 공부정보는 링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