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E 높은 국내 주식 기업 추천 4개

ROE 높은 국내 주식 관련 정보입니다. 대장주, 관련주 정의, 산업이 중요한 이유, 시장 규모와 성장성, 회사의 비즈니스 모델, 시장 점유율 등 분석을 합니다.

ROE 높은 국내 주식

ROE 정의

ROE(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는 기업이 자기 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ROE는 주주가 투자한 자본 대비 순이익의 비율을 보여주며, 기업의 수익성과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높은 ROE는 일반적으로 기업이 주주의 자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신호로 간주되며, 낮은 ROE는 그렇지 못한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ROE 계산 방법

순이익 / 자기자본 X 100 = ROE

예) 순이익(Net Income) 100억원, 자기자본(Shareholders’s Equity) 500억원

100억원 / 500억원 X 100 = 20%

ROE 높은 기업의 특징

ROE 높은 국내 주식 기업 추천 4개

1. ROE는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값이기 때문에, 순이익이 높은 기업일수록 ROE도 높다. 이런 기업들은 독점적 지위나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가져서 안정적이고 높은 이익을 창출할 가능성이 높다.

2. 적은 자기자본으로도 높은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업이다. 이런 기업들은 지나치지 않은 수준에서 부채를 활용해 자기자본을 최소화하면서 수익을 극대화한다.

ROE가 투자 지표로서의 한계와 보완책

1. 기업이 부채를 많이 사용하면 자기자본(분모)이 줄어들어 ROE가 인위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는 기업이 실제로 수익성이 높은 것처럼 보이게 하지만, 과도한 부채는 재무 안정성을 훼손할 위험이 있다. 그래서 ROE와 함께 부채비율(Debt-to-Equity Ratio), 이자보상배율(Interest Coverage Ratio) 같은 재무 안정성 지표를 확인한다.

2. ROE는 특정 기간의 순이익을 기반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일회성 이익(예: 자산 매각, 소송 승소 등)이 발생하면 일시적으로 ROE가 과대평가될 수 있다. 그래서 영업이익률, 매출총이익률과 같은 영업 활동 기반 지표를 병행 분석한다.

3. ROE는 산업 특성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자본 집약적인 산업(예: 제조업, 에너지)은 ROE가 낮고, 자본이 적게 드는 산업(예: 소프트웨어, 서비스업)은 ROE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동일 산업 내 기업들과 ROE를 비교해 상대적인 우위를 평가한다.

4. 초기 성장 기업은 고성장을 위해 수익을 재투자하거나 적자가 발생할 수 있어 ROE가 낮게 나타난다. 이는 잠재력을 과소평가하게 만들 수 있다. ROE 대신 PSR(주가매출비율), PER(주가수익비율), PEG(성장성을 반영한 PER) 같은 성장성 지표를 함께 활용한다.

아래 높은 ROE 기업의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시가총액이 최소 1조원 이상
  • 부채비율이 100% 이하인 회사
  • 최근 3년간 최소 10% 이상의 ROE

1. 실리콘투

회사 사업모델

1. 실리콘투

기업 고객 대상(Corporate Account, CA): 다양한 국가의 기업 고객에게 K-뷰티 브랜드를 소개하고 제품을 공급한다. 이를 통해 현지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성공적으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개인 고객 대상(Personal Account, PA): 자사 플랫폼인 ‘Stylekorean.com’을 통해 전 세계 약 180여 개국의 개인 소비자에게 K-뷰티 제품을 직접 판매한다.

풀필먼트 서비스(Drop Shipping): 외부 온라인 플랫폼에 K-뷰티 제품의 영업 대행 및 배송 대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실리콘투는 K-뷰티 제품의 글로벌 유통에서 독점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여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2023년 1분기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이 90%에 달하며, 미국, 말레이시아, 폴란드, 인도네시아에 현지 물류 창고를 보유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648억994억1,310억1,652억3,428억
매출원가452억696억923억1,125억2,277억
매출총이익196억297억386억527억1,150억
판매비와관리비152억217억299억385억672억
영업이익44억80억87억142억478억

2. 브이티

회사 사업모델

2. 브이티

화장품 사업: 브이티코스메틱(VT COSMETICS) 브랜드를 통해 스킨케어와 메이크업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한다. 특히 ‘리들샷’ 제품이 일본과 국내 시장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음반 기획 및 매니지먼트: 큐브엔터테인먼트와의 협력을 통해 음반 제작 및 아티스트 매니지먼트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라미네이팅 사업: 라미네이팅 기계와 필름을 제조 및 판매한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라미네이팅 기계와 필름 분야에서 약 7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과 국내의 주요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미국과 중국 시장으로의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1,127억1,074억2,267억2,402억2,955억
매출원가716억739억1,315억1,353억1,556억
매출총이익411억334억952억1,049억1,399억
판매비와관리비308억280억688억813억943억
영업이익102억54억263억235억455억

3. 에이피알

회사 사업모델

3. 에이피알

뷰티 디바이스 및 화장품: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 브랜드를 통해 피부 관리 기기와 스킨케어 제품을 개발·판매한다. 이러한 제품들은 전문적인 피부 관리를 가정에서 가능하게 하여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패션: ‘널디(NERDY)’ 브랜드를 통해 스트리트 패션 의류와 액세서리를 선보이며,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헬스케어: ‘글램디(GLAM.D)’ 브랜드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여 소비자들의 건강 관리에 기여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에이피알은 국내 홈 뷰티 디바이스 시장에서 약 32%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2023년 기준으로, 전년도 점유율 22%에서 10%p 상승한 수치다.

에이피알의 주요 고객은 국내외 일반 소비자들로, 자사 온라인몰과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제공한다. 특히 미국, 일본, 중국 등 해외 시장에서도 적극적인 마케팅과 현지화 전략을 통해 고객층을 확대하고 있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1,590억2,199억2,591억3,977억5,238억
매출원가457억585억716억1,062억1,283억
매출총이익1,132억1,613억1,875억2,914억3,954억
판매비와관리비1,061억1,468억1,732억2,522억2,912억
영업이익71억144억142억392억1,041억

4. F&F

회사 사업모델

4. F&F

F&F는 주로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글로벌 브랜드의 국내 판권을 확보하거나 자체 브랜드를 개발하여 운영한다. 이를 통해 제품 기획, 디자인, 생산, 마케팅, 유통까지 전 과정을 관리하며, 온·오프라인 채널을 활용하여 소비자에게 제품을 제공한다. 주요 브랜드는 MLB,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이 있다.

시장 점유율 및 고객사

F&F의 주요 고객은 국내외 일반 소비자들로, 백화점, 대형마트, 아울렛, 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통해 제품을 제공한다.

매출, 영업이익

항목2021년2022년2023년
매출액(수익)10,891억18,088억19,785억
매출원가2,927억5,327억6,322억
매출총이익7,964억12,761억13,462억
판매비와관리비4,737억7,513억7,944억
영업이익3,226억5,248억5,518억

주목해야할 글로벌 기업 관련주 추천

일론머스크 스페이스엑스 수혜받는 국내기업 (링크)

테슬라 매출 상승시 수혜받는 글로벌 기업 4개 (링크)

미국 스마트홈 관련주 (링크)

주목할만한 국내 로봇 회사 4개 (링크)

트럼프 수혜주인 SFA 관련주 4곳 (링크)

트럼프 수혜주 조선기자재 관련주 (링크)

유명한 논문에서 말한 장기투자가 수익률이 더 높은 이유 (링크)

상위 25% 안에 들어가는 주식 분석 4단계 방법 (링크)